[목차] == 개요 == [[산소 미포함]]의 모든 종류의 피해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 피해의 종류 == === 건조물 === * 과열 피해 게임내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을 피해. 뜨거운 환경 등으로 인해 건조물의 과열온도가 초과되거나 파이프 속 액체가 기체가 될때도 발생한다. 타일같이 과열온도가 없는 시설은 해당되지 않는다. * 과냉 피해 물질이 과하게 냉각되어 파이프 속에서 고체로 변할때 액체가 쏟아져 나오며 발생한다. 주로 열액체조화기 사용 중 액체가 과냉각되어 발생한다. 자동화 신호를 다루는데 익숙하다면 자동화를 이용해 예방할 수 있다. * 과부하 피해 전력망이 허용되는 전력보다 더 많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할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50KW의 전력이 허용되는 전선에 80KW를 요구하는 시설을 지으면 전선은 무조건 필요한 양의 전력을 공급해주게 되고 30KW만큼의 전력이 전선에 추가로 흐르게 돼서 피해를 입게된다. * 잘못된 원소 피해 건조물이나 시설에 잘못된 물질이 주입되면 발생한다. 예를들어 여러 액체를 요구하는 시설에 잘못된 종류의 액체를 공급한다고 보면 된다. 고체물질이 잘못 주입되는 일은 없으니 액체와 기체파이프 관리에 신중하면 대부분 잘 넘길 수 있다. 만약 피해가 발생한다면 액체를 바닥에 그냥 흘려버리거나 피해를 입고 액체를 배출관으로 흘려보낸다. 기체의 경우도 동일하다. 여담으로 물 체나 탈염기 같은 경우는 그냥 다른 액체가 흘러도 그냥 흘러가고 피해를 입지 않는다 * 복제체에 의한 피해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피해이다. 복제체들이 스트레스로 인해 파괴 반응을 보일때 시설이 부서지며 받는 피해이다. 은근히 발생하면 거슬린다. * 신호 과부하 피해 자동화 리본에 자동화 전선을 연결하면 발생하는 피해이다.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피해. * 로켓 추진체 피해 로켓 건설 및 접근을 위해 설치하는 발판을 수납하지 않은 채 로켓을 발사하면 발생하는 피해, 이 과정에서 발판은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리하러 가는 복제체의 일손과 자원을 줄이기 위해 자동수리를 꺼놓자. === 복제체 === 의외로 모르는 사실이지만 복제체는 추락피해를 입지 않는다! * 숨 막히는 중 복제체가 산소가 없는 지역에서 오래동안 방치되면 산소 게이지가 모두 닳는 순간부터 생명력이 닳기 시작한다. 이런 경우 경고가 뜨니 빨리 찾아서 조치를 취하자. * 매몰됨 복제체가 서 있는 타일의 천장이 막힌 상태에서 복제체의 신체중 하반신이나 상반신이 구조물에 끼이는 경우 발생한다. 빨리 구조물을 해체하여 구해주자. * 화상 피해 뜨거운 환경에서 복제체가 오래 머물면 화상 피해를 입는다. 빨리 해당 지역에서 빼내자. 초기증상으로 열사병에 걸린다. * 추위 피해 직접적인 피해를 주진 않지만 복제체가 저체온증에 걸린다. * 굶음 직접적인 피해는 아니지만 칼로리가 0이되면 즉시 사망한다. 이러한 경우 시간표에서 따로 빼주고 쉬는시간으로만 채워진 시간표에 잠시 넣었다 빼주자. 아니면 콜로니에 할당된 작업중 황색경보가 발령된 작업들을 9등급으로 바꿔주자. * 자극 경증과 중증으로 나뉘는 이 피해는 치료가 불가능하다. 그냥 나을때까지 기다려야한다. 피부와 안구 자극으로 나뉘며 산소가 아닌 기체 오염된 산소나 이산화 탄소, 염소등이 채워진 환경에 복제체가 진입하는 순간부터 발생한다. 발생할 경우엔 복제체가 눈을 비비며 아파한다. [[분류:Oxygen Not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