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체육|Physical educatio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육)] == [[사모 펀드|Private Equit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모 펀드)] == [[함몰흉|Pectus Excavatu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함몰흉)] == [[퍼텐셜 에너지|Potential energ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퍼텐셜 에너지)] == [[조루|Premature ejaculatio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루)] == [[공개처형|Public Executio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개처형)] == [[음경확대|Penis enlargemen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음경확대)] ==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폐색전증)] == 미국의 힙합그룹 [[퍼블릭 에너미|Public Enem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퍼블릭 에너미)] == [[페르남부쿠|Pernambuco]] == 브라질의 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페르남부쿠)]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Prince Edward (Island)]] == 캐나다의 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Port Elizabeth == [[남아공]]의 도시. [[남아공 월드컵]]때 이 도시에 위치한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이 [[그리스]]를 상대로 2:0으로 승리했다. -- [[우루과이]]전도 이 곳이라는-- ==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폴리에틸렌)] == [[Peru]] == [[페루]]를 뜻하는 부호, PE. ISO 3166-1 alpha-2 및 NATO 국가 코드. == [[마인크래프트/포켓 에디션|마인크래프트: Pocket Editio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인크래프트/포켓 에디션)] '''참고''': 문서가 오래되어 현재로선 맞지 않는 내용이 많으니 유의하자. 최신 문서는 [[마인크래프트/베드락 에디션]]에서 확인 가능하다. == [[Windows PE|Preinstallation Environmen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PE)] == Portable Executable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EXE, version=59, paragraph=1.1.1)] [[Microsoft Windows]], IBM [[OS/2]] 및 [[EFI]] 의 실행 바이너리 포맷. Windows 환경에서 직접 실행이 가능한 파일은 [[EXE]], 모듈로 사용되는 경우 [[DLL]]을 [[확장자]]로 사용한다. === PE 파일 구조 === 실행 파일 내부에는 PE 구조체가 존재하고 이 구조체에는 실행에 필요한 정보들이 들어있다. 먼저 첫번째에는 DOS 헤더 및 스텁이 들어간다. 윈도우 프로그램을 [[MS-DOS]]에서 실행해보면 'This program cannot be run in DOS mode.'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오면서 실행되지 않은데, MS-DOS에서 윈도우용 프로그램이라서 출력한 것이 아닌 프로그램 내에서 출력된 것이다. 윈도우도 MS-DOS와 동일하게 실행 확장자로 EXE를 사용하기 때문에 윈도우 프로그램을 DOS 환경에서 실행하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 오류 메시지다. 반면 윈도우 내에서 실행하면 DOS 헤더는 무시하고 바로 PE 헤더를 불러온다. 그러다보니 DOS 헤더 및 스텁 부분을 헥스 에디터로 전부 지워도 윈도우 내에서 제대로 작동한다. 두번째로는 PE 구조체가 들어간다. 윈도우 내에서 실행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프로그램 시작 지점(Entry Point), 서브시스템, [[마이크로아키텍처|아키텍처]], 등이다. 이중에서 서브시스템은 실행 환경을 말하는데 다음과 같다. || 이름 || 값 || 설명 || || {{{IMAGE_SUBSYSTEM_UNKNOWN}}} || 0 || 알 수 없는 서브시스템 || || {{{IMAGE_SUBSYSTEM_NATIVE}}} || 1 || 서브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음[* 장치 드라이버, [[윈도우 커널]], 일부 시스템 프로그램(csrss.exe 등)이 이런 형식으로 되어 있다.]. 윈도우 내에서 실행할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 || || {{{IMAGE_SUBSYSTEM_WINDOWS_GUI}}} || 2 || 윈도우 [[GUI]] 프로그램 || || {{{IMAGE_SUBSYSTEM_WINDOWS_CUI}}} || 3 || 윈도우 [[CUI]] 프로그램 || || {{{IMAGE_SUBSYSTEM_OS2_CUI}}} || 5 || [[OS/2]] 프로그램 || || {{{IMAGE_SUBSYSTEM_POSIX_CUI}}} || 7 || [[POSIX]] 프로그램 || || {{{IMAGE_SUBSYSTEM_WINDOWS_CE_GUI}}} || 9 || [[Windows CE]] GUI 프로그램 || || {{{IMAGE_SUBSYSTEM_XBOX}}} || 14 || [[Xbox]] 프로그램 || 그 외에는 더 있지만 필요한 부분만 가져왔다. 자세한 부분은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debug/pe-format|마이크로소프트 문서]]에서 참고할 것. 세번째로는 섹션 헤더들이 들어가 있다. {{{.text}}}, {{{.data}}}, {{{.rdata}}}, {{{.rsrc}}} 등의 섹션 헤더가 있다. 밑부터는 해당 섹션 영역이다. {{{.text}}}는 프로그램 코드, {{{.data}}}는 전역/static 변수, {{{.rdata}}}는 읽기 전용 변수, {{{.rsrc}}}는 리소스가 들어가 있다. 또한 특수한 방법을 이용해 새로운 섹션을 추가할수도 있다.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