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1 Priest's / Preacher's Kids}}} [youtube(7jUMt5NLb5g,start=185)] 사제나 목사의 자녀를 의미하는 기독교 [[속어]]. 통상적으로 비하의 함축(connotation)을 가지지만 비칭으로서의 의미를 반드시 가지지는 않는다. == 교파 별 PK == === [[개신교]]에서 === [[개신교]]에서 사제[* [[성공회]]의 경우]나 목회자([[목사]])[* 비 성공회 [[개신교]]의 경우]의 자녀를 두고 이러한 용어를 사용한다. 영어권의 경우 [[성공회]]의 교세가 제법 크고, 성공회에서는 [[가톨릭]]과는 달리 [[사제]]의 결혼을 허락하기 때문에 사제의 자녀들이 하나의 독특한 사회계층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사제의 자녀들'을 의미하는 영어 표현인 Priest's Kids가 널리 회자되고 있으며, 여러 대중문화매체에서는 이들이 '아주 착한 천사'이거나 '사이코패스' 둘 중 하나의 극단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되곤 한다.[[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PreachersKid|#]] 성공회에서의 용례를 따라 사제직을 인정하지 않는 다른 교파들에서도 사용된다. 이 경우는 Preacher's kids의 두문자이다.[* Pastor's kids의 줄임말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용례 상 preacher's kids가 더 흔하게 사용된다. [[https://books.google.com/ngrams/graph?content=pastor+%27+s+kid%2C+preacher+%27+s+kid&year_start=1800&year_end=2019&corpus=26|구글ngram자료]]] 사실 이 용어가 먼저 시작된 것은 [[성공회]]의 Priest's Kids이다. PK들의 경우, 태어난 이후부터 회중의 시선이 집중되어서 사생활을 갖기가 어려우며, 늘 부모의 그늘 아래에 있는 경향이 강하다. '속을 모르겠다'는 평을 많이 들을 정도로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는 데 능하다.[[https://news.koreadaily.com/2015/02/23/life/religion/3188601.html|#]] [[http://news.onnuri.org/m/board/board_view.php?BoardID=4&BoardSeqNo=16308|#]] 속칭으로 "PK는 잘되면 [[소시오패스]], 망하면 [[사이코패스]]"라는 말이 있다. 특히 작은 회중을 가진 교회일수록 일거수일투족이 회중의 관심[* PK의 입장에서는 감시]의 대상이 되므로, 이상심리가 발현되기 쉽다. PK는 목회상담학이나 종교교육 분야에서는 특별하게 다루어진다. 상담자 본인 혹은 해당 분과의 종사하는 사람들의 편향상, 이 아이들에 관한 주의점에 과도한 비중이 가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일반심리학에서는 '[[닫힌 사회]]에서 흔한 이상아동심리의 일종'으로 본다. 목회적으로도, PK들은 부모에 대한 실망이 기독교에 대한 실망으로 연결되어 오히려 믿음을 잃기가 쉽기 때문에 특별 관리의 대상이다.[[http://www.goodnews1.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732|#]] === [[가톨릭]]에서 === 가톨릭 교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라틴 예법은 독신 사제가 원칙이기 때문에 자녀가 있을 수 없지만, 사고나 기타 여러 이유로 자녀를 갖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라틴 가톨릭 교회에서도 기혼 사제가 합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성공회]], [[복고 가톨릭교회]], [[정교회]] 사제였다가 가톨릭으로 옮긴 경우 이미 기혼이었다면 그 혼인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 사제에게도 아이가 있을 수 있다. 그 외에 동방 예법 가톨릭의 경우 원칙 차원에서 기혼 사제를 허용한다. 물론 이러한 자녀에 대해서는 PK 같은 속어로는 말하지 않고, '서품받은 사람들의 자녀' (Children of the Ordained)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http://www.copinginternational.com/vaticanguidelines/|#]] === [[정교회]]에서 === [[정교회]]에서는 기혼 남성이 부제품과 사제품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서품 이후로는 결혼할 수 없다. 아내와 사별하면 재혼할 수 없고, 이후로는 홀로 살아야 한다. 그리고 [[주교]]는 독신인 신부들 중에서 뽑는 것이 관례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자녀가 있는 경우 PK라고 할 수 있다. 사제의 자녀가 이상성격을 보이거나 사이코패스로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민간속설은 정교회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정교회의 교세가 강한 [[그리스]]에는 '사제의 자녀는 악마의 손자'라는 속담이 있다.[[https://www.kalimaquotes.com/quotes/28188/son-of-a-priest|#]] == 유사한 용어 == 비슷하게 [[선교사]]의 자녀는 Missionary Kids라 하여 MK라 부른다. MK도 PK와 마찬가지로 이상심리 발현 사례가 많이 발견된다. == 사례 == 용어의 용례 상 모든 목사/사제/선교사의 자녀가 아니라 그러한 사람 중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자들만 나열한다. * [[양천구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을 저지른 양부모 안성은과 [[장하영]]이 모두 목사의 자녀인 것으로 밝혀져 화제와 비판이 되기도 했다.[* 양부 안성은은 [[침례회|침례교]] 목사의 아들이고, 양모 [[장하영]]은 [[장로회|장로교]] 목사의 딸이다.] * [[MC몽]]: 군면제를 위한 고의 발치 논란이 있었다. "동성애하는 것들은 다 총으로 쏴죽여야한다" 발언 논란이 있었다. * [[강풀/논란 및 사건 사고]]: 저작권 관련 논란과 모가디슈 전투 군벌 세력 옹호와 관련해 논란이 있었다. 강풀은 예장 백석측 목사의 아들이다. * 조희준: [[조용기]] 목사의 아들로, 혼외자 논란[[https://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33331.html|#]]과 이혼 과정에서 조폭 개입 논란[[https://archive.is/zB0I7|@]]이 있다. == 대중매체에서 == === 드라마 === * [[이사라(더 글로리)]] : 고등학교 재학 시절 [[문동은]]에게 끔찍한 학교폭력을 행사한 5명의 가해자 중 1명이다. [[문동은]]의 거주지를 조롱하며 그녀에게 [[고데기]]로 모진 고문을 가한다. 서울의 각계각층 인사들의 친목의 장인 '성한믿음교회' 의 목사 딸로 학창시절부터 미술 쪽으로 진로를 잡아 현재는 화가로 활동하고 있다. 본인의 집안 내력을 제쳐두고서도 화가로서의 실력 또한 뛰어난 것으로 묘사된다. 학창시절부터 본드와 담배를 즐겼으며 , 성인이 되면서 마약 중독에 폭음, [[난교#亂交|집단 성교]] 등, 가해자들 중에서도 [[문동은]]이 오기 이전부터 가장 먼저 제 몸을 육체적, 정신적으로 망치고 있던 인물이다. === 애니매이션 === * [[제시카 러브조이]] : [[심슨 가족]]에 나오는 [[러브조이 목사]]의 외동딸로, 기숙학교에 다니다가 스프링필드로 돌아왔고 교회에서 모습을 보이자 바트가 그 예쁜 얼굴에 반하게 된다. 하지만 교회에서 보여준 모습은 가면이다. == 참고할만한 자료 == * Allman, T. J. (2007). ''An analysis of the stereotypes of preacher's kids and its application on their spouses'' (석사학위논문). Marshall University Libraries, Huntington, WV. [[https://mds.marshall.edu/etd/13/|링크]] * 개신교 PK를 다룬 LA중앙일보의 기사 [[https://news.koreadaily.com/2015/02/23/life/religion/3188601.html|링크]] * [[온누리교회]] 측에서 실시한 목회자 자녀 인터뷰 결과 [[http://news.onnuri.org/m/board/board_view.php?BoardID=4&BoardSeqNo=16308|#]] * 근본주의 기독교 계열[* 개신교는 성공회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비 근본주의 교단들의 경우와 사뭇 다른 언행들(술 금기시, 토라에 대한 문자적 해석, 실재하지 않는 탄압에의 망상)이 개신교의 특성이라기 보다는 종교적 근본주의의 특성으로 간주되므로 근본주의 기독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목사 아들들의 대담 [youtube(edJN0veEipY)]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K(동음이의어), version=40)] [[분류:두문자어]][[분류:기독교]][[분류:인물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