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컴퓨터, rd1=플러그 앤 플레이, other2=반도체 회사, rd2=pnpnetwork, other3=수학 문제, rd3=P-NP 문제)] [include(틀:올 엘리트 레슬링 태그팀 & 스테이블)] || [[파일:PNP.jpg|width=100%]] || || '''{{{+5 {{{#cf142b SANTANA}}} {{{#ffffff &}}} {{{#002a8f ORTIZ}}}}}}''' || [목차] == 프로필 == || [[파일:AEW_Santana.png|width=100%]] || [[파일:AEW_Ortiz.png|width=100%]] || ||<-3> [[올 엘리트 레슬링|{{{#9e862d '''AEW'''}}}]] || || '''팀 이름''' ||<-2> '''Santana & Ortiz'''[br]Proud N Powerful[br]EYFBO[* Entertain Your Fucking Balls Off] || || '''구성원''' || '''Mike Santana''' || '''Ortiz''' || || '''본명''' || Mike Draztik || Angel Ortiz || || '''생년월일''' || 1991년 2월 4일 ([age(1991-02-04)]세) || 1991년 9월 27일 ([age(1991-09-27)]세) || || '''신장''' || 178cm || 173cm || || '''체중''' || 87kg || 87kg || || [[피니시 무브|{{{#9e862d '''피니시 무브'''}}}]] ||<-2> '''스트리트 스위퍼'''[* [[파워 밤]] + 탑로프 [[브레이커(프로레슬링)#s-2.5|블록버스터]]] || || '''주요 경력''' ||<-2> WOW 태그팀 챔피언 1회[br]JCW 태그팀 챔피언 1회[br][[CZW]] 태그팀 챔피언 1회[br][[글로벌 포스 레슬링|GFW]] 태그팀 챔피언 2회[br]HOG 태그팀 챔피언 3회[br]WrestlePro 태그팀 챔피언 1회[br]PWR 태그팀 챔피언 1회[br]WWL 태그팀 챔피언 1회[br]AAW 태그팀 챔피언 1회[br]'''[[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 4회''' || || '''테마곡''' ||<-2> '''[[https://youtu.be/gebcpPi7wAA|Proud N Powerful]]''' || || '''SNS''' || [[https://www.instagram.com/santana_prou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Santana_Proud|[[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 [[https://www.instagram.com/ortiz_powerfu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Ortiz_Powerful|[[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 == 개요 == [[올 엘리트 레슬링]] 소속의 태그팀으로, [[임팩트 레슬링]]에서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 5기 멤버로 활동한 산타나와 오티즈로 구성되어있다. 인디 단체에서는 EYFBO라는 태그팀으로 활약하다가 임팩트 레슬링 데뷔해서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 5기 멤버로서 산타나 & 오티즈로 활동하며 LAX 멤버들이나 루차 브로스([[펜타곤 주니어]] & [[레이 피닉스]]) 등과 대립하여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을 차지하는 등 단체의 주축이었다. 한편 프로그레스 등 인디 단체 활동도 병행하다가 임팩트 레슬링과의 계약을 해지한 후 2019년 8월 31일에 [[올 엘리트 레슬링]]으로 이적한다.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라는 명칭은 임팩트 레슬링에서 소유권을 가지고 있어서 PNP(Proud N Powerful의 약자)라는 태그팀으로 활동하게 된다. 골수 팬들은 이때가 두 사람의 케미가 가장 잘 맞았다고 평가한다. == 경력 == === [[임팩트 레슬링]] === === [[올 엘리트 레슬링|AEW]] === ==== [[이너 서클(프로레슬링)|이너 서클]] ==== [[올 아웃 2019|올 아웃]]에서 열린 [[영 벅스]] VS 루차 브라더스 [[AAA(프로레슬링)|AA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래더 매치가 루차 브라더스의 승리로 끝난 후, 자축할 틈새도 없이 [[빌 클린턴]]과 [[존 F. 케네디|JFK]]의 복면을 쓴 사내들이 난입한다. 그리고 래더를 밀어버려 루차 브라더스를 떨어트리고 공격한다. 이어서 영 벅스도 끌고 들어와 공격하고, 복면을 벗으며 데뷔한다. 이후 [[AEW 다이너마이트]] 첫 방송에서 [[디 엘리트]]를 상대로 경기를 치르는 [[크리스 제리코]]의 파트너로 공개된다. || [youtube(MjpwFWelt-s)] || 10월 2일, 대망의 다이너마이트 첫 방송에서 메인 이벤트로 참가한다. 경기 초반에 [[존 목슬리]]가 난입해 [[케니 오메가]]를 끌고 나가며 2:3 상황이 되지만 오히려 영 벅스가 분투하며 멜처 드라이버를 맞을 뻔한 위기에 처한다. 하지만 크리스 제리코가 코드브레이커로 카운터를 치고, 맷 잭슨을 코너로 끌고 드롭킥 + 캐논볼 콤보를 먹인 후 크리스 제리코가 주다스 이펙트를 작렬하며 핀을 따낸다. 경기는 그렇게 끝이 났지만 제리코와 PNP는 멈출 생각이 없었고 영 벅스를 계속 린치한다. [[코디(프로레슬러)|코디]], [[새미 게바라]]가 차례대로 난입하고 링은 난장판이 되고, 더스틴이 난입해 정리를 하면서 위기에 몰리지만, [[제이크 헤이거]]가 느닷없이 난입해 더스틴을 공격하면서 벗어난다. 그리고 디 엘리트를 모두 쓰러트리며 쇼가 종료된다. ==== [[에디 킹스턴]]과 재결합 ==== 이후에도 한동안 무난히 이너 서클에 있었지만 실력에 비해서 빛을 보진 못하고 있다가 2022년 1월 19일 다이너마이트에서 크리스 제리코에게 우릴 도와주긴 했냐며 분열의 징조를 암시한다. 이둘 L.A.X. 시절 같이 팀으로 다닌 [[에디 킹스턴]]과 다시 연합한다. [youtube(XgDUJGx_jwc)] 3월 9일 다이너마이트에서 [[크리스 제리코]]는 [[에디 킹스턴]]과 화해를 했으나 이내 [[대니얼 가르시아]]와 [[2point0]]의 난입으로 아수라장이 되었고 뒤이어 산타나 & 오티즈가 구해주러 왔으나 제리코가 산타나 & 오티즈를 배신해버렸고 [[제이크 헤이거]]마저 제리코를 뒤따라 배신한 뒤 제리코는 스테이블의 이름을 '제리코 어프리시에이션 소사이어티(Jericho Appreciation Society)'로 개명해버리면서 재탄생을 알리며 팀에서 축출된다. [[제리코 어프리시에이션 소사이어티]]와 대립은 이어지면서 수적으로 불리하여 계속 당하고 있었으나 [[블랙풀 컴뱃 클럽]]과 연합을 맺으며 [[더블 오어 나씽 2022]]에서 아나키 인 더 아레나 매치로 맞붙게 되면서 [[2point0]]에게 사다리 위에서 테이블로 스플래쉬를 날리는 등 선전하지만 혈투 끝에 패한다. 다만 최종 결착전인 블러드 앤 것츠에서는 승리를 거뒀다. 다만 산타나가 스팟을 몰아받기로 할 때 부상을 입은 것이 뼈아플듯. 게다가 산타나가 인디에서 개인 활동을 위주로 전개하는 걸로 보아 PNP의 해체가 다가온 정황이 눈에 보여서 더욱 그렇다.[* 실제로 7월 중순부터 레슬링 언론에서 산타나와 오티즈의 불화설을 컨펌했다. 산타나는 싱글로 더 높이 가길 원하고 오티즈는 현 상황에 만족한 것이 주 원인.] 그래서 오티즈만 따로 에디 킹스턴과 다니다가 오티즈는 킹스턴에 불만을 가지고 그를 떠나간다 ==== 다시 돌아온 PNP ==== 2023년 8월 23일, 파이터 페스트에서 존 목슬리와 레이 피닉스 경기 이후 집단 린치를 가하는 BCC를 막기 위해 킹스턴과 펜타가 난입하려 했으나 여기에 오티즈가 길을 막고 마이크 산타나가 뒤에서 깜짝등장 하면서 BCC와 함께 임시동맹을 맺는다. 해당 경기에서 블랙풀 컴뱃 클럽 연합은 패배한다. == 둘러보기 == ||<-4>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파일:220px-The_LAX_logo.jpg]]]]''' || ||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s-2|LAX 역대 멤버]] || [include(틀:이너 서클)] ||||||||||
<:>[[리벨리온#s-4|[[파일:Impact_Wrestling_Rebellion.png|width=300]]]] || ||||||||||<:>'''{{{#white 역대 리벨리온 메인이벤트}}}'''[*★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19.4.28''' || 임팩트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r]풀 메탈 메이햄 매치[br]'''[[루차 브라더스|더 루차 브로스]](C)[* 피핀폴자는 페닉스] vs __LAX__[* 핀폴자는 오티즈]''' || ||<-4>
[[더블 오어 나씽|[[파일:aewboubleornothinglogo.jpg|width=200]]]] || ||<-4> '''{{{#white 역대 더블 오어 나씽 메인 이벤트}}}'''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2> '''2020년'''[br]5월 23일 ||<-3> 스타디움 스탬피드 매치 || || __[[디 엘리트]]__ & __[[맷 하디]]__[* 핀폴자는 [[케니 오메가]].] || vs || '''[[이너 서클(프로레슬링)|이너 서클]]'''[* 피핀폴자는 [[새미 게바라]].] || || '''2021년'''[br]5월 30일 ||<-3> 스타디움 스탬피드[br][[피너클]][* 피핀폴자는 [[숀 스피어스]].] vs '''__[[이너 서클(프로레슬링)|이너 서클]]__'''[* 핀폴자는 [[새미 게바라]].] || ||<-3>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0년''' 9월 16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AEW 다이너마이트]] || 파킹 랏 파이트[br]__[[베스트 프렌즈]]__ (__[[척 테일러]]__ & __[[트렌트(프로레슬러)|트렌트]]__(O)) vs '''PNP''' (산타나 & 오티즈(X)) || || '''2022년''' 5월 29일 || [[올 엘리트 레슬링|AEW]][br][[더블 오어 나씽 2022|더블 오어 나씽]] || 아나키 인 더 아레나 매치[br]__[[제리코 어프리시에이션 소사이어티]]__ (__[[크리스 제리코]]__ & __[[제이크 헤이거]]__(O) & __[[대니얼 가르시아]]__ & __[[2point0]]__ (__안젤로 파커__ & __맷 미나드__)) [br] vs [br] [[에디 킹스턴]] & [[블랙풀 컴뱃 클럽]] ([[존 목슬리]] & [[브라이언 대니얼슨]](X)) & '''PNP''' (산타나 & 오티즈) || ||<-5>
[[파일:All_Elite_Wrestling_Logo.jpg|width=70|width=70]] {{{#ffffff '''어워드 제일 뒷처리가 힘들었던 순간'''}}} || || '''2020년''' 9월 16일 || [[AEW 다이너마이트]] || 파킹 랏 파이트[br][[베스트 프렌즈]] ([[척 테일러]] & [[트렌트(프로레슬러)|트렌트]]) vs '''PNP''' (산타나 & 오티즈) || == 관련 문서 == *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 [[분류:프로레슬링 태그팀 및 스테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