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멜라니 마르티네즈/정규 앨범]][[분류:2023년 음반]][[분류:빌보드 2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2위 앨범]] [include(틀:멜라니 마르티네즈)] {{{#!wiki style="word-break:keep-all" ||<-3><#242819> [[멜라니 마르티네즈|{{{#c39da4 {{{-2 '''멜라니 마르티네즈'''}}}}}}]]{{{#c39da4 {{{-2 '''의'''}}}}}} [[멜라니 마르티네즈/음반|{{{#c39da4 {{{-2 '''음반'''}}}}}}]] || || {{{#8c8c8c ←}}} ||<|2><#242819> {{{#c39da4 {{{-1 '''3집'''}}}[br]{{{+1 ''' ''PORTALS'' '''}}}[br]{{{-1 (2023)}}}}}} || {{{#8c8c8c →}}} || || {{{#8c8c8c {{{-2 EP 2집}}}}}}[br][[After School|{{{-1 {{{#bc7e7b ''' ''After School'' '''}}}}}}]][br]{{{#8c8c8c {{{-2 (2020)}}}}}} || {{{#8c8c8c {{{-2 미정}}}}}} || ||<-6> '''{{{-2 The 3rd Studio Album}}}[br]{{{+2 ''PORTALS''}}}''' || ||<-6>{{{#!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PORTALS.jpg|width=100%]]}}}|| || '''아티스트''' ||<-5> [[멜라니 마르티네즈|{{{#!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PORTALS_logo.png|width=250]]}}}]] || || '''레이블''' ||<-5>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 로고.png|height=30]]]] || || '''발매일''' ||<-5> 2023년 5월 31일 || || '''장르''' ||<-5> [[아트팝]], [[프로그레시브 록|아트록]], 다크팝 || || '''길이''' ||<-5> 51:33 || || '''프로듀서''' ||<-5> The 23rd, CJ Baran, Hoskins, [[멜라니 마르티네즈|Melanie Martinez]], One Love, Pearl Lion, Simon Says, Cautious Clay || || '''발매 싱글''' ||<-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single_sign.png|width=10]] {{{-2 [[DEATH]]}}} || {{{-4 2023. 05. 17.}}} || {{{-4 [[https://youtu.be/-4P79X-urLM?si=Wb0afDk5rGT09CSh|♫]]}}}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2 [[PORTALS#VOID|VOID]]}}} || {{{-4 2023. 05. 29.}}} || {{{-4 [[https://youtu.be/rEil8hvXqi0?si=Zoo6rVWp4t4Fas65|♫]]}}} ||}}}}}}}}} || || '''전곡 듣기''' || [[https://open.spotify.com/album/4kI7ZZF6CgDGFTjZNFwXYG|[[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18]]]] || {{{-5 [[https://music.apple.com/us/album/portals/1673604325|[[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width=18]]]]}}} || {{{-5 [[https://music.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kHPSwaOpKDalC6xGloc81VcYI0ldp2Wr8&si=BPQrJc49XJRkNuWF|[[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width=18]]]]}}} || {{{-5 [[https://m2.melon.com/album/music.htm?albumId=11212351|[[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8]]]]}}} || {{{-5 [[http://www.genie.co.kr/detail/albumInfo?axnm=83672312|[[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width=18]]]]}}}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RTAL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ORTALS_Backside.jpg|width=100%]]}}} || ||<-2><#242819> [[파일:PORTALSlogo.webp|width=85]][br] '''{{{#c39da4 앨범 전면 & 후면}}}''' || [[2023년]] [[3월 31일]]에 발매된 [[멜라니 마르티네즈]]의 세번째 정규 앨범. == 상세 == ''[[Cry Baby(멜라니 마르티네즈)|CRY BABY]]'', ''[[K-12]]''와 함께 Cry Baby 3부작을 이루는 앨범이자 공식적으로 그 끝을 장식하게 되는 앨범이다. K-12와 같이 전곡이 수록된 형태로 뮤지컬 영화화가 진행될 예정[* 2023년 중순 팬의 영화화에 대한 질문에 멜라니는 "시나리오는 완성되었으나 아직 투자금을 받기 전 단계다." 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물론 무산된 여지도 없지 않지만, 시나리오가 완성되었다는 언급이나, Cry Baby 삼부작의 마지막. 그것도 스토리적 요소가 가장 많이 가미된 앨범인 만큼 실제로 영화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인 앨범이기도 하다. 앞선 두 앨범 모두 Cry Baby의 일생에 치중한 스토리를 다루고 있었던 것에 비해, ''Portals''는 그야말로 "죽음"이라는 다소 극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다.[* 포탈즈 발매 이후로 멜라니 마르티네즈의 유튜브 동영상 썸네일들이 모두 R.I.P. Cry Baby라는 사진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해당 앨범에서 확인할 수 있는 멜라니의 음악적 색의 변화 또한 상당한데, 멜라니의 이전 작업물들에선 들어볼 수 없었던 [[소프트 록]], [[힙합 음악|힙합]], [[라틴 팝|라틴 음악]]과 같은 장르들과 멜라니가 기존에 다루던 [[얼터너티브]]의 융합된 모습을 보이며, 이 덕분에 코어 팬층과 일반 대중들,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게 되는 긍정적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 성적 == * 3월 25일 리드싱글 [[DEATH]]를 발매했고, 빌보드 싱글차트 95위로 데뷔하여 멜라니의 첫 번째 빌보드 차트인 싱글이 되었다. * 앨범 발매 하루 전인 3월 30일에 두번째 싱글 VOID를 공개, 빌보드 싱글 차트 61위로 데뷔하며 리드싱글보다 더 높은 순위로 데뷔했다. 두터운 팬덤을 지녔음에도 마이너한 음악적 색깔 때문에 빌보드 차트와는 연이 없었던 멜라니가 하위권에라도 데뷔를 했다는 건 그만큼 화력이 세졌다는 뜻이다. * 앨범 발매 후 상당한 화력을 보여주며 순수 판매량 99,000장 포함,무려 첫 주 초동 142,000장을 기록하며 빌보드 200 앨범 차트 2위로 데뷔했다. 이는 전작인 [[K-12]]의 초동의 3배에 가까운 수치이고 웬만한 메인스트림 팝가수들의 성적에 버금가는 판매량이며 1위를 하고도 남을 수치지만 [[모건 월렌]]의 독주로 인해 아쉽게 2위가 최고 순위가 되었다. 그래도 멜라니의 팬덤이 상당히 커졌음을 보여주는 결과. * 발매 2주차에는 앨범 차트 5위, 3주차에는 10위를 기록하며 3주 연속 10위안에 진입 시켜 괄목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중. == 싱글 == ||<-5><#242819> {{{#!wiki style="margin:2px" [[PORTALS|[[파일:PORTALSlogo.webp|height=40]]]]}}} || ||{{{#!wiki style="margin: -5px -10px" [[DEATH|[[파일:Death_cover.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PORTALS#VOID|[[파일:Void_cover.jpg|width=100%]]]]}}}||<|2><-3> || || {{{#!wiki style="margin:0px -10px; letter-spacing: -0.2px; word-break:keep-all" [[DEATH|{{{-3 {{{#242819,#c39da4 '''DEATH'''}}}}}}]][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242819; color:#c39da4; font-size:0.65em" '''정식 싱글'''}}} {{{-5 2023. 05. 17.}}}}}} || {{{#!wiki style="margin:0px -10px; letter-spacing: -0.2px; word-break:keep-all" [[PORTALS#VOID|{{{-3 {{{#242819,#c39da4 '''VOID'''}}}}}}]][b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242819; color:#c39da4; font-size:0.65em" '''정식 싱글'''}}} {{{-5 2023. 05. 2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멜라니 마르티네즈/싱글)] == 수록곡 == ||<-2>
<#24281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ORTALSlogo.webp|width=30%]]}}}^^{{{#c39da4 TRACKLIST}}}^^ || || '''01''' || [[DEATH]] || || '''02''' || VOID || || '''03''' || TUNNEL VISION || || '''04''' || FAERIE SOIRÉE || || '''05''' || LIGHT SHOWER || || '''06''' || SPIDER WEB || || '''07''' || LEECHES || || '''08''' || BATTLE OF THE LARYNX || || '''09''' || THE CONTORTIONIST || || '''10''' || MOON CYCLE || || '''11''' || NYMPHOLOGY || || '''12''' || EVIL || || '''13''' || WOMB || ||<-2> '''{{{#c39da4 PORTALS (Deluxe)}}}''' || || '''14''' || POWDER || || '''15''' || PLUTO || || '''16''' || MILK OF THE SIREN || === [[DEATH]]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Nhx9QDuqpDM)]}}}||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DEATH'''}}}}}}[br]{{{#969696 5:06}}}}}}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EATH)] 2023년 3월 25일, 앨범의 수록곡들 중 최초로 싱글컷된 곡이다.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직설적으로 Cry Baby의 죽음에 대해 다루고 있다.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5명의 댄서들이 ''[[K-12(영화)|K-12]]'' 영화에 등장하는 Cry Baby 일행 5명(안젤리타, 셀레스트, 매그놀리아, 플레르, 벤)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팬덤 내에서 돌기도 하였으나 이에 대해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 VOID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fzAyZ1Lh-zI)]}}}||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VOID'''}}}}}}[br]{{{#969696 4:07}}}}}}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DEATH]]''에 이어 두 번째 싱글로 발매된 곡이다. 첫 번째 트랙인 ''[[DEATH]]''가 Cry Baby의 죽음 그 자체만을 다루고 있었다면, ''VOID''는 죽음 이후 사후 세계에서 방황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멜라니의 디스코그래피 중 최초로 멜라니 본인이 작사 작곡 모두를 맡은 곡이며, 그래서인지 각종 인터뷰가 있을 때마다 유난히 ''VOID''를 띄워주는 분위기이고 프로모 또한 ''PORTALS'' 앨범 전체보단 이 곡 하나에 초점을 맞춰 진행한다. 뮤직비디오가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2023 VMA]]에 "Best Visual Effects" 로 노미네이트 되기도 하였으나, 아쉽게도 본 상은 [[테일러 스위프트]]가 [[Anti-Hero(테일러 스위프트)|Anti-Hero]]의 뮤직비디오로 수상하게 되었다. 정식으로 발매되기 전, 이미 몇 차례 데모 버전이 팬에 의해 유출되었던 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OYBqofkVKtE&list=PLnPMfHV1KQPBlBGLKQBcviwKZGEqYutAx&index=59|#]][* 들어보면 알겠지만 다루는 주제와 제목만 같을 뿐 완전히 다른 곡이다.] === TUNNEL VISION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rwGpzW8xz-U)]}}}||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TUNNEL VISION'''}}}}}}[br]{{{#969696 4:44}}}}}}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멜라니가 눈 네개의 크리처로서 첫 모습을 보인 앨범 티저 영상[[https://www.youtube.com/shorts/w1i9a346_ds|#]]에 삽입된 곡이기도 하다. 어떤 사람들은 이 곡을 듣고 느리게 배속된 "The Bakery" 샘플이 들린다고 한다. === FAERIE SOIRÉE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z61w9HxJAb0)]}}}||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FAERIE SOIRÉE'''}}}}}}[br]{{{#969696 2:43}}}}}}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곡 중 의미하는 FAERIE는 보시다시피 'Fairy'와는 다른 의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AERIE: 가는 곳마다 나쁜 일을 일으킴. Fairy: 가는 곳마다 좋은 일을 일으킴. === LIGHT SHOWER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WcEwxk6hZnI)]}}}||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LIGHT SHOWER'''}}}}}}[br]{{{#969696 4:27}}}}}}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SPIDER WEB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bf6hlhpsgsg)]}}}||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SPIDER WEB'''}}}}}}[br]{{{#969696 3:03}}}}}}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Spider Web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곡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거미줄에 비유한 곡이다. 인터넷에 과도한 시간을 낭비하고 각종 이슈를 따라다니기 시작한다면 절대 인터넷을 떠날 수 없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LEECHES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K-AXrTLqPU)]}}}||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LEECHES'''}}}}}}[br]{{{#969696 3:20}}}}}}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BATTLE OF THE LARYNX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iW1djiqFzAk)]}}}||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BATTLE OF THE LARYNX'''}}}}}}[br]{{{#969696 5:28}}}}}}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THE CONTORTIONIST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8Y3BXWkG-Bk)]}}}||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THE CONTORTIONIST'''}}}}}}[br]{{{#969696 3:20}}}}}}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contortionist'는 곡예사를 의미하는데, 가사의 내용과 연계하면 굉장히 섬뜩한 내용의 제목이된다. 연인과 관계를 가지면서 기괴한 [[체위]]를 강요받고, 그걸 억지로 하는 과정에서 온몸이 뒤틀리고 부러지는것을 마치 서커스의 곡예사 같다고 비유한 표현.[* 구글에 'contortionist'라고 검색해보자.] 노래 중간중간에 삽입되어있는 '우지끈'하고 부러지는 소리가 포인트다. === MOON CYCLE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yP54cnKzoFI)]}}}||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MOON CYCLE'''}}}}}}[br]{{{#969696 2:32}}}}}}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Snippet으로 곡의 인트로가 공개되었던 시점부터, 가사가 전 애인인 [[Oliver Tree|올리버 트리]]를 은연중 디스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돌았고 앨범 발매 이후엔 팬덤 내외로 해당 추측이 거의 정설처럼 받아들여졌으나, 이후 멜라니 본인이 해당 추측과 관련된 [[TikTok]] 영상에 직접 해명하는 댓글을 작성하고,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서도 "올리버와 나는 좋게 끝맺었다.", "그 곡(MOON CYCLE)은 올리버에 관한 것이 아니며, 그 누구를 비방하는 곡도 아니다." 와 같은 언급을 몇 차례 하며 이와 같은 추측은 거짓임이 공식적으로 밝혀졌다. === NYMPHOLOGY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kZtLeFs5fCA)]}}}||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NYMPHOLOGY'''}}}}}}[br]{{{#969696 5:06}}}}}}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EVIL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ijnTVc-Lg0w)]}}}||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EVIL'''}}}}}}[br]{{{#969696 4:06}}}}}}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멜라니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 자신이 겪었던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노래라고 한다. 이 설명에 기반해서 ''MOON CYCLE''과 마찬가리로 [[Oliver Tree|올리버]]를 언급하는 곡이라는 추측이 있었는데 ''MOON CYCLE''은 멜라니 본인이 딱 잘라서 아니라고 직접 해명한 것에 비해, ''EVIL''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었기에 팬덤 내에서는 여전히 올리버 디스곡으로 여겨지고 있는 중이다. 앨범 발매 당시에는 프로모 싱글이였던 ''DEATH''와 ''VOID''에 밀려서 다소 묻힌 경향이 있었으나, 발매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부터 서서히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2023년 하반기 기준 수록곡들 중 가장 롱런하고 있는 중이다. === WOMB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HAFBY8Wskbk)]}}}||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WOMB'''}}}}}}[br]{{{#969696 3:31}}}}}}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POWDER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DXHSKLGIrrI)]}}}||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POWDER'''}}}}}}[br]{{{#969696 3:58}}}}}}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PLUTO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2e4SiznTXKU)]}}}||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PLUTO'''}}}}}}[br]{{{#969696 3:01}}}}}}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MILK OF THE SIREN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92dl4IUHQQ)]}}}|| ||<#242819> {{{#!wiki style="word-break:keep-all" {{{#c39da4 {{{+2 '''MILK OF THE SIREN'''}}}}}}[br]{{{#969696 4:25}}}}}}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font-size:0.9em" [br] }}}}}} || == 여담 == * 해당 앨범 활동기의 멜라니는 뮤직비디오, 앨범 자켓, 공식 석상은 물론 라이브 무대 또한 눈 네 개의 분홍색 크리처의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팬덤 내외로 다소 의견이 갈리는 편이다. 앞선 두 앨범 모두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이며 멜라니의 얼굴이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가졌음에도 (본인의 얼굴을 전부 가리는 분장을 한 채)이를 완전히 뒤엎고 새로운 모습으로 대중들 앞에 나선다는 실험적인 행보에 응원을 보내는 이들도 있고, 그래도 라이브 공연 등은 멜라니의 모습을 보고 싶은 팬들이 참석하는 곳인데, 얼굴을 전부 가린 채 감정 전달도 제대로 되지 않는 모습으로 공연에 임하는 것은 것은 옳지 않다며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 첫 싱글인 [[DEATH]]가 빌보드 차트에 95위로 데뷔함으로써, 멜라니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핫100에 진입한 싱글을 배출한 앨범이 되었다. * 2024년 1월 21일 이 앨범의 투어에서 '''[[내한 공연]]'''을 할 예정이다. 장소는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진행 예정. 11월 15일 수요일 낮 12시에 인터파크 티켓팅, 12시 5분에 예스24 티켓팅이 열렸었다.[* 한국에선 인지도가 높지 않은 편인지라, 티켓팅이 매우 빡세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