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 [include(틀: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 경기 일정)] ||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서바이벌|위클리 서바이벌]] ||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위클리 파이널]] ||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하위 16팀 순위 결정전|하위 16팀 순위 결정전]] || [목차] == 개요 == == 사전 예상 == || [youtube(Kp6D84VzgCg)] || || '''승자 예측 이벤트 - 3주차''' || ||<-8>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파일:PGC white.png|width=29]]]] '''{{{#fff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fff 3주차}}}]]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fff 위클리 파이널}}}]] 진출팀}}}''' ||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Gen.G 로고.svg|height=90]]]] || [[Team Liquid|[[파일:Team_Liquid_2020.png|width=90]]]] || [[Daytrade Gaming|[[파일:Daytrade_logo.png|height=90]]]] || [[파일:Oath_Gaming_logo.png|height=90]] ||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Virtus_Pro_2019.png|width=90]]]] || [[Zenith Esports|[[파일:Zenith_logo.png|width=90]]]] || [[T1/배틀그라운드|[[파일:T1 LoL 로고.svg|width=90]]]]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width=90]]]] || || [[Afreeca Freecs/배틀그라운드|[[파일:Afreeca_Freecs.png|width=90]]]] || [[ENCE|[[파일:ENCE_2020.png|width=90]]]] || [[Natus Vincere|[[파일:Natus_Vincere_2020.png|width=90]]]] || [[Shoot To Kill|[[파일:Shoot_To_Kill_only_logo.png|width=90]]]] || [[Tianba Esports|[[파일:Tianba esports_logo.png|height=90]]]] || [[Triumphant Song Gaming|[[파일:Triumphant_Song_Gaming_Logo.png|height=90]]]] || [[LG Divine|[[파일:divine_LG_logo.png|height=90]]]] || [[Multi Circle Gaming|[[파일:MCG_logo.png|height=90]]]] || 2일차까지는 그래도 STK과 중국팀들을 제외하면 올라올만한 팀이 올라왔다고 생각되었으나 마지막날에 중국팀끼리 치킨 내전이 발생하고 4AM의 메인오더인 Godv가 이탈하는 등의 변수로 인해 4AM, infantry 같은 기세도 좋고 상금도 많이 확보한 팀들이 밀려버렸다. 그리고 그 STK도 약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전체적인 평가는 2주차보다는 네임밸류가 떨어져 보인다는 평이 많다. 우선, 전체적인 기세는 빠르게 진출을 확정지은 한국 3팀과 유럽 5팀이 유리하다. 그리고, 중국의 진출 팀이 파이널에서 힘을 잘 못쓰고 있는 TSG와 오락가락하고있는 MCG, 극심한 부진에 빠져있었던 Tianba다 보니 중국팀의 성적이 비교적 아쉬울 것으로 예측되고는 있다. 동남아랑 북미는 전투력으로 때려잡을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점수를 챙기기에는 유리하지만 그만큼 각 팀의 컨디션이 중요하며, LG Divine은 서바이벌에서 일단 들이받고 보는 모 아니면 도 운영을 했기 때문에 그런 전략을 쓰지 않을 파이널에서는 예측이 조금 어렵다. 변수가 될 수 있는 랜드마크 충돌 상황으로는 젠지와 티엔바(에란겔 강남), VP와 MCG(미라마 파워그리드)가 존재한다. 강남 쪽은 티엔바가 젠지를 벼르고 있긴 하지만 마침 강북을 포함해서 빈 랜드마크가 꽤 많다보니 젠지 쪽에서 회피할 가능성이 높다. 파워그리드쪽은 일단 엘 포조와 하시엔다, 산 마르틴이 비어있으므로 그쪽으로 선회하는 팀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위클리 서바이벌 종료 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ubgkl&no=248293&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STK&page=1|STK와 VP가 서로 4AM의 랜드마크인 학파트,하시엔다 진출을 선언하면서]] 오히려 그쪽에서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는 상황이 되었다.] 그 외에는 NA'VI가 에란겔의 제 1,2랜드마크인 프리모스크와 쉘터가 각각 FaZe, MCG가 진출해서 막혀 있지만 Infantry가 떨어지면서 빈 페리가 있어서 셋이 나눠먹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외에는 충돌할 여지가 별로 없다. 한국팀 입장에서는 AF가 밀타의 BRU, 미나스의 TSM이 모두 떨어지면서 독식이 가능해졌고,[* 다만, FaZe가 제2랜마인 밀타를 갈 가능성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아프리카가 어려워진다.] 젠지도 강남은 겹치지만 페카도를 온전히 먹을 수 있는 상황이라 상당히 유리하다. T1은 갓카를 갈라먹는 GEX가 떨어졌고 로스 레오네스는 Oath와 Team Liquid가 겹치지만 세 팀이 멸망전을 펼치기보다는 티에라와 크루즈가 텅 비어있는 상황에서 두 팀이 제2랜마를 갈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된다.[* 한 팀만 빠진다고 하더라도 로스 레오네스가 워낙 넓다보니 T1과 상대 1팀정도는 갈라먹어도 무방하긴 하다.] == 경기 진행 == ||<-11>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파일:PGC white.png|width=30]]]] '''{{{#fff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fff 3주차}}}]] [[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fff 위클리 파이널}}}]] 경기별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3 날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3 1경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3 2경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3 3경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3 4경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3 5경기}}}}}}''' || || '''1일차''' || [[파일:Oath_Gaming_logo.png|height=20]] || '''{{{#373a3c,#ddd OATH}}}''' || [[Daytrade Gaming|[[파일:Daytrade_logo.png|height=20]]]] || '''[[Daytrade Gaming|{{{#373a3c,#ddd DAY}}}]]'''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 '''[[FaZe Clan/배틀그라운드|{{{#373a3c,#ddd FaZe}}}]]''' ||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Virtus_Pro_2019.png|height=20]]]] || '''[[Virtus.pro/배틀그라운드|{{{#373a3c,#ddd VP}}}]]''' || [[Afreeca Freecs/배틀그라운드|[[파일:Afreeca_Freecs.png|height=20]]]] || '''[[Afreeca Freecs/배틀그라운드|{{{#373a3c,#ddd AF}}}]]''' || || '''2일차'''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20]]]]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373a3c,#ddd GEN}}}]]''' || [[ENCE|[[파일:ENCE_2020.png|height=20]]]] || '''[[ENCE|{{{#373a3c,#ddd ENCE}}}]]''' || [[Multi Circle Gaming|[[파일:MCG_logo.png|height=20]]]] || '''[[Multi Circle Gaming|{{{#373a3c,#ddd MCG}}}]]'''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 '''[[FaZe Clan/배틀그라운드|{{{#373a3c,#ddd FaZe}}}]]'''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 '''[[FaZe Clan/배틀그라운드|{{{#373a3c,#ddd FaZe}}}]]''' || ||<-3> '''중계진''' || || '''일차''' || '''1일차''' || '''2일차''' || || '''캐스터''' || [[박상현(캐스터)|박상현]] || [[채민준]] || ||<|2> '''해설가''' ||<-2> [[김지수(게임 해설가)|김지수]] || ||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 [[신정민]] || ||<|4> '''분석 데스크''' ||<-2> [[고수진]] || || 지클레프 || - || ||<-2> [[최원석]] || ||<-2> [[김태광]] || === 1일차 === [include(틀: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 1일차)] ==== 1경기 ==== || [youtube(9SICqzQP6Gw)] || || '''1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미라마]]}}}[br]{{{-2 Match 1}}}''' || [[https://twire.gg/app/match/880250|[[파일:Miramar_Minimap.png|width=320]]]] || || '''1위''' || '''[[파일:Oath_Gaming_logo.png|height=20]] {{{#373a3c,#ddd Oath Gaming}}}''' || || '''2위'''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373a3c,#ddd FaZe Clan}}}]]''' || || '''3위''' || '''[[Shoot To Kill|[[파일:Shoot_To_Kill_only_logo.png|width=35]] {{{#373a3c,#ddd Shoot To Kill}}}]]''' || ==== 2경기 ==== || [youtube(LN9JPfmWCWA)] || || '''2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미라마]]}}}[br]{{{-2 Match 2}}}''' || [[https://twire.gg/app/match/880279|[[파일:Miramar_Minimap.png|width=320]]]] || || '''1위''' || '''[[Daytrade Gaming|[[파일:Daytrade_logo.png|height=20]] {{{#373a3c,#ddd Daytrade Gaming}}}]]''' || || '''2위''' || '''[[Team Liquid|[[파일:Team_Liquid_2020.png|height=20]] {{{#373a3c,#ddd Team Liquid}}}]]''' || || '''3위''' || '''[[Tianba Esports|[[파일:Tianba esports_logo.png|height=20]] {{{#373a3c,#ddd Tianba Esports}}}]]''' || ==== 3경기 ==== || [youtube(4QrLWo5aTtA)] || || '''3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에란겔]]}}}[br]{{{-2 Match 3}}}''' || [[https://twire.gg/app/match/880370|[[파일:Erangel_Minimap_V4.png|width=320]]]] || || '''1위'''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373a3c,#ddd FaZe Clan}}}]]''' || || '''2위''' || '''[[Team Liquid|[[파일:Team_Liquid_2020.png|height=20]] {{{#373a3c,#ddd Team Liquid}}}]]''' || || '''3위''' ||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Virtus_Pro_2019.png|height=20]] {{{#373a3c,#ddd Virtus.pro}}}]]''' || ==== 4경기 ==== || [youtube(I6W7NsUwXlM)] || || '''4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에란겔]]}}}[br]{{{-2 Match 4}}}''' || [[https://twire.gg/app/match/880425|[[파일:Erangel_Minimap_V4.png|width=320]]]] || || '''1위''' ||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Virtus_Pro_2019.png|height=20]] {{{#373a3c,#ddd Virtus.pro}}}]]''' || || '''2위'''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373a3c,#ddd FaZe Clan}}}]]''' || || '''3위''' || '''[[Afreeca Freecs/배틀그라운드|[[파일:Afreeca_Freecs.png|height=20]] {{{#373a3c,#ddd Afreeca Freecs}}}]]''' || ==== 5경기 ==== || [youtube(dvduvAV_Yz0)] || || '''5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에란겔]]}}}[br]{{{-2 Match 5}}}''' || [[https://twire.gg/app/match/880533|[[파일:Erangel_Minimap_V4.png|width=320]]]] || || '''1위''' || '''[[Afreeca Freecs/배틀그라운드|[[파일:Afreeca_Freecs.png|height=20]] {{{#373a3c,#ddd Afreeca Freecs}}}]]''' || || '''2위''' || '''[[Zenith Esports|[[파일:Zenith_logo_only.png|height=20]] {{{#373a3c,#ddd Zenith Esports}}}]]''' || || '''3위''' || '''[[T1/배틀그라운드|[[파일:T1 LoL 로고.svg|width=35]] {{{#373a3c,#ddd T1}}}]]''' || ==== 1일차 총평 ==== [include(틀: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 1일차 순위표)] 사전예측에 가깝게 유럽-한국이 강세에 중국-북미-동남아가 조금 쳐지는 결과가 나왔다. 다만, 한국을 제외하면 상위권-하위권으로 같은 리그라도 간극이 나눠진 편이고 한국은 3팀이 모두 고르게 분배를 하긴 했다. 그 대신 최상위권은 유럽이 강세를 보인 편. 그리고 1일차만 봤을 때, 승자예측 이벤트에서 예측되었던 팀들이 대부분 부진했다. 1,2주차 둘다 1일차 1위를 했던 TL, 3주차 1빠로 올라간 젠지[* 물론 젠지는 이날 경기력이 좋았지만, 자기장이 정말 5라운드 내내 도망가면서 인서클 하며 인원이 줄었고, 어찌저찌 들어와도 다시 반대편으로 튀어버려서 멸망했다.]의 부진, 킬 MVP 유력 후보로 지목되었던 STK도 많은 킬을 먹지 못하며[* STK는 광탈을 3번이나 하며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투표권 수십만 장이 날라가게 생겼다. 현재 1위인 Faze와 킬 1위인 VP는 이전 위클리 파이널에서는 2일차때 좋은 경기력을 보이며 치킨을 가져가는 등 괜찮았지만 1일차의 부진을 다 씻어내지 못하며 중위권에 머물렀던 팀인 만큼 2일차 경기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 2일차 === [include(틀: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 2일차)] ==== 6경기 ==== || [youtube(IktwrUqEFS0)] || || '''6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미라마]]}}}[br]{{{-2 Match 6}}}''' || [[https://twire.gg/app/match/882777|[[파일:Miramar_Minimap.png|width=320]]]] || || '''1위'''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20]] {{{#373a3c,#ddd Gen.G}}}]]''' || || '''2위''' || '''[[파일:Oath_Gaming_logo.png|height=20]] {{{#373a3c,#ddd Oath}}}''' || || '''3위''' || '''[[Team Liquid|[[파일:Team_Liquid_2020.png|height=20]] {{{#373a3c,#ddd Team Liquid}}}]]''' || ==== 7경기 ==== || [youtube(J-ci-Xs86tc)] || || '''7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미라마]]}}}[br]{{{-2 Match 7}}}''' || [[https://twire.gg/app/match/882832|[[파일:Miramar_Minimap.png|width=320]]]] || || '''1위''' || '''[[ENCE|[[파일:ENCE_2020.png|height=20]] {{{#373a3c,#ddd ENCE}}}]]''' || || '''2위''' ||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Virtus_Pro_2019.png|height=20]] {{{#373a3c,#ddd Virtus.pro}}}]]''' || || '''3위'''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20]] {{{#373a3c,#ddd Gen.G}}}]]''' || ==== 8경기 ==== || [youtube(yWfurqv4UbA)] || || '''8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에란겔]]}}}[br]{{{-2 Match 8}}}''' || [[https://twire.gg/app/match/882889|[[파일:Erangel_Minimap_V4.png|width=320]]]] || || '''1위''' || '''[[Multi Circle Gaming|[[파일:MCG_logo.png|height=20]] {{{#373a3c,#ddd Multi Circle Gaming}}}]]''' || || '''2위''' || '''[[Virtus.pro/배틀그라운드|[[파일:Virtus_Pro_2019.png|height=20]] {{{#373a3c,#ddd Virtus.pro}}}]]''' || || '''3위''' || '''[[Triumphant Song Gaming|[[파일:Triumphant_Song_Gaminglogo_square.png|height=20]] {{{#373a3c,#ddd Triumphant Song Gaming}}}]]''' || ==== 9경기 ==== || [youtube(W3qwvX9Mt-I)] || || '''9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에란겔]]}}}[br]{{{-2 Match 9}}}''' || [[https://twire.gg/app/match/882943|[[파일:Erangel_Minimap_V4.png|width=320]]]] || || '''1위'''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373a3c,#ddd FaZe Clan}}}]]''' || || '''2위''' || '''[[Gen.G Esports/배틀그라운드|[[파일:Gen.G 로고 심플.svg|height=20]] {{{#373a3c,#ddd Gen.G}}}]]''' || || '''3위''' || '''[[Tianba Esports|[[파일:Tianba esports_logo.png|height=20]] {{{#373a3c,#ddd Tianba Esports}}}]]''' || ==== 10경기 ==== || [youtube(guBfp6UzS7o)] || || '''10경기 하이라이트''' || ||<-2> '''{{{#fff 경기 요약}}}''' || || '''{{{+2 [[에란겔]]}}}[br]{{{-2 Match 10}}}''' || [[https://twire.gg/app/match/883021|[[파일:Erangel_Minimap_V4.png|width=320]]]] || || '''1위''' || '''[[FaZe Clan/배틀그라운드|[[파일:FaZe_Clan_logo.png|height=20]] {{{#373a3c,#ddd FaZe Clan}}}]]''' || || '''2위''' || '''[[Tianba Esports|[[파일:Tianba esports_logo.png|height=20]] {{{#373a3c,#ddd Tianba Esports}}}]]''' || || '''3위''' || '''[[ENCE|[[파일:ENCE_2020.png|height=20]] {{{#373a3c,#ddd ENCE}}}]]''' || ==== 2일차 총평 ==== [include(틀: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 2일차 순위표)] == 3주차 위클리 파이널 총평 == [include(틀:PUBG Global Invitational.S 2021/3주/위클리 파이널 순위표)] 첫 10만달러의 주인이 유럽의 FaZe Clan이 되면서 '''기어이 유럽이 한국-중국-STK의 삼각구도에 구멍을 냈다.''' 특히 유럽은 모든 팀이 파이널에서 꾸준하지 못하고 하루씩 부진하면서 실속 없는 장사를 해왔으나 3주차에 그 평가를 뒤집는데 성공했다. 전체적인 플레이 양상은 유럽이 운영과 교전 양 면에서 모든 팀들을 쥐고 흔들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른 리그의 팀들도 분명히 빛났지만 유럽은 때로는 교전으로 박살을 냈고 때로는 철저하게 사리면서 상대 팀의 전력을 철저하게 소모시켰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FaZe와 VP가 있었고 자기장 운도 몇번이나 기막히게 따라주면서 당당하게 총합 $150,000+a 를 챙겨갔다. 반면에, 북미는 정말 가공할 전투력을 지녔지만 자기장 운영 능력이 떨어지면서 광탈도 굉장히 많았고, 한국은 지옥같은 자기장 운에서도 어떻게든 살아남는 운영 능력을 가졌지만 교전 능력이 모자랐다.[* 특히나, 투척 무기를 사용할 때 다른 팀보다 정확한 거리에 던져넣는 것이 부족하지 않냐는 말이 꽤 많이 나왔다. 킬 결정력도 부족해서 수많은 점수를 뜯겼고 이것도 두고두고 한이 되었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자기장의 신이 북미와 한국의 손을 잘 들어주지 않았고 경쟁 상대인 유럽에게 무릎을 꿇었다. [[분류:PUBG Global Champ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