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화포)]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
[[파일:German Occupation Museum 5cm PaK 38.jpg|width=100%]] || || '''5 cm Panzerabwehrkanone 38 (L/60)'''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aAgr2kxpQVc)] || || '''PaK 38 운용 영상''' ||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의 [[독일 국방군]]의 주력 [[대전차포]]. == 제원 == ||
* 구경 : [[50mm]] * 전장 : 4.75m * 전폭 : 1.85m * 중량 : 830kg * 발사각 : 27도 * 좌우선회각 : 65도 * 발사속도 : 분당 13발 * 포구초속 : 823m/s * 장갑관통력 : 500m 에서 61mm ~ 78mm * 운용인원 : 5명 || == 상세 == 5cm PaK 38 대전차포는 1938년에 독일의 [[라인메탈]] 사에서 개발한 3.7cm [[PaK 36]]의 후속작으로, 개발은 1938년에 이루어졌지만 실제로 전장에 투입된 것은 1941년부터였다. 일단 전작에 비해 제대로 된 대전차포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일단 5cm PaK 38은 이전의 3.7cm PaK 36에 비해 중량이 배 이상이었기 때문에 보조륜을 젖혀 포각 앞부분에 접착시킨 후 인력으로 진지전환을 실시하는 3륜구조였다. 견인시엔 주로 1톤의 반궤도 트럭, 말 6마리를 사용했는데 이 트럭에 직접 탑재한 자주포형도 있었다. 또한 전장의 험악함을 감안해서 통솔리드 타이어를 채택하였다. 그래서 인력으로 운용하기 쉬운 경계선에 있는 녀석이지만 운용은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원래 차기 주력 대전차포로 개발중이던 녀석이 급하게 제작돼서 나왔다. 그 이유는 1940년 6월 [[프랑스 침공]]당시 독일군의 주력 대전차포였던 3.7cm PaK 36은 [[프랑스군]]의 [[소뮤아 S35]] 및 [[르노 B1]], 영국군의 [[마틸다 II]]같은 중장갑을 가진 전차의 정면을 관통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독일에선 영국본토의 상륙작전을 위해서라도 마틸다 전차에 대항할 필요가 있는 대전차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서 5cm PaK 38은 '''완성되기도 전에''' 독일군에게 채용되었다. 5cm PaK 38은 1941년 4월에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는데 당시 발칸 반도 및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1941년 6월에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소련군]]의 [[T-34-76]] 전차에 대항가능한 얼마되지 않는 병기로 PaK 38은 독일군에게 귀중한 존재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전차포형은 물론 해당 포를 탑재한 [[3호 전차]]로도 장포신형, 단포신형 상관없이 T-34의 차체 전면은 그냥 관통이 불가능했고, [[KV-1]]같은 녀석의 경우는 근거리가 아니면 측후면도 관통을 장담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그리고 만일 그렇게 접근해서 사격을 성공하더라도 뒤따라온 적 전차와 적 보병에게 대전차포와 운용병이 햄버그 스테이크가 되는 것은 정해진 수순. 차라리 영국군의 [[6파운더]]는 [[분리철갑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거리 명중률은 극악이라고는 해도 근접시에는 명중률이 매우 높아져 공격에 성공할 확률이 높지만 이 녀석은 크기는 6파운더와 비슷한 녀석이 위력은 떨어지니 문제다. 물론 [[텅스텐]]이 들어간 철갑탄을 쓰면 KV-1도 근접하면 전면장갑을 관통할 수 있으므로 상대가 가능하지만 독일에게 있어 희소금속이던 텅스텐을 함부로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독일의 모든 화포는 항상 '''텅스텐탄 부족'''에 시달렸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따라서 독일에 있어서는 제3기 대전차포로 전쟁이 일단락될 때쯤에 나올 예정이라고 할 수 있는 7.5cm [[PaK 40]]이 역시 빠르게 개발돼서 배치되기 시작하자 점차 대체되었지만 고질적인 대전차포 부족으로 인하여 1944년까지 생산이 계속되어 공수부대 및 산악부대,심지어 1선급 부대에서도 75mm PaK 38/97, PaK 36(r) 과 더불어 종전까지 사용했으며, 일부는 [[대서양 방벽]]의 소형 [[벙커]]에 장착되어 [[노르망디 상륙작전]]시 상륙하는 연합군에게 불을 뿜었다. 대전 말기에는 연합군의 [[B-17]]을 요격하기 위해 [[Me210/410|Me410 A-1/U4]] 중전투기에 50mm [[https://en.wikipedia.org/wiki/BK_5_cannon|BK 5]] 기관포가 장착되는데, 이 기관포는 KwK 39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일부 [[Me 262]]는 비슷하게 KwK 39를 기반으로 개발된 50mm [[https://en.wikipedia.org/wiki/MK_214A_cannon|MK 214A]] 기관포를 장착하였지만, 시험 비행 단계를 넘지는 못했다. == 파생형 == === [[5 cm KwK 39|KwK 39]] === 차량 탑재용으로 PaK 38을 기반으로 개발된 [[5 cm KwK 39]] [[전차포]]가 존재한다. KwK 39는 [[3호 전차]] 후기형과 [[Sd.Kfz. 234]] 장갑차에 탑재되어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영국군의 [[순항전차]]와 미군의 [[경전차]]를 상대로 활약하지만 [[독소전쟁]]에서 소련군의 [[중전차]]를 상대로는 역시 부족함을 보여줬다. == 미디어 == === 영화/드라마 === ==== [[퓨리(영화)|퓨리]] ==== ||||
[[파일:external/www.imfdb.org/Fury_Town_AT_%282%29.jpg|width=100%]] || || [[파일:external/www.imfdb.org/Fury_Town_AT.jpg|width=100%]] || [[파일:external/www.imfdb.org/Fury_Town_AT_%283%29.jpg|width=100%]] || |||| '''퓨리에서 등장한 무장친위대 소속 PaK 38''' || 시가지 전투때 한대가 등장한다. 마을에서 한 건물에 매복해있다가 저격수를 처리한 퓨리를 향해 포탄을 발사하지만 포탑에 맞고 [[도탄]]되었다. 곧이어 퓨리가 쏜 [[백린탄]]에 맞으면서 포수들이 고통스럽게 빠져나오고 이를 본 노먼이 [[M1919 브라우닝|M1919A4]] 차체기관총을 쏘아서 전부 사살한다. 한편 고르도, 그리고 나머지 미 육군 보병들은 이 포수들을 [[화형|'''타죽게 내버려 두었다.''']] === 게임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독일 국방군의 2티어 건물에서 생산 가능한 대전차포로 등장한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 ||
[[파일:1673708314380.jpg|width=100%]] ||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서 등장한 독일 아프리카 군단 소속 PaK 38'''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독일 아프리카 군단|아프리카 군단]]의 대전차포 유닛으로 등장한다. ==== [[인리스티드]] ==== 공병이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로 나온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 ==== 독일군, 핀란드군, 루마니아군이 사용한다. 헝가리군이 많이 쓰는 PaK 97/38보단 성능이 좀더 좋다. 최대 사거리가 1.5km로 경장갑차량은 잘 잡지만 일반적인 연합군 중형전차 셔먼, T-34 등을 1.5km에서 잡지 못하기 때문에 멀티에서 인기는 낮다. 측면에 숨겨서 측면을 쏘거나 1km 내에서 [[APCR]]을 쏴야 중형전차를 잡을 수 있다. 아니면 일반 AP탄으로 거의 500m 내에서 쏴야만 중형전차를 잡는다. [[1944년]]시점인 게임상 연합군 최강 전차인 [[IS-2]]의 경우 정면은 뭘해도 안되고 측면은 숨어서 근접 APCR로 잡을 수 있다. 숲이나 마을에서 교전거리가 짧은 지역에 배치해서 근접격파를 노리는 경우 가끔 사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1.7km에서 쉽게 중형전차 전면을 잡는 [[PaK 40]]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다. 캠페인 역시 1944년 시점인 만큼 독일 보병사단들도 PaK 40을 훨씬 많이 사용하며 PaK 38은 보기도 힘들다. 경보병, 기병, 산악사단 같은 경무장 부대에서나 사용된다. 루마니아군은 캠페인에서 상당히 많이 사용하며 핀란드군은 없어서 못쓴다. [[분류:50mm]][[분류:대전차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