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페이즐리 파크)] ||<-5> '''{{{+1 [[프린스(음악가)|Prince]]의 {{{#b2a529 싱글 크로놀로지}}}}}}''' || || ''Raspberry Beret''[br](1985) ||<|2> → || '''Paisley Park'''[br](1985) ||<|2> → || ''Pop Life''[br](1985) || ||<-2><#fff> '''{{{+1 Paisley Par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페이즐리 파크 사진.jpg|width=100%]]}}}|| || '''수록 음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7, #fffff7); font-size: .9em" {{{#000 '''Around the World in a Day'''}}}}}} || || '''아티스트''' ||[[프린스(음악가)|프린스]] 앤 더 레볼루션 || || '''발매일''' ||[[1985년]] [[5월 24일]] || || '''녹음 기간''' ||[[1984년]] [[9월 10일]] || || '''장르''' ||[[사이키델릭 록]] || || '''재생 시간''' ||'''^^앨범^^''' 4:41[br]'''^^리믹스^^''' 6:53 || || '''레이블'''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워너 뮤직 그룹|[[파일:워너 뮤직 그룹 로고.svg|width=70]]]]}}} || || '''작사/작곡'''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 '''프로듀서'''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mhL5ynXzB0)]}}} || || '''뮤직 비디오''' || [[프린스(음악가)|프린스]]의 7집 앨범 Around the World in a Day의 수록곡으로 1985년 5월 24일에 발매되었다. Paisley Park는 Purple Rain 앨범이 발매되고 3개월만에 녹음된 곡이다. 노래의 바이올린은 노비 노보그가 연주했으며, 음악 듀오 웬디 & 리사가 백 보컬을 맡았다. == 상세 == [[사이키델릭 록]] 장르의 곡이다. == 가사 == ||<-2><#fff> ---- {{{+2 '''Paisley Park'''}}} ---- One, two, one, two, three There is a park that is known For the face it attracts Colorful people whose hair On 1 side is swept back The smile on their faces It speaks of profound inner peace Ask where they're going They'll tell you nowhere They've taken a lifetime lease On Paisley Park The girl on the seesaw is laughing For love is the color This place imparts (Paisley Park) Admission is easy, just say you Believe and come to this Place in your heart Paisley Park is in your heart There is a woman who sits All alone by the pier Her husband was naughty And caused his wife so many tears He died without knowing forgiveness And now she is sad, so sad Maybe she'll come to the park And forgive him And life won't be so bad In Paisley Park The girl on the seesaw is laughing For love is the color This place imparts (Paisley Park) Admission is easy, just say you Believe and come to this Place in your heart Paisley Park is in your heart See the man cry as the city Condemns where he lives Memories die but taxes He'll still have to give (Who) whoever said that elephants Were stronger than mules? Come to the park And play with us There aren't any rules In Paisley Park The girl on the seesaw is laughing For love is the color This place imparts (Paisley Park) Admission is easy, just say you Believe and come to this Place in your heart Paisley Park is in your heart The girl on the seesaw is laughing For love is the color This place imparts (Paisley Park) Admission is easy, just say you Believe and come to this Place in your heart Paisley Park is in your heart Your heart, your heart Paisley Park Your heart, your heart, your heart (sing, sing it) Paisley Park, Paisley Park, Paisley Park ---- [[파일:프린스 로고.webp|width=100]] || == 차트 성적 == 호주의 켄트 뮤직 레코드에서 38위, 벨기에의 울트라톱 50에서 40위, 네덜란드의 싱글 톱 100에서 40위, 뉴질랜드의 리코디드 뮤직 NZ에서 26위, 영국 싱글 차트에서 18위를 기록했다. == 페이즐리 파크 스튜디오 == [[파일:PP-Exterior-at-Paisley-Park_91852798b59be8b28fc00edfe4aec23a.jpg]] [[https://www.paisleypark.com/|PaisleyParkStudio]] [[프린스(음악가)|프린스]]가 1987년부터 사용한[* 1987년에 완공되었다.] 스튜디오로, [[미네소타 주]] 첸하샌에 위치해 있다. 이름은 위의 수록곡에서 따왔다. 마이클 잭슨에게 [[네버랜드 랜치]]가 있다면, 프린스에게는 페이즐리 파크 스튜디오가 있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로, 프린스가 애정했던 공간이다. 생전의 프린스는 [[미네소타]] [[토박이]]였고, 태어나고 자라고, 사망할때 까지 미네소타를 떠나지 않았다. 프린스는 페이즐리 파크를 세운 후, 죽을 때 까지 이곳에서 거주하며 음악 활동을 하였다. 1987년 이후로 부터 프린스의 스튜디오 녹음을 전담하였고, 재발매 앨범을 제작을 하였으며, 프린스가 2016년 쓰러진채 발견 된 곳도[* 이후 병원에 이송되었지만 사망하였다.] 바로 이곳이다. 페이즐리 파크에는 공연장이 있는데, 프린스는 [[미네소타]]의 이 작은 공연장에서 자주 공연하고는 하였다.[* [[유튜브]]에서 프린스 라이브에 Paisley Park 라는 제목이 올라온다면 이곳의 공연장에서 공연했다고 볼 수 있다.] 프린스 사후, 65,000피트 면적의 페이즐리 파크는,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대중들에게 개방되었고, [[미네소타]]의 랜드마크 중 하나가 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페이즐리 파크, version=215)] [[분류:프린스(음악가) 노래]][[분류:1985년 노래]][[분류:1985년 싱글]][[분류:사이키델릭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