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일리 사이러스/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2위 노래]][[분류:2009년 노래]][[분류:RIAA 다이아몬드 인증 싱글]][[분류:2009년 싱글]][[분류:틴 팝]]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마일리 사이러스/싱글 목록)] [include(틀:마일리 사이러스)] [[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 ---- {{{#!wiki style="word-break:keep-all" ||<-3><#9c75ab> '''[[마일리 사이러스/싱글 목록|{{{#fff 마일리 사이러스의 역대 싱글}}}]]''' || || ← ||<|2> [[The Time Of Our Live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ff;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9c75ab '''The Time Of Our Lives'''}}}}}}]][br]''' ''{{{+1 Party in the U.S.A.}}}'' '''[br]{{{-2 (2009. 08. 11.)}}} || → || || [[한나 몬타나|{{{#!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985D9F;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ff '''한나 몬타나:더 무비'''}}}}}}]][br]'''[[Hoedown Throwdown|{{{#985D9F Hoedown Throwdown}}}]]'''[br]{{{-2 (2009. 03. 10.)}}} || [[마일리 사이러스/싱글 목록|{{{#!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153e44;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fff '''피처링 싱글'''}}}}}}]][br]'''[[We Belong to the Music|{{{#153e44 We Belong to the Music}}}]]'''[br]{{{-2 (2009. 12. 01.)}}} ||}}} {{{#!wiki style="word-break:keep-all" ||<-3> '''{{{+2 ''Party in the U.S.A.'' }}}[br][[The Time Of Our Lives|{{{-2 {{{#fff The Lead Single of The Time Of Our Lives}}}}}}]]'''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tyintheusa.jpg|width=100%]]}}}|| || '''아티스트''' ||<-2> [[마일리 사이러스]] || || '''발매일''' ||<-2> 2009년 8월 11일 || || '''수록 음반'''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c75ab; font-size: .85em; word-break: keep-all" [[The Time Of Our Lives|{{{#fff '''The Time Of Our Lives'''}}}]]}}} || || '''작사 작곡''' ||<-2> Lukasz Gottwald, [[제시 제이|Jessica Cornish]], Claude Kelly || || '''프로듀서''' ||<-2> Dr. Luke || || '''레이블'''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7px 5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할리우드 레코드|[[파일:할리우드 레코드 로고.svg|width=100]]]]}}} || ||<|4> '''성적''' || [include(틀:빌보드 로고,문서명=빌보드 핫 100)] || '''2위'''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50]]]] || '''11위''' || || [include(틀:유튜브 로고)] || '''911,762,211회'''[*A 2023년 3월 13일 기준] || || [[스포티파이|[[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50]]]] || '''1,142,789,190회'''[*A 2023년 3월 13일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Party in the U.S.A..gif|width=100%]]}}}|| || {{{-2 {{{#9c75ab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 Party in the U.S.A.는 2009년 8월 11일 발매된 [[미국]]의 가수 [[마일리 사이러스]]의 싱글이다. 그녀의 최고 히트곡 중 하나이면서, '미국의 국민 여동생'으로서의 마일리 사이러스를 상징하는 곡이기도 하다. == 상세 == 닥터 루크가 프로듀싱을 맡았고, 작사 작곡에 [[제시 제이]]가 참여했다. 본래 제시 제이가 부르려고 했으나, 자신과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는 이유로 마일리 사이러스에게 주었다고. 마일리에게 곡이 간 이후 가사를 고치고 마일리 특유의 창법이 더해지면서 [[팝 음악|팝]]과 [[컨트리]]가 섞인 절묘한 노래가 탄생했다. 노래의 가사나 분위기, 그리고 노래를 부르던 당시의 마일리의 이미지와 겹치며 미국에선 10대 파티 문화의 필수곡처럼 자리잡았다. 프롬이나 홈커밍에서 이 노래가 나오면 정말 큰 떼창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매년 [[독립기념일(미국)|독립기념일]] 때마다 판매량이 급상승하는 노래이기도 하다. 미국 국민의 애청곡으로 자리잡은 셈. == 성적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마일리 사이러스 최고 히트곡 중 하나. 상당히 인기를 끌었음에도 불구하고 빌보드 핫 100 최고 순위는 2위에 그쳤는데, 당시 1위 곡이 너무 강력했다. 당시 1위는 [[블랙 아이드 피스]]의 [[I Gotta Feeling]]으로, 이 곡은 빌보드 핫 100에서 무려 14주 연속 1위를 차지하고, 빌보드 역사상으로도 손에 꼽는 메가 히트곡이기 때문. 이후 마일리는 [[We Can't Stop]] 때에도 막강한 히트곡 [[Blurred Lines]]에 막혀 빌보드 2위의 벽을 넘지 못했다가, [[Wrecking Ball]]을 통해서야 마침내 빌보드 1위를 거며쥔다. [[RIAA]]에서 천만 장 이상 판매를 의미하는 다이아몬드 인증을 획득했다. 마일리 사이러스의 싱글로서는 처음이며, 여성 솔로 가수 전체로 봐도 많지 않은 기록이다.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11SvDtPBhA)]}}}|| || '''Music Video'''[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2009. 9. 26.)^^}}}}}} || == 가사 == ||<#9c75ab> {{{#fff '''Party in the U.S.A.'''}}} || ||<#fff,#191919> I hopped off the plane at L.AX 난 LA공항에서 내렸어 With a dream and my cardigan 꿈과 내 가디건과 함께 Welcome to the land of fame excess (woah) 명예가 넘치는 이 땅에 (whoa) Am I gonna fit in? 내가 이곳에 잘 맞을까? Jumped in the cab, here I am for the first time 택시를 탔어, 난 여기가 처음이야 Look to my right, and I see the Hollywood sign 오른쪽을 봤는데 할리우드 싸인이 있어 This is all so crazy 여긴 정말 모든게 최고야, Everybody seems so famous 모든 사람들이 유명해 보여 My tummy's turnin' and I'm feelin' kinda home sick 배가 고프고 집이 그리워져 Too much pressure and I'm nervous 너무 많이 긴장되고 떨려 That's when the taxi man turned on the radio 그때 택시 기사가 라디오를 틀었는데 And a [[제이지|Jay-Z]] song was on [[제이지|제이-지]] 노래가 흘러 나왔어 And a Jay-Z song was on 제이-지 노래가 흘러 나왔어 And a Jay-Z song was on 제이-지 노래가 흘러 나왔어 So I put my hands up 그래서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They're playing my song, the butterflies fly away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나비들은 저 멀리 날아가[* 마일리의 노래 'butterflies fly away'를 연상시키는 부분. 해당 곡은 나비처럼 날아 꿈을 다 이뤄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I'm noddin' my head like, yeah 고개를 끄덕이며, yeah Movin' my hips like, yeah 엉덩이를 흔들며, yeah I got my hands up, they're playing my song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I know I'm gonna be okay 나는 내가 괜찮아 질 거란 걸 알아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Get to the club in my taxi cab 내 택시가 클럽에 도착했어 Everybody's looking at me now 모두가 날 쳐다보고 있어 Like, "Who's that chick, that's rockin' kicks? 마치, "저기 흔들고 있는 촌뜨기는 누구야? She gotta be from out of town" 여기 출신이 아닌거 같은데" 라는 표정이야 So hard with my girls not around me 내 친구들이 내 곁에 없어서 너무 힘들어 It's definitely not a Nashville party 이건 확실히 Nashville의 시골 파티와는 달라 'Cause all I see are stilettos 눈앞에 보이는 건 뾰족한 하이힐들 뿐이니까 I guess I never got the memo 이럴 줄은 상상도 못했는데 My tummy's turnin' and I'm feelin' kinda home sick 배가 고프고 집이 그리워져 Too much pressure and I'm nervous 너무 많이 긴장되고 떨려 That's when the DJ dropped my favorite tune 그때 DJ가 내가 좋아하는 곡을 틀었어 And a [[브리트니 스피어스|Britney]] song was on [[브리트니 스피어스|브리트니]] 노래가 흘러 나왔어 And a Britney song was on 브리트니 노래가 흘러 나왔어 And a Britney song was on 브리트니 노래가 흘러 나왔어 So I put my hands up 그래서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They're playing my song, the butterflies fly away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나비들은 저 멀리 날아가 I'm noddin' my head like, yeah 고개를 끄덕이며, yeah Movin' my hips like, yeah 엉덩이를 흔들며, yeah I got my hands up, they're playing my song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I know I'm gonna be okay 나는 내가 괜찮아 질 거란 걸 알아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Feel like hopping on a flight (on a flight)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나는 기분이야 (비행기를 타고) Back to my hometown tonight (town tonight) 오늘 밤 난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야해 (오늘 밤 고향으로) Something stops me every time (every time) 뭔가가 계속 마음에 걸려 (계속) The DJ plays my song and I feel alright DJ가 내 노래를 틀고 내 기분이 괜찮아져 So I put my hands up 그래서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They're playing my song, the butterflies fly away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나비들은 저 멀리 날아가 I'm noddin' my head like, yeah (noddin' my head) 고개를 끄덕이며, yeah (고개를 끄덕여) Movin' my hips like, yeah (ooh yeah) 엉덩이를 흔들며, yeah (ooh yeah) I got my hands up, they're playing my song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I know I'm gonna be okay (gonna be okay) 나는 내가 괜찮아 질 거란 걸 알아 (괜찮아 질 거란 걸)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So I put my hands up 그래서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They're playing my song, the butterflies fly away (flying away)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나비들은 저 멀리 날아가 (날아가) I'm noddin' my head like, yeah (noddin' my head like, yeah) 고개를 끄덕이며, yeah (고개를 끄덕이며, yeah) Movin' my hips like, yeah (movin' my hips like, yeah) 엉덩이를 흔들며, yeah (엉덩이를 흔들며, yeah) I got my hands up, they're playing my song 내 두 손을 높이 들어, 내 노래가 흘러 나오고 있어 I know I'm gonna be okay (I'm gonna be okay) 나는 내가 괜찮아 질 거란 걸 알아 (난 괜찮아 질 거야) Yeah, it's a party in the U.S.A. Yeah,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Yeah (ha-ha-ha-ha), it's a party in the U.S.A. Yeah (ha-ha-ha-ha), 이건 미국에서의 파티야 || == 무대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DGLtozAjH0)]}}}|| || '''Teen Choice Awards 2009'''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dSNkDU0yq4)]}}}|| || '''On Today Show 20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lqUAxBtcfw)]}}}|| || '''BBC Radio 1's Live Lounge (2017)''' || == 둘러보기 == [include(틀:The Time Of Our Lives/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