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hantom Forces/액세서리/조준경)] [목차] == 개요 == 2배율 이하[* PKA-S가 2.00배율로 최고배율이다. 과거에는 3배율이었다.]의 배율을 지닌 조준경이다. 9.0.0 업데이트 때, Z-Point를 포함한 좁은 시야를 가진 조준경들의 재질이 유리로 바뀌면서 넓은 시야를 갖게 되었다.[* 유리 너머로는 유리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이용한 듯 하다.] 또한 모든 조준경들의 배율이 전체적으로 낮아졌다. 무배율 콘셉트에 맞춰가는 듯 하다. === Z-point === ||<-2><#C0C0C0> '''{{{#ffffff Z-poin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0).png|width=100%]] [[파일:PFRedotIGUDT (2).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10|| || '''{{{#ffffff 조준경 배율}}}''' ||1.25|| || '''{{{#ffffff 설명}}}''' ||전설적인 자이스 AG사가 만든 조준경으로 이 단단한 도트 사이트는 [[전광석화]]같은 목표 처치와 놀라인 정밀성을 필요로하는 사냥꾼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모델은 [[자이스]]사의 [[http://sechsmillimeter.info/images/cpbilder/stories/reviews/Z-Point/9.jpg|Z-point]]. 제일 먼저 열리는 조준경. 배율이 없다시피하고 시야가 좁아 초반말곤 다 갈아탄다. 당연히 기본적인 조준 시야 자체는 넓어지기에 모든 기본 아이언 사이트의 상위호환. 여담으로 총의 측면에는 [[자이스]] 로고가 아니라 Stylis가 비슷한 모습으로 각인되어있다. === EOTech XPS2 === ||<-2><#C0C0C0> '''{{{#ffffff EOTech XPS2}}}'''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2).png|width=100%]] [[파일:PFRedotIG (2).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45[* 조준 & 명중률 업데이트 이전에는 55킬을 요구했다.]|| || '''{{{#ffffff 조준경 배율}}}''' ||1.70|| || '''{{{#ffffff 설명}}}''' ||XPS2는 개선된 목표 처치를 위해 가장 짧고 가장 작으면서 가장 가벼운 이오텍 홀로그램 사이트입니다.|| 모델은 EOTech사의 [[https://media.midwayusa.com/productimages/880x660/Primary/188/371237.jpg|XPS2]]. 업데이트로 모델링이 바뀌었다. 레티클이 552와 달리 아래에 점이 하나 더 있는 모양새여서 시야에 방해가 될때가 있다. L2A3에게 장착될 경우 [[스펀지밥]] 테이프로 둘둘 감아진 외형이 되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 Delta Sight === ||<-2><#C0C0C0> '''{{{#ffffff Delta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3).png|width=100%]] [[파일:PFRedotIG (3).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60|| || '''{{{#ffffff 조준경 배율}}}''' ||1.30|| || '''{{{#ffffff 설명}}}''' ||초소형 델타 레티클 사이트는 깨끗하고 극히 간단한 일점영상을 제공해 정확하게 쏠 수 있습니다.|| 모델은 [[https://www.leupoild.com/scopes/red-dot-sights/detapoint-pro|Leupold DeltaPoint Pro]]. 패치로 일반 주무장에도 달리게 되었다. 낮은 해금 킬수와 1.5배율 사이트 중 가장 넓은 시야를 가진 가성비 높은 조준기지만 삼각형 레티클이 호불호가 심히 갈리는 편. === MARS === ||<-2><#C0C0C0> '''{{{#ffffff MAR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4).png|width=100%]] [[파일:PFRedotIG (4).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70|| || '''{{{#ffffff 조준경 배율}}}''' ||1.55|| || '''{{{#ffffff 설명}}}''' ||ITL 다용도 조준 리플렉스 사이트는 이스라엘제 배터리 작동식 도트 사이트입니다. 전술적인 상황에서 정확한 조준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모델은 실존하는 [[http://images2.opticsplanet.com/365-240-ffffff/opplanet-fraser-volpe-mars-red-dot-sight.jpg|MARS]] 도트 사이트. 기본으로 레이저가 세트인게 특징.[* 이전에는 레이저가 제공되지 않아 그냥 도트 사이트였다.] 이 레이저는 장식이 아니고 총열하부나 기타 항목에서 달 수 있는 그 레이저와 같이 미미한 반동감소, 지향사격 안정성 증가 효과가 있다. 사이드웨이 그립을 장착해 견착으로 쏠떼는 저가형 AMT-Termimator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거 가지고 3종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몇몇 상황에서는 AMT보다 얘가 더 좋을 수 있다. AMT가 힙파이어 안정성을 더 올려주긴하지만, M231같이 원중거리 교전을 포기한 애들이 아니면 정조준이 가능한 MARS가 더 낫기 때문] 5.7.3버전 이전에는 2배율이었지만 1.5배율로 바뀌어 분류가 바뀌었다. === EOTech 552 === ||<-2><#C0C0C0> '''{{{#ffffff EOTech 552}}}'''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5).png|width=100%]] [[파일:PFRedotIG (5).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85|| || '''{{{#ffffff 조준경 배율}}}''' ||1.50|| || '''{{{#ffffff 설명}}}''' ||이오텍 모델552는 정예군 조직과 법 집행기관이 선택하는 조준경으로 근접대응 속도와 범용성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모델은 EOTech사의 [[https://ii.cheaperthandirt.com/fcgi-bin/iipsrv.fcgi?FIF=/images/cheaperthandirt/source/scp-7552_1.tif&wid=1000&cvt=jpeg|552]]. 배터리 삽입구가 앞쪽에 있다. 레티클 때문에 체감반동이 적어져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는반면 레티클이 복잡해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조준경 본체에는 EOTech사의 로고가 아닌 Stylis 스튜디오의 로고가 그려져 있다. === Mini Sight === ||<-2><#C0C0C0> '''{{{#ffffff Mini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6).png|width=100%]] [[파일:PFRedotIG (6).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120|| || '''{{{#ffffff 조준경 배율}}}''' ||1.20|| || '''{{{#ffffff 설명}}}''' ||미니 레드 도트 사이트(MRDS)는 소형 전지를 동력원으로 삼는 근접전에서의 빠른 목표 처치를 위한 리플렉스 사이트입니다. 모든 광원 하에서 높은 주시성을 바탕으로 한 깨끗한 시야를 제공합니다.|| 모델은 [[https://www.trijicon.com/na_en/products/product3.php?pid=RM05G|트리지콘 RM05G]] 권총용 도트 사이트. 주무기에도 달리며, 점이 커서 체감상 흔들림의 진폭이 좁기에 반동이 불안정한 총에 채용할 수 있다. [* HK416이나 TAR21 등. G18이나 TEC-9도 나름 적합하지만 mac 10의 경우 반동이 너무 강해 레디클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 Comp Aimpoint === ||<-2><#C0C0C0> '''{{{#ffffff Comp Aimpoin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7).png|width=100%]] [[파일:PFRedotIGUDT (3).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130|| || '''{{{#ffffff 조준경 배율}}}''' ||1.45|| || '''{{{#ffffff 설명}}}''' ||에임포인트 CompM4는 지향성 레드닷 코일메이터 리플렉스 사이트는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때 우월한 상황 판단력을 제공해줍니다.|| 모델은 실존하는 [[http://ultimak.com/products/apcompc.jpg|Aimpoint Comp]]. 스코프 업데이트로 테두리가 두꺼워져 위상이 떨어진 대신에 1.9배율이 되었다. === PKA-S === ||<-2><#C0C0C0> '''{{{#ffffff PKA-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8).png|width=100%]] [[파일:PFRedotIGUDT (4).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225|| || '''{{{#ffffff 조준경 배율}}}''' ||2.00|| || '''{{{#ffffff 설명}}}''' ||PKS-01의 후계 모델로 러시아의 첨단 배터리 작동식 코일메이터 조준경입니다. 근중거리 전투에 적합하며 깨끗하고 개방된 시야면을 가집니다.|| 모델은 PK-A의 파생형인 [[http://i50.tinypic.com/2w2g9w4.jpg|PK-AS]]. PK-A와는 다르게 검은색 큰 원 안에 빨간색 닷이 찍혀있다.[* 홀로그램 사이트들처럼 가운데 빨간 닷이 매우 작다.] 스코프 업데이트로 배율이 3배율이 되어 꽤 높아졌다. === Reflex Sight === ||<-2><#C0C0C0> '''{{{#ffffff Reflex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9).png|width=100%]] [[파일:PFRedotIG (9).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285|| || '''{{{#ffffff 조준경 배율}}}''' ||1.50|| || '''{{{#ffffff 설명}}}''' ||리플렉스는 트리지콘의 고급 반사식 사이트로 어떠한 광원 하에서 사격수에게 완벽한 조합 속도와 정밀성을 제공합니다.|| 이름만 보면 다른 조준경 위에도 붙일 수 있는 [[https://ae01.alicdn.com/kf/HTB176zSLVXXXXX6XFXXq6xXFXXXW/11mm-20mm-Rail-Riflescope-Hunting-Airsoft-Optics-Scope-Holographic-Red-Dot-font-b-Sight-b-font.jpg|Reflex sight]]가 모델처럼 보이겠지만 실제로는 '''트리지콘 RX01'''[* 원본 페이지 삭제됨]이 모델이다. 위의 Z-Point와 레티클은 비슷하고 시야가 더 좁지만 오히려 특유의 깔끔한 생김새덕에 쓰는 사람이 정말 많다. === Kobra Sight === ||<-2><#C0C0C0> '''{{{#ffffff Kobra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0).png|width=100%]] [[파일:PFRedotIG (10).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330|| || '''{{{#ffffff 조준경 배율}}}''' ||1.70|| || '''{{{#ffffff 설명}}}''' ||전통적인 러시아제 레드닷 전투 조준경은 첨단 레이저 HUD 기술로 보정된 조준경에 조준점을 띄워놓습니다.|| 모델은 러시아제로 잘 알려진 [[http://www.gunfellas.co.uk/ekmps/shops/gunfellas/images/kobra-military-ak47-red-dot-sight-109-p.jpg|Kobra sight]]. 조준 레티클이 십자 형태에서 위의 선이 빠진 모양이다. === Coyote Sight === ||<-2><#C0C0C0> '''{{{#ffffff Coyote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1).png|width=100%]] [[파일:PFRedotIG (11).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380|| || '''{{{#ffffff 조준경 배율}}}''' ||1.50|| || '''{{{#ffffff 설명}}}''' ||빠른 목표 처치와 초근접 명중률을 위한 중국제 소형 도트 사이트입니다.|| 모델은 Coyote Sight란 별칭을 지닌 [[https://www.alibaba.com/product-detail/Tactical-Combat-JH406-red-green-dot_62416728020.html|JH-406]]. 육각형 모양이라 시야가 매우 많이 트이고 하얀색 닷을 가지고 있다. 시야각을 잡기에 아주 좋기에 총기를 갓 언락했을때 크레딧이 많은 유저는 이 조준경을 먼저 사놓는 경우가 많다. 다만 배율이 2배율로 다소 높아서 넓은 조준시야와 좋지못한 시너지를 내어 체감상에서의 조준안정이 불안정해진다 === Microdot Mini === ||<-2><#C0C0C0> '''{{{#ffffff Microdot Mini}}}'''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2).png|width=100%]] [[파일:PFRedotIGUDT (5).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490|| || '''{{{#ffffff 조준경 배율}}}''' ||1.20|| || '''{{{#ffffff 설명}}}''' ||탄탄한 품질을 지닌 도트 사이트로 가볍고 작으면서도 원크기의 도트 사이트급 성능을 지녔습니다.|| 모티브는 [[https://www.aimpoint.com/products/red-dot-sights/micro-t-1-2-moa-red-dot-reflex-sight|Aimpoint T-1]]. 특유의 하늘색 닷이 인상적이지만, 레티클이 작고 테두리가 꽤 두꺼워 위상이 좋지는 못하다. === Pilad 3 === ||<-2><#C0C0C0> '''{{{#ffffff Pilad 3}}}'''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3).png|width=100%]] [[파일:PFRedotIG (13).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500|| || '''{{{#ffffff 조준경 배율}}}''' ||1.90|| || '''{{{#ffffff 설명}}}''' ||필라드3는 레이저 포인터로 렌즈에 비추는 형식의 전통적인 조준경으로 간단하면서 작은 도트 사이트로 사냥꾼의 기초를 다져줍니다.|| 모델은 [[http://en.pilad-vomz.ru/products/product/122|필라드 PF01X25 도트 사이트]]. 리플렉스보다 시야가 깔금해서 리플렉스 상위호환 취급을 받는다. === Kobra EKP Sight === ||<-2><#C0C0C0> '''{{{#ffffff Kobra EKP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4).png|width=100%]] [[파일:PFRedotIGUDT (6).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625|| || '''{{{#ffffff 조준경 배율}}}''' ||1.40|| || '''{{{#ffffff 설명}}}''' ||전통적인 러시아의 도트 사이트로 첨단 레이저 생성식 HUD로 필터링된 렌즈에 집적시켜주며 이번에는 햇빛 가리개를 포함시켰습니다.|| 5.6.4버전에서 추가된 도트 사이트, [[https://redcolonel.com/kobra-ekp-8-18-red-dot-sight-for-weaver-picatinny-4-reticles.html|Kobra EKP-8-18]]가 모티브다. === Acro P-1 Sight === ||<-2><#C0C0C0> '''{{{#ffffff Acro P-1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5).png|width=100%]] [[파일:PFRedotIG (15).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675|| || '''{{{#ffffff 조준경 배율}}}''' ||1.60|| || '''{{{#ffffff 설명}}}''' ||업계에서 가장 작은 전문가급 초근접 시스템으로 정밀한 마음으로 만든 저배율 도트입니다.|| 5.6.5버전에서 추가된 도트 사이트로 [[https://www.aimpoint.com/products/red-dot-sights/acro-p-1-3-5-moa-red-dot-reflex-sight-with-integrated-acro-interface|에임포인트 Acro P-1]]이 모티브다. 원래는 Macro P-1이란 이름으로 등장했지만 후속 업데이트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Barska Electro === ||<-2><#C0C0C0> '''{{{#ffffff Barska Electro}}}'''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6).png|width=100%]] [[파일:PFRedotIG (16).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750|| || '''{{{#ffffff 조준경 배율}}}''' ||1.40|| || '''{{{#ffffff 설명}}}''' ||일렉트로는 바르스카의 도트 사이트 업계에 내놓은 출사표로 미국에서 만들어 강력한 다이오드로 파노라마 상태에서도 또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모델은 [[https://www.opticscentral.com.au/barska-electro-sight-multi-reticle.html|Barska Electro Sight]]. 코요테 사이트에 홀로그램 레티클이 달려있는 조준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EOTech M40 === ||<-2><#C0C0C0> '''{{{#ffffff EoTech M4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7).png|width=100%]] [[파일:PFRedotIG (17).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755|| || '''{{{#ffffff 조준경 배율}}}''' ||1.80|| || '''{{{#ffffff 설명}}}''' ||유탄발사기에 쓰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근데 유탄발사기를 진짜로 쓰는 사람이 있나요?|| [[https://www.opticsplanet.com/eotech-dedicated-holographic-sight-system-for-m4-with-m203-ballistic-reticle.html|EOTech사의 Dedicated Holographic Sight System]]가 모티브로 [[M203 유탄발사기|M203]]을 장착한 M4에 붙는 보조 조준경 비스무리한 녀석이라 레일 위가 아니라 총몸 옆에 붙는다. 특유의 조준점 모양새덕에 조준경 역할을 제대로 하는지는 의문. === Kousaku Sight === ||<-2><#C0C0C0> '''{{{#ffffff Kousaku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8).png|width=100%]] [[파일:PFRedotIG (18).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777|| || '''{{{#ffffff 조준경 배율}}}''' ||1.25|| || '''{{{#ffffff 설명}}}''' ||일본 흑마법을 이용한 (아니면 내가 지어낸) 홈메이드 조준경입니다. 고마워요 일본 :)|| 원본은 일본의 유튜버 Kousaku Japan이 만든 [[https://youtu.be/qnoximEMF68|2종의 DIY 광학사이트.]] 겉보기엔 큼지막한 점이 4개나 찍혀있어 시인성이 좋지 못하나, 조준 배율이 1배율로 작아서 체감적인 반동이 상당수 줄어든다. [* AK 계열에 달 경우 괜찮은 반동시야를 가져오면서 쏘는것이 한층 편해진다.] 가성비 최강 델타, 이와같은 장점덕에 최고의 범용성을 보여주는 코요테 시리즈와 OKP-7과 더불어 매우좋은 사이트로 평가 받는다. E-Gun에 기본으로 장착할 수 있다. === Microdot SRS === ||<-2><#C0C0C0> '''{{{#ffffff Microdot SR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19).png|width=100%]] [[파일:PFRedotIGUDT (7).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870|| || '''{{{#ffffff 조준경 배율}}}''' ||1.35|| || '''{{{#ffffff 설명}}}''' ||전문 지정사수가 쓰는 폐쇄식 도트 사이트로 AA배터리 하나와 태양 전지의 도움을 받아 가동합니다.|| 5.6.4버전에서 추가된 도트 사이트, 모티브는 트리지콘의 [[https://m.blog.naver.com/nicemej/120202224254|SRS 1x38]]로 우측 부분의 살짝 튀어나와 있다. 테두리 크기에 맞지 않는 위상과 유난히 어두운 색깔덕에 시야확보가 썩 좋지만은 않다. === OKP-7 === ||<-2><#C0C0C0> '''{{{#ffffff OKP-7}}}'''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20).png|width=100%]] [[파일:PFRedotIG (20).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900|| || '''{{{#ffffff 조준경 배율}}}''' ||1.50|| || '''{{{#ffffff 설명}}}''' ||OKP-7은 러시아의 배터리 가동식 코일메이팅 조준경으로 개선된 시야를 위해 렌즈가 '떠 있게' 만들어 허를 찔렀습니다. 코브라처럼 레이저로 레티클을 형성합니다.|| 시야가 탁 트여 있어서 좋지만 조준경 레티클에서 호불호가 갈린다. === UH-1 Sight === ||<-2><#C0C0C0> '''{{{#ffffff UH GenⅠ}}}'''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21).png|width=100%]] [[파일:PFRedotIG (21).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970|| || '''{{{#ffffff 조준경 배율}}}''' ||1.75|| || '''{{{#ffffff 설명}}}''' ||아주 빠른 홀로그램 화면으로 근접전 상황을 정복시킬 수 있는 차세대 조준경입니다.|| 5.6.5버전에서 추가된 도트 사이트, 모티브는 [[https://vortexoptics.com/vortex-amg-uh1-gen2-holographic-sight.html|Vortex AMG UH1]]으로 조준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 DDHB Reflex === ||<-2><#C0C0C0> '''{{{#ffffff DDHB Reflex}}}'''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22).png|width=100%]] [[파일:PFRedotIG (22).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1200|| || '''{{{#ffffff 조준경 배율}}}''' ||1.85|| || '''{{{#ffffff 설명}}}''' ||대거 디펜스의 DDHB는 인체공학적인 도트 사이트로 항공기에 쓰이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 내구성과 가벼움을 잡았습니다.|| 모델은 [[https://daggerdefense.com/?product=dagger-defense-ddhb-red-dot-sight-reflex-sight-optic-substitute-holographic-red-dot-sights|Dagger Defense제 DDHB 도트 사이트]]. 두꺼워진 코요테 사이트에 십자선 레티클이 달린것이다. === DCL 120 === ||<-2><#C0C0C0> '''{{{#ffffff DCL 12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24).png|width=100%]] [[파일:PFRedotIG (24).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1320|| || '''{{{#ffffff 조준경 배율}}}''' ||1.00|| || '''{{{#ffffff 설명}}}''' ||G.R.D.에서 만든 50구경 중기관총에 장착하기 위한 군용 조준경으로 배율이 없어도 커다란 시야창을 통해 높은 성능을 가져다줍니다.|| 모티브는 [[동인광학]]의 DCL-120 중기관총용 광학조준경으로 배율은 게임 내 제일 낮은 1배율. 최대 회전 반동을 5% 줄이지만 견착 속도, 견착 중 이동 속도를 15% 감소시키고 착용 속도를 25% 감소시킨다. 5%라는 적어보이는 수치완 다르게 확대배율이 낮아 반동 감소율 체감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원래 사용 용도대로 반동이 강력한 HK21이나 MG3KWS 등 중기관총에 부착하거나 그 외 반동이 강력한 총에도 꽤나 잘 어울린다. 그러나 조준속도가 치명적인수준으로 느려지니 채용에 주의. === Kousaku OLED Sight === ||<-2><#C0C0C0> '''{{{#ffffff Kousaku OLED Sight}}}'''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ch_PFRedot (23).png|width=100%]] [[파일:PFRedotIG (23).png|width=100%]]}}}|| || '''{{{#ffffff 해금 킬 수}}}''' ||1554|| || '''{{{#ffffff 조준경 배율}}}''' ||1.15|| || '''{{{#ffffff 설명}}}''' ||도트 사이트 안에 OLED 화면을 넣었습니다. 고마워요 일본 :)|| 원본은 Kousaku Japan이 만든 DIY 광학사이트 중 하나. Kousaku sight와는 달리 Kousaku OLED 사이트는 평가가 그리 좋지 않다. 시인성 자체는 좋아졋지만 그렇다고 코요테에 비할바가 아니고, 사격시 조준점이 이상하게 뒤틀려 안다는것만 못하기도 하다. 코일건에 기본으로 적용할 수 있다. == 전용 == === Hensoldt Dual Optics === ||<-2><#C0C0C0> '''{{{#ffffff Hensoldt Dual Optic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width=100%]] [[|width=50%]][[|width=50%]]}}}|| || '''{{{#ffffff 해금 킬 수}}}''' ||기본|| || '''{{{#ffffff 조준경 배율}}}''' ||1.80|| || '''{{{#ffffff 원본 총기}}}''' ||G36|| || '''{{{#ffffff 설명}}}''' ||G36 소총의 모듈러 부품으로 3배율 광학 조준경과 운반 손잡이 조합입니다. 초기형 G36에 흔히 보였으며 가끔 특수한 도트 사이트를 갖고 나왔습니다.|| G36이 기본으로 들고 나오는 2중 도트 사이트. T키로 1.5배율 폐쇄식 조준경과 3배율 조준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1.5배율은 연사시 반동때문에 제대로 조준할 수 없으며 3배율은 반자동 사격을 강제한다. 이걸 쓰느니 차라리 다른 조준경을 쓰는게 나을 정도로 구리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hantom Forces/액세서리/조준경, version=69, paragraph=1.2)] [[분류:Phantom Forces]][[분류:게임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