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iggy)] [include(틀:Piggy)] [목차] == 개요 == [[Piggy]]의 맵들을 정리한 문서다. == Book 1 == ※맵에 대한 설명만 및 공략을 서술하며, 스포일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뒤에 ☆이 붙는 봇 스킨은 그 챕터의 엑스트라 봇이다. === 챕터 1: 집 === || 봇 스킨 || '''Piggy''' || || 특이 사항 || 맵 구조가 [[Granny]]와 상당히 비슷함 || || 이전 챕터 || book 2 챕터 1 골목길[* 스토리 상으로는 회상의 장면이 포함된다.] || || 이후 챕터 || 챕터 2 : 경찰서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House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SpawnHouse.webp]] || 피기의 첫 번째 맵이며 피기 맵중에 작은 편에 속한다. 주로 1대1을 할때 많이 사용되는 맵이자, 3층에 있는 레이저에 닿거나 나무판자 자리에서 떨어지면 사망한다. 쉬운 편에 속한다. 그래니와 맵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그래니 맵을 안다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배지를 보면 하루에 만명 가까이가 클리어한다는걸 볼 수 있다. 여담으로 하우스 맵은 저작권 때문에 [[페파피그]] 사진이 제거되었는데 하우스 맵 투표 아이콘은 [[페파피그]] 사진이 걸려있는 하우스 모습이다.[* 미니툰이 눈치채지 못했거나 유저들이 눈치채지 못할 거라고 생각해서 바뀌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화장실에 있는 초록색 수건 뒤에 소닉 사진이 있다.(이스터에그) [[파일:PiggySonicTowel.webp]] {{{#!folding [공략 펼치기ㆍ접기] 시작하면 집 2층의 페니와 조지의 방에서 시작된다. 이후 초록키를 찾아 [* 1층 주방 앞, 뒷마당으로 나가는 방 바로 앞의 작은 방, 화장실 우측 환풍구를 통해 작은 방에 있는 원형 테이블 등의 위치에 랜덤으로 스폰된다.] 1층의 문을 열면 빨강키 [* 가끔 망치도 함께 스폰되는데, 이때는 지하 환풍구와 탈출구를 뚫으면 된다.]를 얻어, 3층에 가서 문을 열면 파랑키 [* 파랑키와 렌치, 판자 등이 같이 나오면 모두 사용하면 된다.]가 나오는데, 이로 1층 뒷마당을 열 수 있다. 이후 노랑키를 얻었다면 지하 1층 금고를 열어 키코드를 탈출구에 사용, 판자를 얻었다면 [* 빨강키 방 안, 뒷마당 파랑 방 우측, 화장실 샤워룸 안 등에 스폰된다.] 3층에 가져다 놓으면 되는데, 이때 낙사에 주의해야 한다. 렌치를 얻으면 탈출구와 3층 판자 건너편 방에 사용한다. 주황키를 얻으면 지하 2층을 열 수 있다. 빨강 기어를 얻었다면 뒷마당 파랑 방에 넣어야 하며, 초록 기어[* 지하 1층 망치 환풍구 안, 3층 판자 건너편 레이저 방, 지하 2층 등에서 스폰된다.]를 얻었다면 똑같이 뒷마당 파랑 방에 넣으며, 두 기어가 모두 들어가면 우물에서 흰키가 나오고, 이를 탈출구에 사용하면 탈출할 수 있다. }}} 여담으로 버그가 아주 많다. [* 맵 벽뚫, 노랑 금고 뚫기, 복제본 사용으로 기어 2개 사용하기, 망치 환풍구 벽뚫, 보라 금고 글리치 뚫기, 3층 렌치 판자 사용하지 않고 사용하기 등] === 챕터 2: 경찰서 === || 봇 스킨 || '''Mother''' || || 특이 사항 || 마더는 판자를 못 건넌다.[* 아예 못 건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다시 방향을 틀어서 다른쪽 문으로 돌아서 온다. 또한 문을 연다고 끝나는게 아니고 문을 연 후 기름을 차에 넣어야 한다. || || 이전 챕터 || 챕터 1 : 집 || || 이후 챕터 || 챕터 3 : 미술관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Station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MotherSpawnStation.webp]] || 주의할 점: 지하의 파쿠르.[* 주황키방 안에 있다.] 탈출구를 연다고 끝나지 않고 자동차에 기름을 넣어야 끝나는 맵이다. 챕터1보다 어렵다.도기가 처음으로 등장한 맵이다 === 챕터 3: 미술관 === || 봇 스킨 || '''Father''' || || 특이 사항 || 처음으로 도움주는 NPC가 나옴 || || 이전 챕터 || 챕터 2 : 경찰서 || || 이후 챕터 || 챕터 4 : 숲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Gallery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FatherSpawnGallery.webp ]] || 처음으로 아이템을 갖다주면 피기를 대신 기절시켜주는 NPC가 처음으로 나오는 맵이며 하우스처럼 맵이 작은 편이다. 매우 쉬워서 빨리 깰 수 있다. === 챕터 4: 숲 === || 봇 스킨 || '''Sheepy & Doggy☆[* 예전에는 분신처럼 무작위 방향으로 조금씩 움직이는 것을 반복했으나 이제는 인공지능이 높아져 Mr.P처럼 플레이어를 조금씩 쫒다가 멈추는 것을 반복한다.]''' || || 특이 사항 || 처음으로 엑스트라 봇이 나왔다. || || 이전 챕터 || 챕터 3 : 미술관 || || 이후 챕터 || 챕터 5 : 학교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ForestPlayerSpawn.png |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SheepySpawnForest.webp]] [[파일:DoggyBotSpawnForest.webp]] || 이번 맵을 최초로 두번째 봇이 처음으로 등장하며[* 도기가 추격하지는 않고 주위를 순찰한다. 가까이 가면 느낌표가 뜬다.], 매우 어두워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맵이다. [* 하다보면 밝게 보인다.] 하우스처럼 높은 곳(노란색 금고가 있는 타워로 올라가는 곳)에서 떨어지면 죽는다. 여담으로 탈출구 근처[* 피기 시작지점 근처에서도 보인다.]에 있는 벽 너머를 보면 또 다른 모닥불이 보이는데 숲 챕터에 인트로에서 나오는 장소다. === 챕터 5: 학교 === || 봇 스킨 || '''Teacher''' || || 특이 사항 || 처음으로 버니가 나왔다 || || 이전 챕터 || 챕터 4 : 숲 || || 이후 챕터 || 챕터 6 : 병원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School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TeacherSpawnSchool.webp]] || 특별한 점은 없지만 맵이 넓어서 초보자들이 탈출하기가 조금 어려울 수는 있다. 하우스와 마찬가지로 레이저에 닿으면 죽는다.탈출에 필요한 아이템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 챕터 6: 병원 === || 봇 스킨 || '''Beary''' || || 특이 사항 || 처음으로 긴 치마 아닌 봇이 나왔다.[* 도기는 NPC이기에 제외.] 처음으로 열쇠가 아닌 카드키가 등장했다. (노란, 보라, 흰색키 제외) || || 이전 챕터 || 챕터 5 : 학교 || || 이후 챕터 || 챕터 7 : 지하철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Hospital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HospitalPiggySpawn.webp]] || 이 맵도 특별한 점은 없지만 물론 초보자에겐 난이도가 있을 수 있다. 맵도 좁은 편이고 문이 워낙 많아서 문뒤에 있는 피기에게 기습당하기 쉽다. 심지어 피기의 속도도 빠르다.[* 어디에 있든 계속 쫒아와서 더 힘들다] 하얀 열쇠를 얻기가 초보자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다.[* 빈 약통 2개를 찾아서 2개에 전부 물약을 담은 다음, 그 물약 2개를 사용해야 한다.]전 챕터인 학교와 맵구조가 은근히 비슷하다. === 챕터 7: 지하철역 === || 봇 스킨 || '''Zompiggy''' || || 특이 사항 || 석궁(당근)이 생겨서 배신자 모드에서는 바로 시작하자마자 쏠 수 있다. || || 이전 챕터 || 챕터 6 : 병원 || || 이후 챕터 || 챕터 8 : 카니발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Metro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SpawnInMetro(2).webp]] || 피기가 좀비인만큼, [[부산행]]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좀피기 속도가 빠르니 주의해야 한다. === 챕터 8: 카니발 === || 봇 스킨 || '''Clowny & Foxy☆''' || || 특이 사항 || 폭시가 우리 안에 배회한다. || || 이전 챕터 || 챕터 7 : 지하철 || || 이후 챕터 || 챕터 9 : 도시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Carnival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SpawnInCarnival.webp]] [[파일:FoxySpawn]] || 되게 쉬운 맵이다. 탈출에 필요한 아이템은 많지만, 자신이 초보라도 이 맵은 깰수 있다.[* 피기가 둘이지만 폭시는 우리에 갇혀있는 데다가 AI가 도기나 군인만큼 멍청하고 클라우니는 빠르긴 하지만 탁 트인 맵 특성상 위치를 쉽게 파악할수 있다.] 쉽기 좀 웃긴 부분이 있는데 망치로 경품을 따면 망치를 준다...하우스와 함께 유저들에게 인기많은 맵중 하나다.[* 그래서 공섭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된다.] === 챕터 9: 도시 === || 봇 스킨 || '''Elly & Grandmother☆''' || || 특이 사항 || 쫓아오는 봇이 두 마리고 봇+플레이어 누르면 3마리가 된다.[* 판자를 설치하고 반대쪽까지 봇들을 데려가면 봇들이 판자를 건너질 못한다. 하지만 가끔씩 점프해서 골목으로 떨어질때도 있다.]|| || 이전 챕터 || 챕터 8 : 카니발 || || 이후 챕터 || 챕터 10 : 마트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City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21110_161818243(3).png|width=350]] [[파일:GrandmotherSpawnInCity.webp]] || 북 1 에서 '''가장 어려운 맵'''이다.[* 제작자가 밝혔다.] 해보면 알 수 있다. 맵이 크고 복잡하며 엔딩에 필요한 아이템이 아주 많다.[* 현관을 여는 아이템은 렌치, 소화기, 당근, 코드로 많지 않지만 이 아이템을 얻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아이템이 아주 많다.] 여기서도 도기, 폭시에 이은 두번째 봇인 그랜드마더가 있는데 이전 두번째 봇은 쫓아오지 않았지만 그랜드마더는 플레이어를 쫓아온다.게다가 기본 봇인 엘리도 엄청나게 빨라서 난이도를 더더욱이 증가시킨다. === 챕터 10: 마트 === || 봇 스킨 || '''Robby & Mousy☆''' || || 특이 사항 || 환풍구 안에 피기가 하나 더 있다. 또한 경보기의 붉은 빛에 닿으면 경보음이 들리며 자신의 위치가 잠깐동안 경고 표시로 보이게 된다. || || 이전 챕터 || 챕터 9 : 도시 || || 이후 챕터 || 챕터 11 : 군사기지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Mall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RobbySpawnMall.webp]] [[파일:MousySpawnInMall.webp]] || 최초로 환풍구를 기어다니는 봇 피기가 있는 맵이다. 2020년에 Jailbreak와의 콜라보로 이 맵에서 Poley 스킨을 얻을 수 있었다. 배지를 얻은 사람은 많으나 '''생각보다 어려운 맵이다.[* 피기가 빠르고 맵이 어두워서 아이템 위치가 잘 안보이며(빠루, 판자 등) 로비가 회색이여서 잘 안보이기 때문에 아무생각 없이 깰려 하다가 죽기 쉽다.]'''막다른 길이 타 맵보다 많은 편이라 주의해야 한다. === 챕터 11: 군사기지 === || 봇 스킨 || '''Torcher & Soldier☆''' || || 특이 사항 || 솔져 여러 마리가 배회한다.[* 하지만 지지가 공격해서 땅굴로 들어가게 한다.] || || 이전 챕터 || 챕터 10 : 마트 || || 이후 챕터 || 챕터 12 : 발전소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OutpostPlayerSpawn.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SpawnInOutpost.webp]] [[파일:(1)]] [[파일:(2)]] [[파일:(3)]] || 딱히 특별한 점은 없다. 맵이 좀 좁고 피기 속도가 빠르지만 별로 어렵진 않다. === 프리퀄: 왜곡된 기억 === || 봇 스킨 || '''Memory[* 원래 Parasee가 왜곡된 기억의 봇이 될 예정이었으나 Memory로 교체되었다.]''' || || 특이 사항 || 최초의 프리퀄 챕터 || || 이전 챕터 || 챕터 9 : 도시(스토리 상) || || 이후 챕터 || 챕터 10 : 마트(스토리 상)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810_150951134.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DistortedMemorySpawn.webp]] || 챕터11 에서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으며, 조지의 기억이다. 맵은 챕터1과 비슷하나 중간에 뚫린 곳이 많으며 이 때문에 맵이 좀 커졌다. 봇 속도가 많이 빠르고 탈출시 필요한 아이템도 많아 난이도가 어렵다. === 챕터 12: 발전소 === || 봇 스킨 || '''Badgy & Mr. P☆ & Sentinel 4마리☆[* RB 배틀 이벤트 봇이다.]''' || || 특이 사항 || 엔딩이 3[* 배드엔딩, 해피엔딩, 트루엔딩]개다 || || 이전 챕터 || 챕터 11 : 군사기지 || || 이후 챕터 || 북 2 챕터 2:상점 || || 플레이어 시작지점(1페이즈)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3_202839571(2).png|width=350]] || || 플레이어 시작지점(2페이즈)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3_203145145.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1페이즈) || [[파일:PiggyBadgySpawnPlant.webp]] [[파일:PiggyMr.pSpawnPlant.webp]] || || 피기 시작지점(2페이즈) || [[파일:PiggyBadgySpawnPlantPhase2.webp]] [[파일:PiggyMr.pSpawnPlantPhase2.webp]] || || 센티넬 시작지점(RB 배틀) || [[파일:DarkBlueSentinelSpawnInPlant.webp]] [[파일:PinkSentinelSpawnInPlant.webp]] [[파일:GreenSentinelSpawnInPlant.webp]] [[파일:WhiteSentinelSpawnInPlant.webp]] || 북1 의 '''보스전 맵''', Mr.P는 마음대로 움직이며 [* 다만 완전히 마음대로 움직이진 않다. 가까이 있을 때 쫓아와 죽이진 않지만 거리가 벌어지면 플레이어를 쫓아오고 가까이 가면 쫓아오지 않는 것을 반복하며 쫓아온다. 해보면 mr.P가 쫓아오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멍청한 구석이 있다. 여기서는 열쇠로 탈출문을 열지는 않고 Mr.P에게 그의 아내 사진을 보여주면 그 서버에 있는 모든 플레이어가 자동으로 탈출된다. Mr.p가 가끔 총을 쏘는 데 이 탄환은 유도탄이지만 속도가 느리며 벽에 닿으면 폭발하기 때문에 피하기 쉽다. 하지만 맞으면 잠깐 동안 움직일 수 없으니 조심해야 한다. 게임의 봇인 배지가 상당히 빠르고 Mr.p의 스턴과 합쳐지면 죽기 쉽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해피엔딩을 보는 방법은 먼저 사진을 Mr.p에게 준 후 문으로 나가면 되고, 배드엔딩은 사진을 준 후 Mr.p에게 접근하면 된다. 트루엔딩은 [[Piggy/히든엔딩|해당 문서]] 참조. 여담으로 RB배틀 시즌3에서 이 맵이 이벤트 맵으로 선정되었다. '''클리어 방법''' 1.평소처럼 주황 카드키와 초록 카드키로 폭탄을 얻는다. 2.폭탄을 주황 공장 지하층에 터트린다. 3.맵을 돌아다니면서 로마숫자를 찾는다. 만약 I II 라고 적혀있다면 1번째 자리숫자는 2라는 뜻이다. 4.이렇게 구한 다섯자리 숫자를 키보드 위에있는 숫자키와 비교한다.[* 1-! 2-@ 3-# 4-$ 5-% 6-^ 7-& 8-* 9-( 0-)] 5.그리고 아까 터트린 방에 가서 순서대로 입력한다.[* 잘못 입력하면 실패하니 주의.] 6.그리고 얻은 쇠지렛대로 주황 공장의 초록색 물약을 얻는곳으로 가서 에메랄드를 캔다. 7.다시 올라와서 중앙으로 가서 기둥에다가 에메랄드를 설치한다. 8.보라키로 보라색 금고를 연후 총과 총알을 챙겨 기둥 2개를 쏜다. 9.중앙에서 주변을 보면 길이 열렸을텐데 그곳으로 간다. 10.ABC순서대로 누른다.[* 잘못 누르면 버튼이 사라지고 들어왔던 통로가 막히고 흰색 센티넬이 복도에 스픈된다.] 11.레버를 당긴다. 위 미션을 깨는 과정에서 센티넬들이 추가되므로 특별히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다.[* 센티넬은 총으로 쏘거나 조지에게 사과를 줘서 죽일 수 있다.(센티넬을 죽이고 싶다면 총을 이용하는 것보다 조지에게 사과를 줘서 죽이는 것을 추천한다.)] == Book 2 == '''''※맵에 대한 설명만 하며, 스포일러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맵 설명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북1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려우며 봇피기에 속도가 '''플레이어와 같거나 덫을 깔기도 한다.''' 북 2의 일부 챕터는 퍼즐을 풀어서 탈출구를 여는 기믹이 있다. 즉, '''퍼즐을 푸는 방법을 모르면 스스로 탈출을 할 수 없다.''' 아래 영상은 퍼즐을 풀 때 꽤 유용할 것이다. [youtube(7Z-7mJ9Bop0, width=400, height=225)] [[https://youtu.be/7Z-7mJ9Bop0]] === 챕터 1: 골목길 === || 봇 스킨 || '''Rash, Glitchy[* 비밀공간(VR게임공간)에서만 나온다.]☆''' || || 특이 사항 || 감염사태 전의 스토리다.[* ---스웜, 감염, 플레이어, 플레이어&봇 모드로 이 맵을 플레이하면 스토리 상으로는 아니긴 하지만...---] || || 이전 챕터 || 없음. || || 이후 챕터 || 챕터 2 : 스토어 || || 어려운 점 || 새로운 아이템이 많다.[* ---지금은 다 안다.---] 비밀번호도 직접 찾아야 한다.[*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곳의 잠금을 모두 풀어야 비밀번호 문을 열 수 있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0817358.png|width=350]]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1244282.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RashSpawnAlleys.webp]] [[파일:GlitchySpawn.webp]] || * Book 2의 첫 작. 새벽 3시에 출시됐다. * 참고로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꼼수|1, 2, 3, 4식으로 입력하면 안된다. 이것은 랜덤.]] ---결국 유튜버들 따라하면 안 된다.--- 게다가 힌트가 있는 곳을 모두 열지 않으면 아무리 알맞게 입력해도 열리지가 않는다. 엔딩을 보기 위해 필요한 아이템이 무수히 많다. === 챕터 2: 상점 === || 봇 스킨 || '''Dessa''' || || 특이 사항 || 건전지[* 지지에게 2개를 줘서 탈출해야 한다.], 가위[* 골목길과는 다르게 잔디를 자를 때 사용.][* 이 외에도 사다리, 리모컨 등이 있다.] || || 이전 챕터 || 챕터 1 : 골목길 || || 이후 챕터 || 챕터 3 : 정유공장 || || 어려운 점 || 새로운 아이템이 많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1408578.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iggyDessaSpawnStore.webp]] || * 난이도가 내려갔으며, 뱃지를 얻은 사람의 수도 챕터1보다 훨씬 많다. === 챕터 3: 정유공장 === || 봇 스킨 || '''Tigry (Uniform), 그 외 다른 TSP 멤버들☆''' || || 특이사항 || 필립[* 근데 이상하게 필립이 자꾸 따라오다가 문같은데에 껴서 안움직이고 그대로 멈춰있다.], 타이그리를 제외하고 모든 T.S.P의 일당들에게 걸리면 죽일려고 플레이어를 따라가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리로 돌아간다. || || 이전 챕터 || 챕터 2 : 스토어 || || 이후 챕터 || 챕터 4 : 안전한 장소 || || 어려운 점 || 봇이 많고 아이템이 많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1703854.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21110_162357547.png|width=350]] [[파일:BarenSpawnRefinery.webp]] [[파일:FelixSpawnRefinery.webp]] [[파일:KittySpawnRefinery.webp]] [[파일:PandySpawnRefinery.webp]] [[파일:KatieSpawnRefinery.webp]] [[파일:FilipSpawnRefinery.webp]] || 탈출구도 열려면 tsp요원[* 필립]을 방으로 따돌려야 한다. * 이 맵 출시 기준으로 '''제일 어려웠던 맵'''이자 추가 봇이 6마리로 뉴비들에게는 굉장히 골치가 아픈 맵이다. === 챕터 4: 안전한 장소 === || 봇 스킨 || '''Raze''' || || 특이사항 || 맵이 크고 봇이 빨라 어렵다. || || 이전 챕터 || 챕터 3 : 정유공장 || || 이후 챕터 || 챕터 5 : 하수구 || || 어려운 점 || 맵이 크고, 길이 좁고 복잡하고, 봇이 빠르다. 또 봇이 다른 봇보다 판정이 조금 넓다.||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1904666.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TheSafePlacePiggySpawn.webp]] || * 맵이 엄청 크고 층이 많다. [* 탈출구는 1층인데, 챕터 2 엔딩에 나온 장소의 방이 2층, 큰 식당이 3층, 포니, 미미의 방과 작은 헬스장이 있는 곳이 4층이며, 플레이어 스폰 장소와 지라피의 방이 있는 층은 5층으로, 아래층까지 계속 내녀가야 한다.]탈출시 필요 아이템이 많고 경로도 복잡해서 시간 부족으로 깨지 못할수도 있다. 또 막다른 길도 많아서 피기에게 죽을 확률이 높다. 심지어 기기의 사양이 안 좋으면 렉이 걸린다. === 프리퀄: 겨울 휴가[* 크리스마스에만 플레이가 가능하다.] === || 봇 스킨 || '''Frostiggy''' || || 특이사항 || '''제한시간이 10분'''[* 처음 이 맵이 나왔을 때는 제한시간이 5분이었다.]이지만 엄청 쉽고 왜곡된 기억 다음으로 최초의 프리퀄 맵이다. || || 이전 챕터 || 없음 || || 이후 챕터 || 없음 || || 어려운 점 || 새로운 아이템이 많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WinterHolidayPiggySpawn.webp]] || * 스토리는 생존자 일당이 크리스마스 여행을 온 것이고[* 지지가 있는걸로 보아 북2 챕터3 이전의 이야기다.], 플레이어가 다른 생존자들에게 선물을 주려하는 것이다. 굉장히 쉬운 맵이다. === 챕터 5: 하수구 === || 봇 스킨 || '''Alfis''' || || 특이사항 || 봇의 이동속도가 이제 플레이어와 비등비등한 수준을 자랑하며, '''덫을 설치하기 시작한다.'''(그리고 플레이어를 쫒는 방법이 다른 봇과 다르다.) [* 어떻게 다른거냐면 플레이어와 봇의 거리가 어느정도 멀어지면 봇의 테마곡이 멈추고 봇이 맵 곳곳을 돌아다닌다. 하지만 플레이어를 쫓는 방법이 다른 봇은 덫을 까는 알피스가 최초이므로 보통 맵을 돌아다니면서 덫을 까는 경우가 많다. 이때를 노려서 아이템을 모으는게 좋다. 단 스웜모드에서는 별로 효과가 없다.][* 아마 감염자와는 다른 오만함인 Alfis의 특성인 걸로 보인다] || || 이전 챕터 || 챕터 4 : 안전한 장소 || || 이후 챕터 || 챕터 6 : 공장 || || 어려운 점 || 봇이 사람과 비슷한 속도며, 덫을 설치한다.[* 이 두가지 개선점 때문에 이제 더 쉽게 플레이하려고 봇모드 고르다가 당한다.] 맵도 복잡하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2037562.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SewersPiggySpawn.webp]] || * 사람들이 하수구 챕터가 나올것이라고 말했는데 진짜 나왔다. === 챕터 6: 공장 [* Book1의 챕터12와는 다른 진짜 공장이다.] === || 봇 스킨 || '''Kolie, Willow☆[* 엄밀히 말하면 플레이어를 잡는 가드다. 미스터 피와 비슷한 케이스.]''' || || 특이사항 || 이전까지 등장한 챕터들은 모두 문에 달려있는 잠금장치를 풀어야만 엔딩을 볼 수 있는데 이번 챕터는 문에 잠금장치가 없다. 그 대신 포니에게 목검 3개를 주어서[* 포니에게 검을 주면 윌로우를 직접 찾아 때린다.] 윌로우를 기절시키면 탈출구가 열린다. 또한 마지막 챕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3개의 엔딩이 존재한다. 이 챕터부터 2번 이상 쓰는 아이템을 제외한 아이템은 한 번 쓰면 사라진다.[* 열쇠, 키카드, 망치, 드라이버(챕터 6, 12), 소화기, 가위, 도끼, 삽(챕터 6, 7, 10 한정), 스프레이, 파이, 렌치(챕터 8 한정)] || || 이전 챕터 || 챕터 5 : 하수구 || || 이후 챕터 || 챕터 7 : 항구 || || 어려운 점 || 봇이 사람과 비슷한 속도며,덫을 설치한다.[* 심지어 은신도 감지한다.(Kolie 한정)]윌로우가 거는 스턴도 있다.[* 윌로우의 총에 맞으면 스턴이 된다.총알은 유도탄이라 피하기 어렵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2237757.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2258007(2).png|width=310]] [[파일:WillowSpawnInFactory.webp]] || * 세가지 엔딩이 있고, 두가지 배지가 있다. -배드 엔딩: 이 엔딩을 보려면 tsp 요원을 구하지 않고 탈출하면 이 엔딩을 볼수 있다 [* 이 엔딩은 솔플이 아니면 보기 힘들다. 왜냐하면 한명이라도 구하면 생존자 엔딩이 되기 때문이다.] -생존 엔딩: 이 엔딩을 보려면 tsp 요원을 구하면 된다. 일부만 구하면 엔딩이 달라지는데 tsp대신 미미가 지라피에게 도움을 주고 전원 구하면 그냥 엔딩이 나욌다. -구출자 엔딩: T.S.P 요원[* 바렌,펠릭스,키티,팬디,케이티,필립][* 바렌은 파란 방 아래층 컨테이너 더미 사이에 판자로 나가지 못하고 있어 도끼로 부숴야 하며, 필릭스는 아래층에 펜스 안에 갇혀 있어 가위로 잘라야 한다. 키티는 아래층에 벽돌에 깔려 있어 삽으로 구해줘야하며, --진짜 아프겠다-- 팬디는 페인트칠을 하다가 사다리가 없어져 아래층 벽에 힘들게 매달리고 있어 사다리로 구출해줘야 하고, 케이티는 윌로우가 스폰되는 위층 주황 방 왼쪽 방에 있는데, 불이 있으므로 소화기로 꺼야한다. 필립은 초록방 좌측 락커 안에 갇혀있어서, 드라이버로 구해야 한다.]을 모두 구출하면 볼 수 있다. 엔딩중에 난이도가 가장 높다. 또한 북2를 1~6챕터인 파트1과 7~12챕터인 파트2로 나눌 경우 파트1의 마지막 맵이다. 여담으로 이 챕터의 담당 봇인 콜리는 하수구 챕터에서 지랑 주지가 일행을 구출하기 위해 올라온 하수구 구멍 위에서 스폰되는데 챕터 6의 인트로에서 윌로우의 말이 맞다면 콜리는 하수도에서 올라왔다는 것인데 '''주인공이랑 지, 주지가 하수도에 있을 때 하수도 안에는 알피스만 있었다.''' 그래서 콜리가 어떻게 하수도에서 왔는지는 알 수 없다.[* 정황상 콜리의 공장 인부 옷인 것을 보아 윌로우가 해당 공장을 거처로 삼기 이전에 이 곳에서 일하고 있던 것으로 추정되며, 하수구 맵 곳곳의 막힌 장소들이 있는데, 그런 곳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 === 챕터 7: 항구 === || 봇 스킨 || '''Dakoda, Friend(이스터에그)☆''' || || 특이사항 || 알피스와 콜리,아치처럼 봇이 '''사람만큼 빠르다.'''[* 다행히 봇이 문을 잘 못열어서 갇혀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등대에 배터리를 다 넣으면 배가 처음에 스폰한 곳으로 오는데, 가까이 가면 탈출이다.|| || 이전 챕터 || 챕터 6 : 공장 || || 이후 챕터 || 챕터 8 : 배 || || 어려운 점 || 봇이 사람만큼 빠르고 건물이 좁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2507337.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PortPiggySpawn.webp]] [[파일:FriendSpawn.webp]] || 파트2 의 첫 맵이다.[* 파트1이 루셀라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다룬 챕터이고, 파트2는 항구에서 메도라호를 타고 북쪽 지역인 도브 지역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 챕터 8: 배 === || 봇 스킨 || '''Archie, 그 외 선원들☆''' || || 특이사항 || 챕터 3과 챕터 4,챕터 5,7의 어려운 특성[* 챕터 3: 봇이 빠름(사람보다 느림), 챕터 4: 맵이 큼,봇이 빠름(사람에 비해 살짝 느림), 챕터 5,7:봇이 빠름(사람만큼)]이 합쳐진 느낌인 데다가 벽에 기대어있는 선원[* 생각보다 선원 수가 많다.(3명)]에게 가까이 가면[* 판정이 넓기 때문에 벽에 붙어서 아슬아슬하게 피해 갈 수는 없다.][* 플레이어가 선원이 기대있는 벽 너머에 가까이 가도 선원들은 깨어난다.] 선원이 윌로우에 의해 쓰러질 때까지 살아 움직인다. 다만 플레이어랑 멀어지면 윌로우가 기절시키지 않아도 자기 혼자서 다시 앉아있는 경우도 있다. || || 이전 챕터 || 챕터 7: 항구 || || 이후 챕터 || 챕터 9: 부두 || || 어려운 점 || 봇이 사람만큼 빠르고,길이 좁고,맵이 복잡하고 피기가 많고[* 아치 외의 선원은 윌로우가 기절시킨다.] 맵이 크고 봇이 덫을 놓는다. 또 봇이 다른 봇보다 판정이 많이 넓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2649698.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fasd]] [[파일:adfad]] [[파일:gkgk]] [[파일:ggghj]] || * 예상한대로 배 챕터가 나왔다. 참고로 깨어난 선원들은 봇처럼 움직인다.탈출하려면 배 위에 있는 색깔을 왼쪽부터 읽고,탈출구에 입력해야 풀리는 암호가 존재한다. === 챕터 9: 부두 === || 봇 스킨 || '''Markus, Crawling Trap(퀘스트)☆''' || || 특이사항 || 맵이 크고 봇이 '''순간이동한다.[* 추적 상태에서는 순간이동하지 않고 순찰 상태에서만 순간이동 한다. 가끔씩 추적을 너무 오래해서 분명 봇이 플레이어를 쫓고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바로 가까이에서 추적이 풀려서 텔레포트되어 죽는 경우도 생긴다.]''' || || 이전 챕터 || 챕터 8: 배 || || 이후 챕터 || 챕터 10: 사원 || || 어려운 점 || 봇이 순간이동을 하고,길이 좁고 복잡하고,봇이 덫을 놓는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2937107.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DocksPiggySpawn.webp]] [[파일:CrawlingTrapSpawnlnDocks]] || * 도브포트 라는 곳이다. 즉, 도브 항구가 맞다. * 이 맵에서 Crawling Trap을 얻을 수 있으며, 아직 얻을 수 있다. === 챕터 10: 사원 === || 봇 스킨 || '''Spidella''' || || 특이사항 || 로비가 조력자로 나온다. 봇이 일반 덫 말고 슬로우 덫을 깐다. || || 이전 챕터 || 챕터 9: 부두 || || 이후 챕터 || 챕터 11: 캠프 || || 어려운 점 || 맵 구조가 복잡하고 길이 좁고 봇이 빠르고 덫을 놓는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3041605.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TemplePiggySpawn.webp]] || * 양초로 포탈을 만들 수 있다. 이 맵에서 Phenna 스킨을 얻을 수 있다. === 챕터 11: 캠프[* 루셀라 아웃포스트 캠프나 부트 캠프, 인터시티의 서바이벌 캠프와는 다르다. 해외에서는 흔히 아웃포스트 에코 캠프라고 불린다.] === || 봇 스킨 || '''Delta, 그 외 군인들☆[* Ben, Mary, Eloise, Porter][* 북 1의 전초기지랑 챕터랑은 달리 플레이어를 직접 따라온다.]''' || || 특이사항 || 챕터 8처럼 봇이 여러 마리이다. 그리고 봇이 거대한 덫을 깐다. || || 이전 챕터 || 챕터 10: 사원 || || 이후 챕터 || 챕터 12: 실험실 || || 어려운 점 || 엑스트라 봇이 많고[* 그래서 이번 챕터는 아마도 윌로우와 포니가 도와주는 듯 하다.],봇이 덫을 놓는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3229967.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712_205701773.png |width=350]] || || 군인 피기 시작지점 || {{{#!folding Ben (펼치기 · 접기) [[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2548508.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3036767.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4818468.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3749878.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10648392.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13319263.png|width=350]]}}}{{{#!folding Eloise (펼치기 · 접기) [[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2959535.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3832719.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4825251.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3044516.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4937985.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15744338.png|width=350]]}}}{{{#!folding Mary (펼치기 · 접기) [[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2735987.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4103497.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4240195.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4949331.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3819693.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4747221.png|width=350]]}}}{{{#!folding Porter (펼치기 · 접기) [[파일:RobloxScreenShot20221107_193418859.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5435054.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05552168.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12022344.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13836033.png|width=350]][[파일:RobloxScreenShot20230711_214828276.png|width=350]]}}} || * 군사 기지 캠프로 추정된다. 엔딩 끝에서 페니(피기)로 추정되는 그림자가 있다. * 이 맵에서 Laura 스킨을 얻을 수 있다. === 프리퀄: 하이스트 === || 봇 스킨 || '''Poley''' || || 특이사항 || 자신의 아바타가 윌로우 혹은 포니로 바뀐다.[* 둘 다 눈에 도둑처럼 검은 띠를 하고 있다.] || || 이전 챕터 || 없음 || || 이후 챕터 || 챕터 1: 골목길[* 스토리 상] || || 어려운 점 || '''폴리가 빠르다.[* 해야하는 일은 많은데 봇이 너무 빨라서 하기 힘들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3832936.png|width=350]]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3515343.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HeistPiggySpawn.webp]] || * 윌로우가 윌리엄에게 파이를 가져올 때의 이야기이다. 왜곡된 기억과 비슷하게 챕터 1이 변형되어 있다. === 프리퀄: 혼란 === || 봇 스킨 || '''Twins, Sentinel[* TIO의 부하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여담으로 사람들은 이 아이들을 크롤링 트랩과 닮았다고 크롤링 트랩이라고 --편한대로-- 부르지만 애초에 크롤링은 "기어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발이 달린 얘네한텐 어딘가 옳지 않은 이름이다.또한 제작자가 이들을 "보초"라는 뜻의 Sentinel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이들은 크롤링 트랩보단 Sentinel이라고 부르는 게 맞다.] 3마리☆''' || || 특이사항 || 4번째 프리퀄. 자신의 아바타가[* 긁힌 팔을 감싸고 있는] 지지로 바뀐다. || || 이전 챕터 || 챕터 3: 정유공장[* 스토리 상] || || 이후 챕터 || 챕터 4: 안전한 장소[* 스토리 상] || || 어려운 점 || 엑스트라 봇이 3마리나 있고 봇이 사람만큼 빠르고 덫을 놓는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3949866.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DistractionPiggySpawn.webp]] [[파일:SentinelPiggySpawn.webp]] [[파일:SentinelPiggySpawn(2).webp]] [[파일:SentinelPiggySpawn(3).webp]] || * 챕터 3 엔딩 이후 지지의 이야기이다. 챕터 3이 왜곡된 기억처럼 변형된 맵이다. * 그리고 크롤링 트랩이 발이 달리고 각각 빨간색, 보라색이 된 몬스터가 무려 3마리나 있다.[* 속도는 북1 챕터9의 그랜드마더 봇처럼 굉장히 느리다.][* Sentinel은 미로 속에 2마리, 녹색키방 문 옆(세탁실 입구 옆)에서 1마리가 스폰된다.][* Sentinel은 플레이어가 근처에 가야지 움직인다.[* 참고로 벽 너머에 있는 플레이어도 인식할 수 있다.](플레이어가 멀리 있을 때는 가만히 있는다.)] 당연히 잡히면 사망.[* 하지만 맵 중반에 나오는 파이프(하수구 챕터에서 지가 들고 있던 무기)로 처치할 수 있다.] === 챕터 12: 실험실 === || 봇 스킨 || '''Piggy(Distorted)[* Piggy가 기괴하게 변하고 오만한 눈이 추가된 스킨이다.][* 부두챕터의 봇처럼 순간이동을 한다.], 크롤링 트랩 1마리[* 챕터 9의 크롤링 트랩과 달리 킬 모션이 있다.][* 북 1 챕터 10의 마우시랑 비슷하게 환풍구 안을 순찰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마우시는 플레이어가 환풍구 안에 있어도 추적하지 않고 계속 환풍구를 순찰하지만 크롤링 트랩은 플레이어가 일정 거리안에 있으면 플레이어가 크롤링 트랩에서 멀어지거나 환풍구 밖으로 나갈 때가지 계속 추적한다. 가끔씩 버그로 환풍구에서 나와서 플레이어를 추적하는 경우도 있다.(플레이어가 크롤링 트랩에서 멀어지면 다시 환풍구 안으로 들어가서 다시 순찰한다.)]☆, Payton(이스터에그)[* 원래 1페이즈의 엑스트라 봇으로 나올 예정이었다.]☆, Sentinel 3마리[* 혼란 챕터랑은 달리 Sentinel의 속도가 조금 빠르고 플레이어랑 멀리 떨어져 있을 때도 따라온다. 또 혼란챕터처럼 파이프 아이템(하수구 챕터에서 지가 들고 있던 무기)이 나오지만 Sentinel을 처치할 수는 없다.][* 이들은 두번째 구역에서 등장하고 각 아이템을 썼을 시 소환된다.]☆''' || || 봇 스킨 (히든엔딩) || '''???(TIO)[* 포니, 지, 조지에게 무기를 주기 전까지는 순찰하다가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추적하다가 멀어지면 다시 순찰하지만[* 티오 속도가 플레이어만큼 빨라서 1번 걸리면 추적을 풀기 어렵다.] 2층 미로를 열면 플레이어랑 멀리 떨어져 있어도 순찰하지 않고 계속 추적한다.]☆, Sentinel 2마리[* 검은 센티넬과 하얀 센티넬이 나온다. 하얀 센티넬은 장애물도 안되는 수준이지만 [[눈싸움|검은 센티넬은 너무 안보인다.]]][* 얘네도 일반 루트의 Sentinel 처럼 멀리 떨어져 있을 때도 쫒아오고 2페이즈에서 나온다.]☆''' || || 특이사항 || 엔딩이 무려 '''5개'''이다. || || 이전 챕터 || 챕터 11: 캠프 || || 이후 챕터 || 없음 || || 어려운 점 || '''부두처럼 봇이 순간이동을 하고, 맵이 복잡하고 봇이 너무 빠르다. 또 봇이 덫을 놓고 다른 봇보다 판정이 많이 넓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1페이즈)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4043113.png|width=350]] || || 플레이어 시작지점(2페이즈) || [[파일:RobloxScreenShot20230904_214432472.png|width=350]] || || 피기 시작지점(1페이즈) || [[파일:PiggySpawnLab.webp]] [[파일:PaytonSpawnOutsideOfTheMap.webp]] [[파일:CrawlingTrapSpawnLab.webp]] || || 피기 시작지점(2페이즈) || [[파일:RedSentinelSpawnLab.webp]] [[파일:GreenSentinelSpawnLab.webp]] [[파일:BlueSentinelSpawnLab.webp]] [[파일:PiggySpawnPhase2Lab.webp]] || || 플레이어 시작지점(히든엔딩) || || || 피기 시작지점(히든엔딩) || [[파일:adf]] [[파일:RobloxScreenShot20230413_211956947(2).png|width=350]] || 엔딩이 무려 '''5개'''이다. 챕터 6 공장에서 생존자 엔딩을 봤느냐, 구조자 엔딩을 봤느냐와 윌로우나 타이그리 중 누구에게 아이템을 줬느냐에 따라 엔딩이 다르다. 두 엔딩을 모두 보았다면 설정을 통해 엔딩 설정이 가능하다. 원래 1페이즈에 페이툰이라는 엑스트라 봇이 있을 예정이었으나 미니툰이 맵이 페이툰이라는 보조 봇이 없어도 충분히 어렵다고 생각해서 현재 페이툰은 연구실 챕터 맵 밖에서 볼 수 있다. === 프리퀄: 탈주 === || 봇 스킨 || '''옴브라 4마리[* 하얀색은 메인 봇, 빨간색은 집파트에서 나오고, 보라색은 학교 파트에서 검은 발판에 오래 있을 시 나오고 검은색은 처음에 벙커에 들어왔을 때 빠르게 복도를 달리는 것을 잠시 볼수 있다.][* 봇이 센티넬과 비슷하며, 등에 스피델라와 비슷하게 두개의 돌기가 있고 타이그리의 꼬리를 비슷하게 띄고 있다. 또한 그 정체는 '''타이그리의 유일한 친구, 대니가 환각이 된것이었다.(하얀색만 대니이다.)'''][* 빨간색, 보라색 옴브라는 하얀색 옴브라보다 크기가 조금 작고 이동속도가 플레이어보다 빠르다.]☆, 검은 손[* 학교 파트와 미로 파트에서 나오고 학교 파트는 검은색 발판에 오래 서 있으면 포탈을 만들어 보라색 옴브라를 소환시키고 미로 파트에서는 잡히면 공중으로 잡고 올라간다.]☆''' || || 특이사항 || 시간제한이 12분이고, 죽거나 마지막 1분이 남았을 때부터 시간이 위에 뜬다.[* 가끔 중간접속한 플레이어는 버그로 타이머를 볼 수 있다.] 그리고 1인칭 고정이다. 맵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봇 모드가 된다. || || 이전 챕터 || 프리퀄 챕터: 하이스트 || || 이후 챕터 || ??? || || 어려운 점 || '''봇의 판정이 많이 넓고, 시야가 어두우며, 장애물이 많고, 퍼즐이 복잡하다. [* 탈출하지 못하면 퍼즐이 계속 무한반복되어 나가지 못하게되는 구간도 있고, 퍼즐을 풀다가 한명이 클리어하면 엔딩이 켜진다. 엔딩을 보려면 옴브라를 칼로 찔러 죽여야하는데 맵에 옴브라는 한명이기 때문에 한명만 옴브라를 죽여도 엔딩이 켜지는 것이다. ]'''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브레이크아웃옴브라스폰지점.png|width=400]] [[파일:RedOmbraSpawnInBreakout.webp]] [[파일:Purple_Ombra_Spawn.webp]] [[파일:The_Hand.webp]] [[파일:The_Hand_Purple.webp]] || 타이그리는 리모델링이 되었고, 당나귀나 사자, 윌로우를 제외한 늑대스킨들이 리모델링되었다. 하지만 감염스킨은 그대로이다. 여담으로 빨간색, 보라색 옴브라에게 걸리면 거의 죽는다.[* 플레이어보다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빨간색, 보라색 옴브라에게 걸리면 그 플레이어를 죽일 때가지 계속 추적한다.] [*엔딩스포주의 타이그리는 자신을 쫓아오는 호랑이 괴물을 칼로 찔러 죽인다. 그리고 과거를 회상하는데 이때 타이그리의 부모님이 타이그리에게 별로 사랑을 주지 않았던것 같다. 그리고 학교에서도 왕따를 당하며 자라게된다. 타이그리가 받은 성적표나 트로피를 보여줘도 오히려 부모님은 화를 내며 타이그리를 혼냈다. 그리고 타이그리는 군대에 가서 훈련으로 강해졌고, 당나귀인 대니라는 친구를 사귀게된다. 그리고 다시 괴물을 죽인 시간대로 돌아오고, 이 괴물은 타이그리가 스트레스를 받아 환각으로 변해버린 타이그리의 유일한 친구 대니였다. 타이그리는 자신이 유일한 친구를 죽였다는것을 알게되고 충격과 함께 무릎을 꿇고 운다. 그리고 타이그리는 현재로 돌아와 윌로우와 대화한다.] 트위터 댓글을 보면 4월중에 업데이트 될 것 같았지만 거의 6월 직전인 한국시간 5/29일 출시했다.. 애니메이터들이 컷씬을 거의 다 마쳤고, MiniToon은 코로나에 걸렸음에도 열심히 작업을 해주고 있으며 Piggy News 또한 5시간 안에는 나와야 한다며 소식을 전했다. '''꽤 어려운 맵이며 이 맵은 피기 초보들이 정색하는 맵이다.'''[* 그런데 초고수가 아닌 몇몇 유저들이 이 맵을 솔플로 깨며 쉽다고 하는 사람들도 꽤 있었다. 오히려 이 챕터보다 대저택 챕터를 더 어려워 하는 사람이 많다.] 플레이는 다른 챕터들보다 훨씬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데, 먼저 1인칭 고정에다가 Bot 모드 빼면 할 수 있는 모드가 없다. VIP 서버 커맨드로 해도 무조건 봇이 된다. 또한 플레이어 아이템을 쓸 수 없다. 게다가 1인칭인데도 불구하고 맵 자체가 굉장히 어두워서 손전등을 비추며 나아가야 하는데 시야가 굉장히 좁다. 그리고 가운데로 쭉 가다 보면 Storage라고 적혀진 방이 보이는데, 그 방에 들어가서 레버를 당겨줘야 그때부터 본격적인 게임이 시작된다. 플레이어들은 와이어를 찾아서 지하의 문을 열기 위해 꽃음과 동시에, 여러 포털들의 문을 찾아서 퍼즐을 풀어야 하는데, 관문을 열 때 누르는 색이 틀리면 몇초 쿨타임이 걸려서 다시 해야한다. 시간은 12분인데도 불구하고 깰 때는 1분도 안 남는 다는 것이 특징인 맵이다. Ombra 자체는 그리 많이 등장하지 않지만 포털들을 통해 미니게임을 플레이하고 코드를 얻는 시간이 꽤나 오래걸려서 코드를 푸는 사람, 퍼즐을 푸는 사람을 나뉘어야 그나마 깰만 할 정도. 그리고 이후 코드를 통과했다면 군용 칼이 주어지는데, 이를 이용해 Ombra를 죽여야 한다. 여담으로 옴브라는 텔레포트를 할때 땅속으로 들어가는듯한 모션을 취하면서 사라지는데 이때 맵 어딘가의 천장에 메달리게 된다.[* 플레이어가 근처로 가면 천장에서 뛰어내리는 점프스케어를 한다.] 근데 문제점은 칼을 집으면 옴브라가 움직이지 않고 마지막으로 있던곳에 끼게되는데 그곳이 메달려있던 천장이라면 옴브라를 죽이지 못해 퍼즐을 다 풀어놓고 엔딩을 보지 못하는 대참사가 벌어진다. 그냥 12분 날린 셈. 또 옴브라는 하얀색만 죽일 수 있다. 빨간색, 보라색 옴브라는 죽지 않는다. 이 맵에서 죽고 유령모드가 되면 처음 미사일을 피하는 구간에서 스폰되는데 이때 먼로병장 가까이에 다가가면 라디오 지지직거리는 소리와 한 일기를 볼 수 있다. 너무 어렵고 비공개 서버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기간 한정 서버이기 때문에 이 챕터를 탈출 한 사람은 극소수이다. 오죽하면 챕터가 나왔을 당시에서 1일 사이에 '''how to escape'''를 검색하면 인기 검색 1위가 How to escape Piggy Breakout Chapter 였을 정도. 모든 프리퀄 챕터가 그렇듯이 Alleys와 Heist 사이로 보이지만 가장 무서운 챕터라고 개발자가 밝혔다는 점, [* 예시로 초반 지하 입장시 봇이 지나가면서 플레이어들을 놀래킨다.] 클리어하면 봇 스킨을 지급해준다는 것, 모든 스킨들은 미스터 스티치를 제외하면 감염자라는 것[* 콜리 같은 오만함의 회원들은 감염된 눈과 동시에 오만함의 눈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오만함의 눈밖에는 없어 감염자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을 통해서 Heist 이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시작 전에 적의 기지로 가는 도중에 안가고 가만히 있으면 잠시 후 미사일이 연속으로 떨어져 죽는다.(한마디로 맵은 가지도 안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엔딩을 보는 꼼수는 불가능 하다는 것. 하지만 봇이 나오지 않는 초록 포탈이나 빨강 포탈 안에 들어가있다가 1분이 남았을 때 빠져나와 엔딩을 보는 꼼수는 가능하다.) === 프리퀄: 맨션 === || 봇 스킨 || '''듀오카라[* '''정말 다행히도 투명화와 분신이 통한다.''']''' || || 특이사항 || 최초의 할로윈 프리퀄 챕터--여서 윈터 홀리데이 만큼 쉬울 것 같지만 난이도는 천지 차이--다. 봇이 매우 빠르다, 얼굴 색 변화에 따라 바라보거나 보지 않아야 한다.[* 얼굴이 파란색(슬픈 얼굴)이면 바라봐야 하고, 빨간색(웃는 얼굴)이면 바라보면 안된다.] || || 이전 챕터 || X || || 이후 챕터 || ???[* 엔딩에서의 떡밥을 보아 최소한 감염 사태 이전인건 확실하다. 아니면 이미 치료제가 보급되어 감염이 끝난걸수도 있다.] || || 어려운 점 || '''봇이 플레이어보다 빠르며, 어그로가 거의 불가능하다.''' 봇의 얼굴색이 바뀜에 따라 바라보거나 보지 않는 것을 조절해야 한다[*a 알맞게 조절하면 듀오카라의 속도가 느려지지만 플레이어 속도보다 느려지는 거지 실제로는 빠른 편이라서 사실상 '''오래 끌고 있으면 죽는다.'''], 봇의 판정이 넓다,맵이 어둡다, 1분 남았을때까지 타이머가 보이지 않는다.[* 가끔 중간접속한 플레이어는 버그로 타이머를 볼 수 있다.] || || 플레이어 시작지점 || || || 피기 시작지점 || [[파일:DuocaraSpawnInMansion.webp]] || 이전 챕터들과 심지어 방해 챕터보다도 더 어려운 챕터이며[* 심지어 어떤 유저들은 티오 얻는 것보다 듀오카라 얻는 게 더 어렵다고 할 정도... 하지만 히든엔딩 루트를 생각해보면 이는 과장에 가깝다.], 이 챕터는 봇모드로 깨야만 스킨을 얻을 수 있다. 듀오카라가 플레이어보다 속도가 빠르며[* 듀오카라는 로봇이다. 다만 또다른 로봇인 로비가 있는데 플레이어보다 느린 걸 생각하면(...) 그리고 듀오카라의 다리가 "바퀴이기 때문에 무조건 빠르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카이스트에서 랩터라는 로봇을 만들었는데 '''다리가 바퀴가 아님에도 시속이 47km가 조금 넘기 때문'''이다.], 얼굴색이 바뀜에 따라 그를 바라봐야하는지 아닌지도 조절해야 한다[*a ]. 또 듀오카라는 맵을 순찰하다가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웃는 얼굴, 슬픈 얼굴로 바꿔가면서 '''플레이어보다 더 빠른 속도로 추격한다.'''[* 이때 스프린트, 투명화, 분신 능력을 쓰거나 봇이 끼거나 다른 사람에게 어그로가 끌리지 않는 이상 '''사망 확정이다.'''] 또 듀오카라는 소리에 예민하기 때문에 빨간 장난감이 많은 방에서 곰인형을 실수로 밟으면 "삐익" 소리와 함께 듀오카라를 호출하게 된다. 맵이 크고 복잡할 뿐더러, 탈출이 매우 어렵다. 다만 책상 앞에 있는채 듀오카라가 오면 '''듀오카라가 갇히는 버그'''가 있어서, 멀티플레이에서 이 꼼수를 아는 사람이 있다면 매우 쉬워--지지만 제작자는 스크립트까지 정성을 들여 만들었는데 꼼수로 깨버려 그 노력이 물거품이 되어버려서 속상해--진다(...) 심지어 계단을 이용해서 끼게 만들 수도 있는데, 하지만 듀오카라의 동선이 계획에서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실패하고 가두는 장소가 하필이면 사람들이 자주 다니는 계단 옆쪽이라...--봇 주제에 겁나 똑똑하다..-- 듀오카라를 가두는 버그를 이용하는 것을 나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미니툰이 듀오카라 속도를 이 지경으로 만들어 놓은 터라[* 듀오카라가 처음 나왔을 때 거의 초고수들 마저도 플레이하다 멘탈이 가출 할 정도로 속도가 매우 빨랐고(걸리면 2초 안에 따라잡혔다. 이때는 얼굴을 보고 안 보고 조절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 했다.), 이를 본 미니툰이 듀오카라 속도를 확 낮췄다고 한다. 다만 이걸 아쉬워하는 팬들도 있었다. 만약 듀오카라의 속도 너프가 되지 않은 상태로 지금까지 왔다면 피기 역사상 가장 빠른 캐릭터가 되었을 것이다.] '''듀오카라를 가둬놓지 않으면 자신이 웬만한 고수가 아니라면 멀티플레이에서도 깨기 매우 힘들다.''' 탈출할 시 지지가 지와 주지를 찾으러 온다. [[분류:Piggy 시리즈]][[분류:Piggy/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