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Pixel Gun 3D/무기/무기고]] [include(틀:상위 문서, top1=Pixel Gun 3D/무기)] [include(틀:픽셀건 무기고)] [목차] == 옵션 == 총에 달려있는 추가적인 기능. 처음에는 5개도 안되었으나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현재는 더욱 다양해졌다. 참고로 입수 방법이 독특한 무기는 '''해당 문단'''에서 따로 서술. [include(틀:Pixel Gun 3D/무기 효과)] [[Pixel Gun 3D/충족값|총족값]] 링크참조 === 모듈 === || 동작 모듈/마법 모듈/에너지 모듈 || 공격에 {{{#green 동작}}}/{{{#magenta 마법}}}/{{{#cyan 에너지}}} 데미지를 추가한다. 상대의 갑옷에 자신의 현재 무기와 동일한 방어 모듈이 삽입되어 있다면 데미지가 감소한다. || || 합금 || 해당 무기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킨다. || || 아스트랄 블레이드 || 무기의 공격 범위를 증가시킨다. || || 시브 || 무기의 공격속도를 높인다.[* 충전식 근접 무기의 경우 충전 속도를 높인다.] 패치로 시브 레벨에 따라 데미지가 낮아지게 되었다. || ==== 모듈 효과 ==== 모든 모듈 조합에 합금이 들어간다. ||'''{{{#green 동작}}} + 합금 + 시브'''||||'''뱀피리즘'''[*ac 액티브 효과] : 지속시간 동안 준 피해량의 일부를 회복한다.|| ||'''{{{#magenta 마법}}} + 합금'''||||'''극심한 갈망'''[*ps 패시브 효과] : 적 처치 시 잠시 동안 이동속도가 증가한다.[* 한정적이게나마 기동성을 크게 증가시켜준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근접 무기와 궁합이 좋은 편. 칼 파티에서 갑옷에 마법 모듈 삽입을 강요하는 원흉(?)이라고 볼 수 있겠다. 반면 캐시백 2배는 유동성 100에 대한 페널티로 이 효과를 못 받게 하는 것으로 너프당했으며, 뱀피리즘의 효과 또한 못 받는다.]|| ||'''{{{#cyan 에너지}}} + 합금 + 아스트랄 블레이드'''||||'''에너지 방패'''[*ac] : 지속시간 동안 '''근접무기와 일부 무기들을 제외한 거의 모든 무기들의 공격을 상쇄할 수 있다.'''[* 참고로 석궁같은 활 종류 무기나 비슷한 메커니즘을 가진 독 화살, 연속 폭발 무기는 에너지 방패를 뚫을 수 있다. 아무튼 이런 강력한 효과 때문에 지속 시간 너프를 먹었다.][* 상술한 효과들을 못 받는 캐시백 2배에게 있어 사실상 반 강제되는 조합. 총알들을 무시한 채 무식한 기본 이속으로 치고 들어가 상대를 털어먹을 수 있다. 그런데 역으로 캐시백은 에너지 방패를 못뚫는다(...)]|| === 목록 === === Combat Knife (전투용 칼) === ||<-2>
{{{#ffffff {{{+3 전투용 칼}}}}}}[br]{{{#ffffff Combat Knife}}} || ||<-2>{{{#ff0000 [[파일:픽셀건 컴나.png|width=220]]}}} || || '''{{{#ffffff 테마}}}''' ||{{{#ffffff 현실적인 }}} || || '''{{{#ffffff 기본 피해}}}''' ||{{{#ffffff 레벨마다 다름 }}}|| || '''{{{#ffffff 등급}}}''' ||{{{#ffffff 일반급 }}}|| || '''{{{#ffffff 출시}}}''' ||{{{#ffffff ??? }}} || || '''{{{#ffffff 딜레이 여부 }}}''' ||{{{#ffffff 딜레이 없음}}}|| || '''{{{#ffffff 공격 속도}}}''' ||{{{#ffffff 89}}} || || '''{{{#ffffff 기동성}}}''' ||{{{#ffffff 65}}}|| || '''{{{#ffffff 효과}}}''' ||{{{#ffffff 혼전}}}|| || '''{{{#ffffff 한방 제작}}}''' ||{{{#ffffff 불가능}}}|| || '''{{{#ffffff 상세 정보}}}''' ||{{{#ffffff 기본으로 주는 근접 무기.}}}|| 기본적으로 주는 근접무기이다. 공격 속도가 빠르며 판정이 좋으므로 근접 무빙이 좋은 사람이 들면 말 그대로 상대방을 갉아먹을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인 성능은 별로 좋지 않다. === Battle Shovel (전투용 삽) === [[파일:픽셀건 삽.png|width=35%]] ||치명률||속도||기동력|| ||?||86||85|| 역시나 기본으로 주는 근접무기이다. 성능은 의외로 강력해서 몇 대 치다 보면 상대가 죽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유동성도 85로 높아서 초반 근접무기는 이걸 쓰는 것이 효율적이다. 다만 전투용 칼과는 달리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과거 야전삽(Battle Shovel)이란 이름으로 30골드에 상점에 팔던 것의 잔재인 듯하다.] 한때 버그로 데미지가 '''999'''여서 스치기만 해도 죽는 공포의 삽이 된 적도 있다. 물론 지금은 수정되었다. === Miner Weapon ([[곡괭이|광부의 무기]]) === ||치명률||속도||기동력|| ||5→9→12||92||115→120|| 35원에 저렴한 만큼 쓸모가 없는 곡괭이. 여담로 해당 무기의 90% 세일때의 가격이 '''5'''코인이었다. 판정도 좋지 않고 딜도 구리니 현재는 갤러리 채우는 용도 밖에 되지 않는다. === Warrior Axe (전사의 도끼) === ||치명률||속도||기동력|| ||6→14||90||115→125|| 어느정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도끼. 이동 속도는 근접무기 치곤 느리지만 공격력이 높고 출혈까지 붙어 있어 무난한 무기다. 근접을 이동용으로 쓸거면 삽이나 체인톱을 사서 드는 편이 낫다. === Knight Sword (기사의 검) === ||치명률||속도||기동력|| ||6→9→16||92||120|| 70골드에 파는 검. 초반에는 상당히 쓸만하다. 모티브는 빼도박도 못할[[마인크래프트/아이템/전투#검|이것]]. === Chainsaw (체인톱/[[전기톱]]) === ||치명률||속도||기동력|| ||8||93||130|| 135골드에 파는 전기톱.[* 한때는 laser chainsaw(레이저 전기톱)이라는 이름이였으며 Tiny chainsaw(작은 전기톱)의 업그레이드였다,이후 작은 전기톱은 삭제되었으며 이 무기는 전기톱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업그레이드 불능. 비교적 싸고 기동성도 좋으니 이동용으로 쓰자. 현재는 생존자 복권에서 나온다. === Lava Flail (용암 도리깨) === ||치명률||속도||기동력|| ||10||80||65|| 120골드에 파는 도리깨. 데미지는 강한데 공격 속도가 느리고 선딜이 있다. 참고로 신화급까지 올리면 신화급 갑옷 한방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버프를 먹기 전에는 정말 근접무기들중 가장 최악이었다 심지어 화염 데미지도 쓰레기 인데다 데미지도 거의 있나없나 하는 수준이라 이걸 사는사람은 거의 초보아니면 안할 짓이었으나 신화갑옷 한방이라는 데미지를 버프시켜 환골탈태 하게 되었다. === Scythe (큰 낫) === ||치명률||속도||무게|| ||12||89||4|| 150골드에 파는 낫. 치명타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무게 또한 매우 가벼워서 이동과 기습에 효과적이다. === Dark Force Saber (다크포스 [[세이버]] / [[사브르]])[* 게임 내에선 어둠의 힘 [[사브르]]로 나온다. [[세이버]]와 [[사브르]]는 뜻은 같고 미국식 영어와 영국식 영어의 차이뿐이라 큰 차이는 없다.] === ||치명률||속도||기동력|| ||16→18→25||92||85|| 545골드로 사는 광선검. [[스타워즈]]에 나오는 [[광선검]]의 패러디. 최종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실버 채리엇|픽셀 건에서 제일 뛰어난 기동성을 지닌 무기가 된다.]] 업데이트로 인해 현재는 불 디버프를 준다. 현재 15.4.0 패치로 기동성이 85로 떨어졌다. === Fire Orb (불의 구슬) === ||치명률||속도||기동력|| ||7→14→18||85||100→105|| 폭풍망치의 바리에이션쯤 되는 180골드 마법봉. 공격 버튼을 누르면 불이 주위로 퍼져나간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11.1.1 업데이트로 불 디버프가 생기면서 불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되었다. 한때 높은 가성비덕에 좋았으나 현제 너프로 전혀 안쓰인다. === Katana (카타나) === ||치명률||속도||기동력|| ||15→19||94||120→130|| 185골드에 사는 [[일본도]]. 가격이 어느정도 싸기 때문에 세일때 사는것도 좋긴하다. 기동성도 좋아서 많이 쓰이는 편. 출혈 디버프가 달려있다. 최근 업데이트로 리메이크되어 디자인이 더 간지나게 바뀌었고 1인칭 시점에서 안보이지만 깃발과 칼집이 뒤쪽에 생겼다. 또한 적 사살시 가속 능력도 얻게 되었다. === TIGER (호랑이) === ||치명률||속도||기동력|| ||10→23||95||110→120|| 공격하면 장난감 호랑이 머리가 튀어나와 공격을 한다. 참고로 근접무기중 가장 속도가 빠르다. 다시 돌아왔다가 다시 삭제되었다. 한국어 이름이 [[초월번역|'''탕이거(...)'''로 번역되어 있다.]] === Zombie Head (좀비 머리) === ||치명률||속도||<-2>기동력|| ||12→18→22||92||70|| 좀비머리를 통째로 들고있는 특이한 외형을 가지고있다. 맞으면 독 디버프가 걸린다. 몸샷은 아프지는 않으나 헤드에 맞으면 어느정도 대미지를 줄수있다. === Storm Hammer (태풍 망치) === ||치명률||속도||기동력|| ||24||84[* 원래 85이었다가 81이 되고 84로 올라갔다.]||75|| 가격은 무려 '''999코인'''[* 세일가는 700코인.]이나 되는 모든 코인 무기 중에 가장 비싼 가격을 자랑하는 무기(였던 것) 돈값은 확실히 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공격은 망치를 휘두르면 플레이어 주변에서 번개가 나오는데 모습이 영락없는 [[토르]]의 망치다. 데미지가 흉악해서 메크나 터렛을 한두방에 보낼수도 있고 풀세트 갑옷을 2~3방 휘둘러주면 영락없이 숯가루가 되는 플레이어들을 볼수있다. 그리고 광역 데미지도 있어서 플레이어 가까이 있는 적들이 있다면 더블킬도 가능. 하지만 현재는 방어구 양도 늘어나고 지속적인 너프와 더불어 대전층같은 더욱 좋은 무기들이 많아지면서 퇴물이 되었다. === Duel Machete (듀얼 마체테) === ||치명률||속도||기동력|| ||9→15→23||93||110→120|| 양손으로 쓰는 마체테. 불의 악마의 하위호환. 출혈이 가능하다. === Chainsaw Sword (톱 검) === ||치명률||속도||기동력|| ||19-3→'''56'''||96||4||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울트라마린들이 쓰는 검과 비슷한 그것. 공격 시 톱날을 들이대며 상대를 아예 갈아버린다. 최종 업그레이드시 불의 악마보다 더 높은 치명률을 가지나 태풍 망치에 묻혀서 잘 보이지 않는다. === Core Sword (코어 스워드) === ||치명률||속도||무게|| ||25||82||15|| 12.6.0업뎃으로 등장한 대검무기. 공격속도가 느리다. === Combat yoyo(컴뱃 요요) === ||치명률||속도||기동성|| ||25>'''56'''||64||85|| 23렙부터 잠금해제되는 '치명률 25 시리즈'의 일원인 무기다. 모든 근접 무기 중 클랜 무장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치명률(만렙 29)를 가지고 있고, 사거리도 근접 무기 중 가장 긴 무기라 칼 파티에서는 사실상 얘 아니면 태풍 망치를 잡을 사람이 없다. 수영장 파티같이 작은 맵에서는 사실상 근접 무기 중 태풍 망치와 함께 위험 순위 1위에 속하며, 설명에는 안 써져 있지만 약간의 벽 관통이 있고, 한 번 공격시 최대 2회의 대미지를 준다[* 나갈때 1회+돌아올때 1회. 하지만 가끔씩 다딘 히트가 날 때도 있다.]가격은 350골드. 그리고 제트 텐더라이저와 더불어 상점 양대산맥 근접 무기중 하나로, 긴 사거리를 이용해 최근에 나온 사기 근접 무기인 '''피리를 든 너구리'''와 '''나이트의 도끼'''[* 체스 시즌 전투패스 무기 중 하나이다. 상점의 그 도끼가 아니다!][* 그나마 너구리는 딜/범위 너프 후엔 사기 무기 자리에서 내려왔지만 나이트의 도끼는 떠오르는 신흥 강자나 다름없어서...]를 카운터 칠수 있는 무기다! === Elder Force Saber (엘더 포스 [[사브르]]) === ||치명률||속도||<-2>무게|| ||'''56'''||87||4|| 13.2.0 때 나온 무기. 우선 코인 무기라 무과금한테는 반가운 무기다. 게다가 치명률은 어둠의 힘 [[사브르]]보다 3 더 높다. 무게는 너프를 먹어서 엘더 포스 사브르와 동일하다. 가격을 보면 분명 좋은 근접무기다. 업데이트로 데미지가 56으로 늘었다 === Zeus-chain sword (제우스-체인 검) === ||치명률||속도||<-2>무게|| ||24||82||7|| 13.1.0 때 나온 무기. 두번째 체인 샷 무기다. 여러명의 적군을 죽이는 데 특화되어있다. 다만 헤드샷 대미지는 없다. === Steampunk Fist (스팀펑크 주먹) === ||치명률||속도||<-2>무게|| ||29||89||6|| 13.2.0 때 나온 무기. 파워 주먹의 색놀이 버전이자 열화 버전이다. 슬로우 없는 파워 주먹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Sword & Shield (검 & 방패) === ||치명률||속도||<-2>무게|| ||28→56||89||7|| 13.3.0 때 나온 색놀이가 아닌 무기. 상점에서 최초로 구매할 수 있는 아머 보너스가 달린 무기다. 방어구 3칸을 늘려준다. --방패가 있지만 장식이다.-- === Demon sword (악마의 검) === ||치명률||속도||무게|| ||4||71||65|| 위 코어스워드의 색놀이 무기. 치명률이 코어 스워드보다 낮은점만 빼면 코어스워드 판박이. 15.4.0 업데이트로 레이저 대포와 단호한 레이저 대포와 같은 사정의 피해자가 되어버렸다. 최근 데미지 73% 증가라는 파격적인 버프를 받아 데미지가 굉장히 올라갔다. 다만 범위가 그닥 넓지 않고 공격 시 딜레이가 약간 줄었지만 아직 상당히 길어서 적응되지 않으면 쓰기 힘들 듯하다. === Bone crusher (뼈 분쇄기) === ||치명률||속도||무게|| ||26||86||85|| 원시 업데이트때 나온 무기. 딜이 거의 안들어가며 크리티컬이 있어도 딜이 별로다. === Jet tenderizer (제트 텐더라이저) === ||치명률||속도||무게|| ||33||64||85|| 충전식 근접 무기[* 충전식 근접무기로는 '''룬 망치'''라는 것도 있다.].[[라인하르트(오버워치)|어느 게임 캐릭터의 무기]]를 모티브로 만든 무기. 풀 충전시 적을 한 방에 심판하며 특이하게도 헤드샷 판정이 있다. 그러나 쓰기 어렵고 인기가 없어서 음양과 컴뱃요요에게 밀렸지... 만 충전 게이지 패치 이후로 훨씬 쓰기가 쉬워져 채용률이 많이 늘어났다. 게다가 최근에 나온 '''피리를 든 너구리'''와 '''나이트의 도끼'''를 제대로 카운터 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이다. 그러나 충전식 무기들의 단체 패치로 충전 속도가 롤백되어 다시 쓰기 어려워지고 먹잇감인 너구리와 나이트의 도끼가 자취를 감추고, 사기급 근접 무기들이 우후죽순 출시되어 입지가 떨어졌지만 이후에 데미지 버프를 먹어 모듈빨을 잘 받으면 쓸만한 무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