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라디오헤드 노래]][[분류:2016년 노래]][[분류:아트 팝]] [include(틀:라디오헤드)] [include(틀:A Moon Shaped Pool)] ||<#c4c3c8><-2> '''{{{+1 Present Ten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hetqKun4XFg,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2016년]] [[5월 8일]] || || '''장르''' ||[[아트 팝]] || || '''러닝 타임''' ||5:07 || ||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4c3c8; font-size: .9em" [[A Moon Shaped Pool|{{{#fbfafc '''A Moon Shaped Pool'''}}}]]}}} || ||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width=28]]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5월 8일 발매한 [[라디오헤드]]의 9집 음반 [[A Moon Shaped Pool]]의 9번째 트랙. == 상세 == 이 곡의 기록된 첫 녹음은 앨범 발매 8년 전인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8월 13일 맨스필드 공연의 사운드체크에서 연주된 [[https://www.youtube.com/watch?v=vdanMPQxqug|녹음본]]이 그것이다. 그러나 곡이 처음 공개된 것은 2009년 7월 19일 [[https://www.youtube.com/watch?v=vdanMPQxqug|톰의 솔로 공연]]에서로, 세트리스트에 'The Present Tense'라고 쓰여 있는 것이 밝혀지며 제목도 알려지게 되었다. 이 버전을 들은 팬들은 대호평을 보내며 스튜디오 버전을 기다려 왔고, 7년 뒤 마침내 정식 발매되었다. 곡은 [[보사노바]]와 유사한 리듬의 기타 리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조니 그린우드]]가 작곡한 영화 [[노르웨이의 숲(영화)|노르웨이의 숲]] 사운드트랙 [[https://www.youtube.com/watch?v=MiQ4pOZ0hiw|いい子だから黙ってて]]과 코드진행이 매우 흡사하다. == 가사 == ||<(><#737175>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A Moon Shaped Pool|[[파일:라헤 9집.jpg|height=45px]]]]}}}||{{{#!wiki style="margin: -5px 0;" '''{{{+1 [[Present Tense|{{{#FFF Present Tense}}}]]}}}'''[br][[라디오헤드|{{{#FFF Radiohea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70deg, rgba(116,114,118,1) 0%, rgba(115,113,117,1) 11%, rgba(119,117,121,1) 21%, rgba(122,120,125,1) 32%, rgba(127,125,129,1) 39%, rgba(132,131,134,1) 49%, rgba(148,148,150,1) 61%, rgba(147,147,149,1) 72%, rgba(138,138,140,1) 85%, rgba(110,110,112,1) 100%)"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word-break: normal" {{{+5 '''This dance'''}}} 이 춤은 {{{+5 '''This dance'''}}} 이 춤은 {{{+5 '''Is like a weapon'''}}} 무기와도 같아 {{{+5 '''Is like a weapon'''}}} 무기와도 같아 {{{+5 '''Of self-defense'''}}} 자기방어를 위한 {{{+5 '''Of self-defense'''}}} 자기방어를 위한 {{{+5 '''Against the present'''}}} 현재에 맞서 {{{+5 '''Against the present'''}}} 현재에 맞서 {{{+5 '''The present tense'''}}} 현재 시제에 {{{+5 '''No, I won't get heavy'''}}} 아니, 무겁게 하진 않을게 {{{+5 '''I won't get heavy'''}}} 무겁게 하진 않을게 {{{+5 '''Keep it light and'''}}} 가볍게 그리고 {{{+5 '''Keep it moving'''}}} 계속 움직여 {{{+5 '''I am doing'''}}} 난 아무런 {{{+5 '''No harm'''}}} 해도 끼치지 않아 {{{+5 '''As my world'''}}} 나의 세상이 {{{+5 '''Comes crashing down'''}}} 무너져 내릴 때 {{{+5 '''I'll be dancing'''}}} 난 춤추고 있을 거야 {{{+5 '''Freaking out'''}}} 자제력을 잃으면서도 {{{+5 '''Deaf, dumb'''}}} 귀와, 입과 {{{+5 '''And blind'''}}} 눈을 막고서 ● ● ● {{{+5 '''In you, I'm lost'''}}} 네 안에서, 난 길을 잃어 {{{+5 '''In you, I'm lost'''}}} 네 안에서, 난 길을 잃어 {{{+5 '''I won't turn 'round'''}}} 돌아서지 않을 거야 {{{+5 '''When the penny drops'''}}} 이해하게 된다 해도 {{{+5 '''Won't stop now'''}}} 멈추지 않을 거야 {{{+5 '''Won't slack off'''}}} 게을러지지 않을 거야 {{{+5 '''Or all this love'''}}} 안 그러면 이 모든 사랑이 {{{+5 '''Will be in vain'''}}} 헛되게 될 테니까 {{{+5 '''To stop from falling'''}}} 딴길로 새는 걸 {{{+5 '''Down a mine'''}}} 멈추기 위해 {{{+5 '''It's no one's business'''}}} 누구의 일도 아니야 {{{+5 '''But mine'''}}} 내 일이지 {{{+5 '''When all this love'''}}} 이 모든 사랑이 {{{+5 '''Has been in vain'''}}} 헛되게 되었을 때 ● ● ● {{{+5 '''In you, I'm lost'''}}} 네 안에서, 난 길을 잃어 {{{+5 '''In you, I'm lost'''}}} 네 안에서, 난 길을 잃어 {{{+5 '''In you, I'm lost'''}}} 네 안에서, 난 길을 잃어 {{{+5 '''In you, I'm lost'''}}} 네 안에서, 난 길을 잃어 '''Written By:''' [[라디오헤드|{{{#FFF Radiohea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