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Puff, the Magic Drag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26e_86-K0k, width=100%, height=250)]}}} || || '''발매''' ||1963년 1월|| || '''녹음''' ||1962년|| || '''장르''' ||[[팝 음악|팝]], [[포크 음악|포크]]|| || '''길이''' ||3:20|| || '''작사/작곡''' ||레너드 립턴, 피터 야로우|| || '''프로듀서''' ||알버트 그로스먼|| || '''레이블''' ||[[워너 브라더스]]|| || '''B-사이드''' ||Pretty Mary|| [목차] [clearfix] == 개요 == 포크송 그룹 [[Peter, Paul And Mary]]의 노래. 1963년 앨범 Moving 에 수록되었으며 같은 해 1월 싱글로 발매되었다. == 상세 == '''아이가 동심을 잃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는 동요풍의 포크송이다. 60년대를 살았던 미국인들은 거의 다 이 노래를 외우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60년대부터 70년대까지는 TV나 라디오 방송에 수도 없이 나왔다.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외우지 못하는 게 이상할 정도의 국민가요급 포크송이었다. 물론 지금 시대 사람들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한 전설적인 노래다. 유튜브에는 나온 지 60년된 이 노래를 기타 커버해서 올리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작사는 사실 멤버인 피터의 대학시절인 1959년에 그의 친구 레너드 립톤이 지은 시를 노래리듬에 맞게 약간 수정하여 만든 것이라 한다. 그 시의 탄생 배경이 우연적이면서도 충동적인데(?), 어느 날 피터의 하숙집에서 저녁식사를 하기로 한 친구 레너드는 당시 고향에서 먼 대학을 다니던 중이라 [[향수병]]이 심했다고 한다. 그렇게 힘들어하던 중 피터와의 약속이 생겼고 저녁때까지 시간이 좀 많이 남자 대학도서관에 가서 세계적인 시인 '오그덴 내쉬'가 쓴 용(dragon)에 대한 책 "The tale of Custard the Dragon"을 읽게 되는데, 여기서 강한 영감을 받게 되어 바로 피터의 집으로 가면서 즉흥적으로 떠오르는 몇몇 시구절들을 메모하기 시작했고, 도착하자마자 피터의 집에 있는 타자기에 적어온 글들을 정리하면서 옮겨 적어[* 당시 피터는 주방에서 요리에 집중하느라 친구 레너드가 뭘 하는지 전혀 몰랐다고 한다. 레너드가 식사와 담소를 마치고 집에 간 뒤에야 피터는 타자기의 종이를 발견했다고 한다. 아마 글을 완전히 다 쓰고 나서 자리를 식사하는 곳으로 옮기고서야 요리가 완성되었다고 봐야 한다. ] 하나의 시를 온전하게 완성해 버리고 피터와 식사를 한다. 그러나 식사를 하던 중에 자신이 그 타자기로 시를 쓴 걸 까맣게 잊고 그대로 자기 하숙집으로 가 버렸다고 한다.[* 심지어 그는 이후에도 자신이 이 시를 쓴 일을 거의 기억을 못했다고 한다. 긴 세월 뒤에 피터가 찾아와서 설명을 해 준 뒤에야 '내가 정말 그랬나?'하다가 겨우 그날의 일들을 기억해 냈다는듯 하다. 향수병도 일종의 [[우울증]]인데 작은 일들에 대한 기억력 상실이 중증 우울증의 대표증상 중 하나인 걸 생각해 보면 그의 상태가 꽤 심했던 듯하다.] 레너드가 간 뒤, 자신의 [[타자기]]를 무심코 본 피터는 그 시를 발견하고 이걸 노랫말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되어 포크 멜로디를 작곡 후 멜로디에 맞게 그 시를 개사하여 완전한 곡을 만든다. 이 노래가 바로 "Puff, the magic dragon"인데, 레너드는 용에 대한 전설의 토대에 '어린이가 성인이 되면서 동심을 잃어버린다는 슬픈 내용'을 조화시켜 담았고[* 원본 시의 내용은 노래가사보다 더 길다고 한다. 허널리 섬(하와이에 있는 섬) 앞바다에 사는 무한한 수명을 가진 개구쟁이 용 퍼프가 어린이 친구 '재키 페이퍼'(Jackie Paper)를 만나서 친구가 되어 함께 즐겁게 놀다가, 재키가 성인이 되면서 동심을 잃고 퍼프를 점점 찾아오지 않게 되다가 결국 영영 찾아오지 않아 헤어지게 되어 슬퍼하지만 다시 새로운 어린이 친구를 만나게 되는 내용까지 꽤 자세히 담겨 있다고 한다. 심지어 재키가 나이 들어 죽고 그걸 퍼프가 몰래 지켜보고 슬퍼하는 내용까지 있다고 하는데, 레너드가 자신의 외로운 입장을 그 퍼프에 이입시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정황들을 통해 볼 때 시의 종류는 서사시이거나 서사시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진 서정시로 보인다.], 이 노랫말이 부드러운 기타 음정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노래를 완성하여 초반 공연부터 큰 히트를 치게 된다. 60년대 포크송의 정수. 한때 마약 관계된 것들을 상징하는 노래[* 하와이에 정말 존재하는 섬인 허널리가 당시에 마약재배가 실제로 이루어지는 섬이었다는 유명한 소문도 있었고, Puff가 '담배 한모금을 빨다'라는 뜻이 있는 단어라서 그런 의혹을 받았다고 한다.]라는 의혹을 받았으나 실상은 이와 전혀 무관하고, 노래의 모티프는 그냥 이 에피소드였다고 한다. 레너드는 졸업 후 아예 그 노래에 대한 기억을 잊고 살았고, 피터는 본격적인 가수생활로 레너드를 자주 못 보게 된 채로, 여러 공연을 하며 다니다가 보니 이 노래에 대한 저작권을 정리할 것을 잊고 있다가 이 노래가 대히트를 치자 이를 기억하고, 음악과 무관한 직업을 가지고 있던 레너드를 찾아가 그에게 작사가 저작권을 줬다고 한다. 참고로 이 곡은 그들이 그룹으로 음반을 내기 전에 그냥 공연만 하던 시절[* 그들의 공연이 유명해져서 음반까지 내고 미국 전역에서 인기가수가 된 것.]이 있었는데, 그때부터 불렀던 노래라고 한다. == 가사 == 원래 장르는 동요가 아니지만 현재에는 동요풍의 노래로 받아들여지므로, 동요적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가사를 "~어"체와 혼용해서 번역하였다. '''[인트로 & 후렴]'''[* 후렴으로 부를 땐 두 번 반복하며, 후렴의 시작에는 Oh, 를 붙인다.] Puff, the magic dragon, lived by the sea 마법의 용 퍼프는 바닷가에 살았다네 And frolicked in the autumn mist, in a land called Hona Lee[* 실제로 [[하와이 제도]]에 발음이 비슷한 '하날리(Hanalei)'라는 마을이 있어서 이곳이 노래 속 하날리의 모티브가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돌기도 했다. 하날리 마을 해변의 절벽이 용처럼 보인다고. 하지만 가수들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그리고 하날리라는 곳, 가을 안갯속에서 놀았지 '''[1절]''' Little Jackie Paper, loved that rascal Puff 어린 재키 페이퍼는 악동 퍼프를 사랑했네 And brought him strings and sealing wax, and other fancy stuff 그래서 실과 밀봉 왁스와 멋진 것들을 가져다 주었지 [*a 이후로 후렴을 부른다.] '''[2절]''' Together they would travel 둘은 함께 여행했어 On a boat with billowed sail 두근거리며 배로 항해하고 Jackie kept a look-out 재키는 망을 보았지 Perched on Puff's gigantic tail 퍼프의 거대한 꼬리에 앉은 채 '''[3절]''' Noble kings and princes 고귀한 왕과 귀족들은 Would bow whene'er they came 그들이 올 때마다 절했지 Pirate ships would lower their flags 그리고 해적선들은 기를 내렸어 When Puff roared out his name 퍼프가 이름을 고함칠 때마다 [*a 이후로 후렴을 부른다.] '''[4절]''' A dragon lives forever 용은 영원히 살지만 But not so, little boys 어린 소년들은 아니지 Painted wings and giants' rings 칠한 날개와 거인들의 반지는 Make way for other toys 다른 장난감들에게 길을 내주었네 '''[5절]''' One grey night it happened 어느 어두운 날 일어난 일, Jackie Paper came no more 재키 페이퍼는 더 이상 오지 않았네 And Puff, that mighty dragon 그리고 위대한 용 퍼프는 He ceased his fearless roar 두려움 없는 울음을 멈추었어 '''[6절]''' His head was bent in sorrow 그의 머리는 슬픔에 굽었고 Green scales fell like rain 초록 비늘은 비처럼 쏟아졌지 Puff no longer went to play 퍼프는 더 이상 Along the cherry lane 체리나무 거리에 놀러 가지 않았네 '''[7절]''' Without his lifelong friend 평생의 친구 없이 Puff could not be brave 퍼프는 용감할 수 없었어 So Puff, that mighty dragon 그래서 위대한 용 퍼프는 Sadly slipped into his cave '''슬프게 동굴 속으로 들어갔지.''' [*a 이후로 후렴을 부른다.] == 차트 성적 == [[빌보드 핫 100]]에서 2위를 기록했다. [[196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12위에 올랐다. == 기타 == [[베트남 전쟁]]을 통해서 군인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미군이 [[AC-130]] 건쉽의 원조격인 [[AC-47]]의 별명을 이렇게 지어 주었다. 원래는 Dragon 이나 Dragon ship이었는데 변화된 것.''' 그래서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들의 트라우마가 되기도 하는 두 배로 씁쓸한 곡.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 6학년 교과서 CD에 이 곡을 개사한 곡이 있다.[* [[https://youtu.be/v4lGyjs_bf8|Gr6 ch2 song "Is this York street?"]]] 한국에서는 '''미나'''[* 앨범을 단 하나만 내고 활동을 중단한, 그야말로 혜성처럼 나타나 혜성처럼 사라진 가수다.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가수 미나와는 다른 사람이다.]라는 이름의 가수가 1971년에 '''용과 재키'''라는 이름으로 번안해서 불렀다. 여기서는 재키가 동심을 잃고 떠난 게 아니라 그냥 죽었다는 결말이다.[* '''해적들과 재키 죽어버렸네'''라는 가사를 보면 천수를 누리고 죽은 게 아닌, 바다에서 놀다가 만난 해적과의 싸움으로 인해 죽은 뉘앙스로 들리기도 한다.] [[양희은]]의 데뷔작이자 한국 대중음악계 불후의 명반 [[양희은 고운노래 모음]]에도 수록되어 있다.[[https://youtu.be/GT-4J1YIB58|#]] 원곡 영어 가사를 위주로 부르며 한국어 가사가 일부 추가되었다. [[분류:빌보드 핫 100 2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1963년 노래]][[분류:1963년 싱글]][[분류:팝]][[분류:포크 음악]] 초등학교 4학년 음악 교과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