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펌프 잇 업 시리즈)] [[파일:external/pds19.egloos.com/a0010379_4de1dc92a9ff5.jpg|width=500]] [youtube(RbJUrahQqk4)] '''타이틀 곡(Kaw - Ignition Starts)[* 반야의 Ignition Starts!와는 별개의 곡이다. 추후 stepmaniaX에 수록되었다.]''' [[http://www.piu-pro.com/?m=1|공식 홈페이지]] {{{+1 Pump it up Pro}}} 이때 한국에서는 [[펌프 잇 업 NX]]를 개발하고 있었는데, '''프로'''라는 이름 때문에 한국의 개발자들은 "우리는 펌프 잇 업 아마추어를 만드는 중" 이라는 개그를 쳤다고 한다(...). [목차] == 개요 == [[2007년]] [[6월]] 출시된 [[펌프 잇 업]] 시리즈의 북미 전용 버전. [[인 더 그루브]] 시리즈의 제작진 일부가 락커 게임즈에서 퇴사한 후 펀 인 모션이라는 새로운 회사를 설립, [[안다미로]]의 지원으로 별도로 개발하였다. 이 때 북미지역은 이미 DDR이 장악하고 있었고, 펌프 잇 업은 대체적으로 중남미지역에서 강세였기 때문에 북미시장 개척을 위해서도 적절한 선택이었던 듯 하다. 당시에는 DDR에 밀려서 빛을 못보았지만 컬트적인 인기덕분에 2010년 2월 후속작인 [[Pump It Up Pro 2]]가 출시되었다. 북미쪽에서는 오히려 원본만큼의 수요가 있기 때문에 프로 2 이후 출시된 기기인 TX와 CX는 아예 전면부 곡 선택 화살표 버튼을 달아놓았다. 물론 이 전면 버튼은 본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상세 == 안다미로에서 제작한 엔진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닌 PC용 소프트웨어인 [[스텝매니아]]를 기반으로 제작하였다. 덕분에 스텝매니아에서 실행가능한 모든 플레이 옵션이 곡 선택시 설정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 펌프 잇업 Pro가 설치된 기기에는 별도로 본체에 방향설정과 선택을 위한 버튼이 달리게 되었다. 따라서 프로를 구동할 기체에는 방향 설정과 선택을 위한 버튼이 전부 추가로 본체에 설치를 해야 한다. 이 버튼은 본체 옆면에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나 본체에 안내판 혹은 안내 스티커를 제거하고 설치한다. 대형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DX기체는 버튼 적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프로를 구동할 수 없다. USB를 이용한 커스텀 패턴을 삽입하는 등, 인 더 그루브 2에서 지원하던 기능은 전부 지원한다. 실질적으로 FX의 외부에 달린 USB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한 최초의 시리즈. FX에 USB 기능이 들어간건 순전히 프로 때문이다. NX와 개발기간이 겹쳤기때문에 NX에서는 USB 기능이 없던것이다. 스텝매니아 기반이긴 하지만, DDR처럼 1롱노트 = 1노트 시스템이 아니다. 즉 일반 펌프처럼 콤보가 쫙쫙 올라간다. 다만 본가 시리즈와 다르게 롱노트도 단노트처럼 일일이 밟아줘야 한다. 동시밟기는 노트 수만큼 콤보가 올라간다. 즉 JN이 항상 켜져 있다고 보면 된다. == 여담 == * 일본의 World Game Circus 오락실에서 직수입으로 들여놓기도 했다. 그 오락실은 테크니카도 있었고 EZ2DJ도 있었던 오락실이니... * 아이러니하게도 전작인 제로에서 삭제되었던 [[Ignition Starts!]]와 [[Hypnosis]]가 이 버전엔 수록되어있다. * 인 더 그루브의 사실상의 사운드 디렉터였던 카일 워드[* Kyle Ward=KaW=ZigZag]라는 사람이 이 펌프 잇 업 Pro의 개발에 즈음해 안다미로로 옮겨왔다. 덕분에 신곡 중에서는 인 더 그루브의 냄새가 짙은 곡들이 많다. NX2에 이식수록된 Energizer도 그 중 하나. * 이 버전에서는 다수의 [[더미 데이터]]가 발견되었다. [[http://tcrf.net/Pump_It_Up_Pro|#]] * DVS - Bust Back [[BGA]]만 존재하는 데이터. 원래 NX 수록곡으로 프로에도 이식되려고 했으나, [[검열삭제#s-1|검열삭제]]를 잘못 해서[* 가사의 nigga나 fuck 같은 단어가 노출되었다.] 삭제. * displeased.mpg [[범용 BGA]] 폴더인 RandomMovies 폴더의 유일한 내용물. 마인노트 위에 화난 얼굴이 그려져 있고 '''ANGERFACE DOES NOT APPROVE'''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볼 수 없고, 데이터를 개조해 채보에 대응되는 BGA가 없을 때만 나온다. * Darkly We Wander 해당 코스 파일의 주석에 짤막한 편지 형식의 글이 있다. * 채보 제작자 명의 존재하지만 표기되지 않아 완벽한 더미 데이터. 대부분은 정상적으로 적혀 있지만, 아래 2곡은 표기가 이상하게 되어 있다. 아티스트 - 제목 - 모드 - 채보 제작자 순으로 표시. 모두 차기작에서는 수정되었다. * ZiGZaG - VVV - 하프더블 - J. Dread, you fucker * Onyx - Hasse Mich - 나이트메어 - GO TO HELL!! * 스텝매니아의 구버전을 사용하는 탓에 본가 시리즈와 달리 곡마다 BPM 변화가 고정되어 있다. 난이도별 변속은 5.0 버전을 사용하는 인피니티에서야 지원하게 되었다. == 수록곡 == || 곡명 || 아티스트 || 비고 || ||!||Onyx|| || ||Aliens in Our Midst||Corporation|| || ||Anubis||Banzai|| || ||Art City||Virgill|| || ||Be My Friend||Lagoona|| || ||Blow My Mind||Alphadelta|| || ||Boogie Land||Le Bruj|| || ||Chopstix||Sonic Dimension||NX2에 이식, 클래식 리메이크|| ||Clockwork Genesis||Inspector K|| || ||Coming Out||Playmaker feat. Robin|| || ||Dance All Night||Oscillator X||NX2에 이식|| ||Dance Vibrations||Elpis||NX2에 이식|| ||Dawn (Perpetual Mix)||KaW||Dawn의 리믹스|| ||Destiny||Smiley|| || ||DJ Superstar||Oscillator X|| || ||Do What You Wanna Do||Playmaker|| || ||Energizer||ZiGZaG||NX2에 이식[br]인 더 그루브 2 이식곡|| ||Esperanza||KaW|| || ||Exotica||Banzai|| || ||Feels Just Like That Night||Eskimo & Icebird feat. Maria Merete|| || ||Funk Factory||Money Deluxe|| || ||Groovin' Motion||Sonic Dimension||NX2에 이식|| ||Hasse Mich||Onyx|| || ||Heel and Toe||KURi-ZiLL||피에스타 2에 이식|| ||Incognito||Inspector K||인 더 그루브 이식 곡|| ||Infection||Inspector K|| || ||Into My Dream -Kaveh Azizi remix-||Lagoona|| || ||It's Over Now||Virgill|| || ||July -Euromix-||js14|| || ||Love Eternal||When Machines Dream|| || ||[[Monolith(펌프 잇 업)|Monolith]]||Affinity||피에스타 2에 이식|| ||Moonstone||Virgill|| || ||Nightmoves||Playmaker|| || ||Oasis||KaW|| || ||Ra||Banzai|| || ||Radius||KURi-ZiLL|| || ||RE-RAVE||KURi-ZiLL||피에스타 2에 이식, 뮤직 트레인/미션 한정. 1.50에서 정식 곡으로 승격|| ||Riders, Unite!||Andreas Viklund|| || ||Robotix||Kbit|| || ||Round and Round||Eskimo & Icebird|| || ||STOP! & GO||Onyx|| || ||Summer -Speedy Mix-||Smiley|| || ||Sunshine||Playmaker|| || ||Take Me Back||KaW||피에스타 2에 이식, 1.20 신곡|| ||Take My Time||Alphadelta|| || ||Utopia||Smiley||피에스타 2에 이식|| ||Virtual Emotion||Inspector K||피에스타 2에 이식|| ||[[VerTex 시리즈|VVV(VerTex^3)]]||ZiGZaG||VerTex, VerTex^2의 후속작. 피에스타 2에 이식, 뮤직 트레인/미션 한정. 1.50에서 정식 곡으로 승격|| ||Who||KaW|| || ||Xuxa||Smiley||피에스타 2에 이식, 1.20 신곡|| ||Y2Z||Affinity||피에스타 2에 이식, 1.30 신곡|| ||Zodiac||Banzai|| || ||||||<:>'''Encore 패치 추가곡'''|| ||Epilogue||When Machines Dream|| || ||Euphoria||KaW feat. Smiley|| || ||Kitty Cat||Coconut||XX에 이식|| ||Ladybug||Coconut||피에스타 2에 이식|| ||London Bridge||Sci GUYS|| || ||Move It Groove It||KaW feat. Sam-I-Am|| || ||Shooting Star||Coconut|| || ||Style On My Speed Dial||Oscillator X|| || ||Tension||Inspector K|| || ||Tribal Style||KaW|| || [[분류:펌프 잇 업 시리즈]][[분류:2007년 아케이드 게임]][[분류:인 더 그루브]][[분류:북미 전용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