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e스포츠]][[분류:리듬게임/e스포츠 팀]] [include(틀:BPL SEASON 3 참가팀)] ||<-2> '''{{{+1 {{{#fff 라운드 원}}}}}}''' || ||<-2> {{{+2 {{{#D80C18 '''ROUND1'''}}}}}} || ||<-2> [[파일:logo_round-1.png|width=80%]] || || '''창단일''' || [[2021년]] [[4월]][* BPL 시작 월 기준] || || '''소재 지역'''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모기업''' || [[ROUND1|[[파일:logo_round-1.png|height=20]]]] || ||<|3> '''종목''' || [[ROUND1/e스포츠/beatmania IIDX|beatmania IIDX]] || || [[ROUND1/e스포츠/사운드 볼텍스|사운드 볼텍스]] || || [[ROUND1/e스포츠/DanceDanceRevolution|DanceDanceRevolution]] || || '''웹사이트''' || [[https://twitter.com/BPL_Team_ROUND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공식 ROUND1의 총감독 및 공식 계정.] [[https://twitter.com/BPL_IIDX_ROUND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IIDX선수 ROUND1 소속 IIDX 선수들이 운영하는 또 다른 공식 계정.] [[https://www.youtube.com/channel/UChmj3YJ-CwwPLOxxd-hOoQ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팀 컬러''' || {{{+5 {{{#D80C18 ■}}} }}} || ||<-2> '''{{{#fff 우승 기록}}}''' || || '''[[BEMANI PRO LEAGUE|{{{#fff BPL}}}]]''' (2회, 최다) ||S2 IIDX, S2 DDR|| [목차] [clearfix] == 개요 == > '''혁력으로 정상을 노리다''' > - 팀 소개 문구[* "혁력"의 원문은 "赫き力"로, 그 중 "赫き"의 뜻은 "혁혁하다"로, "공로나 업적 따위가 뚜렷하다"는 의미를 지녔다.] 일본의 대형 오락실 체인점 [[ROUND1]]의 프로게임단으로, BEMANI PRO LEAGUE에 출전하고 있다. == 스폰서 == || [[파일:phiten_logo.png]] || || || || {{{#FFF '''Phiten'''}}} || || || ==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4>
[[ROUND1/e스포츠|[[파일:logo_round-1.png|width=200]]]] || ||<-4> '''{{{#fff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 [[beatmania IIDX|[[파일:logo_iidx_all_white.png|height=50]]]] || [[사운드 볼텍스|[[파일:SDVXLogo.png|height=50]]]] || [[DanceDanceRevolution|[[파일:ddr_logo.png|height=50]]]] || || [[ROUND1/e스포츠/beatmania IIDX|'''{{{#D80C18 ROUND1}}}''']] || [[ROUND1/e스포츠/사운드 볼텍스|'''{{{#D80C18 ROUND1}}}''']] || [[ROUND1/e스포츠/DanceDanceRevolution|'''{{{#D80C18 ROUND1}}}''']] || == 여담 == * 팀의 상징 이모지는 BPL 공식 트위터에서는 🔥, 시청자들의 BPL 방송 채팅에서는 ☝가 좀 더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팀의 이미지 컬러와 팀의 소개 문구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되고, 후자는 손으로 1을 표현하는 팀 상징 제스쳐[* 팀명 ROUND"1"에서 따온 제스쳐이다.]에서 따왔다. * BPL 이벤트 대상 점포가 제일 많은 팀으로, BPL S2 IIDX 종목 당시 개최된 BPL 프로선수 서포터즈 이벤트 기준 99점포이다.[* 두 번째로 많은 [[TAITO STATION Tradz]]보다 '''40곳''' 더 많다.] * 출전 팀들 중 "어드바이저"라는 직함이 없는 유일한 팀이다. BPL 어드바이저의 직책으로 알려진 것들 중 하나인 전략 분석 등을 맡는 인물은 "감독" 및 "코치" 직함을 달고 있다. * IIDX 종목의 [[U*TAKA]], DDR 종목의 [[O4MA.]]처럼 단순히 해당 리듬게임의 톱급 탑랭커임을 넘어서 '''거의 한 리듬게임의 아이콘'''급의 인지도를 가졌거나, SDVX 종목의 [[BOLL]]처럼 실력과 스타성 모두 준수한 선수들을 단번에 영입해내는 등 에이스 복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다만 비에이스진 영입으로 넘어가면 함정픽이 한명씩 나오거나 단체로 저점을 찍는 바람에 에이스가 뒤처리를 해야 되는 상황이 종종 나오기도 한다(...). * 종목마다 스타 플레이어가 한명씩 있는 덕분인지 3종목 모두 상당한 인기팀이며, 매 시즌 BPL 프로선수 서포터즈 이벤트에서 최소 한 명씩은 랭킹에 들어간다. 심지어 예능팀으로 전락한 시즌 2 사볼 종목 팀은 세 명 모두 랭크인했고, 시즌 2 DDR 종목은 잠깐이나마 선수 세 명이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 시즌 2 당시 라운드 원 공식 홈페이지에 BPL e스포츠 팀에 대한 페이지가 있었으나 삭제되었다. * BPL 출전팀들 중 최초로 2회 우승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