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리엔드.png|width=600]] ||<#FFFFAA><:> '''곡명''' ||<:> '''Re:End of a Dream''' || ||<#FFAAFF><:> '''[[장르]]''' ||<:> '''HARD RENAISSANCE''' || ||<#AAFFAA><:> '''[[BPM]]''' ||<:> '''212''' || ||<#FFAAAA><:> '''[[작곡가]]''' ||<:> '''uma vs. モリモリあつし''' || ||<#AAFFFF><:> '''[[BGA]]''' ||<:> '''masiro vs. adaptor'''[* 마시로 일러스트, 어뎁터 영상.] || ||<#AAAAAA><:> '''Extended''' ||<:> '''Re:End of a Dream''' || [youtube(ayg2A2JoRzg)] BGA 영상 [youtube(6tHecc_ek8M)] long ver. [[http://sound.jp/nrr/ASRR-0002/|앨범 공식 사이트]] >'''夢の終りは新たな始まり''' > '''꿈의 끝은 새로운 시작''' >-SOUND VOLTEX 업데이트 당시 적힌 문구 >'''夢の終わりには[ruby(Re:, ruby=続き)]がある―。''' > '''꿈의 끝에는 Re:가 있다''' >-앨범 판매시 적힌 문구 [[BOF|BOFU2016]] 참가곡과 동명의 음반, 이 문서에서는 곡 위주로 서술한다. == 개요 == [[モリモリあつし]]와 [[uma(작곡가)|uma]]의 합작 곡과 동명의 음반.[* 이전부터 꾸준히 합작을 했는데, 공식적인 최초의 합작곡은 [[Noël]]이다. 앨범 또한 합작 앨범이다.] SUPERALLOYS 팀의 에이스곡으로[* 나머지 두 곡은 [[Booouncing!!]]과 [[Grayed Out -Antifront-]]이다] 17위라는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곡은 같은 조합의 [[Pieces of a Dream]]과 モリモリあつし의 [[PUPA]]를 적절히 리믹스하였다고 한다.[* 듣다 보면 피스와 퓨파의 멜로디가 들린다.] [[아멘 브레이크]]를 사용하였다. BGA의 캐릭터의 이름은 각각 moa.와 루카라고 한다.[[https://twitter.com/_4_sai_/status/1264840173189132288|#]] 두 캐릭터 모두 모리아츠와 유마의 개인 앨범 자켓 등지에 꾸준히 모습을 보이는 중. === 대회결과 === 총점: 111794 (116 임프레션) 중앙값: 996.5 / 1000.00 평점: 963.7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17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22위 개인전 평균값 순위: -위 == [[CiRCLINK]] == [youtube(hEcb0N6eAFM)] Core 99.0% FC 영상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리엔드.jpg|width=150]] || [[파일:리엔드.jpg|width=150]] || [[파일:리엔드.jpg|width=150]] || [[파일:리엔드.jpg|width=150]] || || 레벨 || 06 || 13 || 16 || 18 || || 체인 수 || - || 1264 || 1917 || 2151 || || 일러스트 담당 ||<-4> masiro vs. adaptor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レッドホットスクリューズ]] vs. [[사운드 볼텍스/이펙터#Antonio_Guccini|GUCCINI]]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Antonio_Guccini|Re:Antonio Guccini]] || || 수록 시기 ||<-4> {{{#17A4FF IV 42(2018.04.26)}}} || || [[BPM]] ||<-4> 106-212 || 2018년 4월 26일 부로 사운드 볼텍스에 수록되었다. [[モリモリあつし]]의 BMS 곡이 수록된 것은 [[PUPA]]에 이어서 두 번째이다. 재미있게도 [[Pieces of a Dream]]이 사볼 오리지널 곡인지라, 리믹스가 된 원곡 두 곡이랑 리믹스 곡이 동시에 수록된 유일한 기종이 되었다. === 채보 상세 === [youtube(Pdp23UXjt0g, width=405, height=720)] MXM '''PUC''' 손배치 포함 영상 MXM 패턴은 [[PUPA]]와 유사하게 고BPM을 기반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건반 처리력을 요구하면서 중간중간 갑작스러운 변속과 노브 손교차를 주의해야 하는 패턴이다. 그 외에도 복잡한 롱노트, FX 복합 겹계단/겹트릴, 한손으로 고속트릴을 치면서 다른 손으로 이빨빠진 FX-BT를 처리해야 하는 패턴 등 고난이도의 패턴으로 무장하고 있다. 18레벨 최상위권으로 평가받았던 PUPA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는 평을 받고 있다. [youtube(M08raEGEbBQ, width=405, height=720)] EXH PUC 영상 == [[MUSYNC]] == [youtube(Cg2nbofp0t0)] 하드 '''120.02 AC''' 영상. 모바일 최초로 하드 '''10레벨'''로 등장했으며, 그에 맞는 고난이도의 채보를 선보인다. 특히 최후반의 변형 폭타와 12비트 '''쌍계단'''이 압권. == [[Muse Dash]] == [youtube(hjUwFAm3q6s)] 마스터 '''100%''' 영상 보스 패턴에 관한 팁을 준다면 1, 4번째로 등장할 때의 패턴이 서로 같고 2, 3번째로 등장할 때의 패턴이 서로 같다.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15레벨)]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 ,곡명=Re:End of a Dream ,작곡= ,작곡표기=uma ,작곡링크=uma ,문단명= ,작곡틈=vs. ,작곡2= ,작곡표기2=モリモリあつし ,작곡링크2=モリモリあつし ,문단명2= ,버전4EX= ,폴더명=버라이어티 ,BPM=212 ,SIMPLE레벨=5 ,NORMAL레벨=10 ,HARD레벨=13 ,EXTRA레벨=15 ,SIMPLE노트수=285 ,NORMAL노트수=622 ,HARD노트수=890 ,EXTRA노트수=1\,064 ,SIMPLE애드립= ,NORMAL애드립= ,HARD애드립= ,EXTRA애드립= ,SIMPLE체인=1\,460 ,NORMAL체인=2\,604 ,HARD체인=3\,757 ,EXTRA체인=4\,609 ,주소=mUsmwibLEdI ,풀체인= ,타난이도영상or채보공략영상or리뉴얼전영상= ,보충주소X= ,OO영상or공략= ,보충퍼펙트or보충풀체인= )] 버라이어티 장르 최초의 '''15레벨'''로 등장했다. 그루코스 비 오리지널 곡중엔 두번째. BGE가 굉장히 높은 BGA 재현도를 보여준다. [[B.B.K.K.B.K.K.]] 급은 아니더라도 [[conflict]] 뺨치는 수준. ~~사실 BBKKBKK가 독보적인 원탑일 뿐이다.~~ 난이도는 그야말로 최종보스급이라는 말이 많으며 [[BUCHiGiRE Berserker]]와 함께 15레벨 최상위곡으로 종종 거론된다. * [[GROOVE COASTER AC/수록곡#버라이어티|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maimai]] == ||<-7> '''{{{#!html Re:End of a Dream }}}''' || ||<-7> [[파일:리엔드.jpg|width=50%]] || ||<-2> 아티스트 ||<-5> [[uma]] vs. [[モリモリあつし]] || ||<-2> 장르 ||<-5> GAME & VARIETY || ||<-2> BPM ||<-5> 212 || ||<-2> 버전 ||<-5> [[maimai DX SPLASH PLUS|SPLASH PLUS]] || ||<-2> 최초 수록일 ||<-5> 2021/03/18 || ||<-7> '''[[maimai DX|{{{#ffcc21 m}}}{{{#3182ff a}}}{{{#54C320 i}}}{{{#ffcc21 m}}}{{{#fd006b a}}}{{{#d0f i}}} {{{#ffe302 D}}}{{{#a0b036 X}}}]] {{{#373a3c,#ddd 난이도 체계}}}''' || ||<-7> '''{{{#fd006b D}}}{{{#orange E}}}{{{#ffcc21 LU}}}{{{#54C320 X}}}{{{#3182ff E}}}''' || ||<-2>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Re:MASTER || ||<-2> 레벨 || 6 || 8 || 12 || 14 ||<|8> - || ||<|6> 노트 수 || TAP || 162 || 351 || 469 || 707 || || HOLD || 28 || 9 || 72 || 164 || || SLIDE || 6 || 13 || 37 || 60 || || TOUCH || 25 || 29 || 0 || 114 || || BREAK || 6 || 20 || 51 || 50 || || 합계 || '''227''' || '''422''' || '''629''' || '''1095''' || ||<-2> 보면제작 || - || - || サファ太 || ぴちネコ || * [[maimai 시리즈/수록곡|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https://twitter.com/ats024/status/1370988083546497024|3월 18일 수록 결정되었다.]] 특이사항으로 인게임에서 BGA가 무려 120프레임으로 재생되며 덕분에 실제 게임에서 플레이하면 매우 부드러운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 [youtube(0qN7AI5gupw)] MASTER 패턴 영상 전반적으로 고 BPM과 물량을 이용한 체력곡. 14에서는 중상위권이나 체력 요구량은 상급에도 꿇리지 않는다. 영상 기준 0:53에 나오는 브레이크 레이저가 스코어링에 큰 걸림돌이다. [youtube(Ju4Et_Gf-JQ)] EXPERT 패턴 영상 터치 노트는 홀드만 나오는데, 터치 홀드는 TOUCH가 아니라 HOLD에 합산되기 때문에 디럭스 패턴임에도 결과창 세부사항에 TOUCH가 0으로 뜬다. == [[온게키]] == 2021년 9월 2일 [[리제로|'''리'''제로]] 콜라보와 함께 수록 되었으며, 버라이어티 최초로 '''14+'''를 배정받았다. == [[펌프 잇 업]] 시리즈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2> [[펌프 잇 업 XX]] || || 아티스트 ||<-2> [[uma(작곡가)|uma]] vs [[Morimori Atsushi]] || || BPM ||<-2> 212 || || 비주얼 ||<-2> || || 채널 ||<-2> World Music / XX || ||<-3>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XX|XX]] 기준[* 볼드체는 해금 필요.] || || 타입 |||| 레벨 || ||<|2> Normal || Single || 12 / 15 / 19 / 21 / 23 || || Double || 18 / 22 / 25 || ||<-3> 채보 제작자 || || 타입 |||| 레벨 및 제작자 || ||<|2> Normal || S12 / S15 / S19 / S21 / S23 ||<|2> [[FEFEMZ*|FEFEMZ]] || || D18 / D22 / D25 || 2022년 4월 21일 수록. 펌프 수록곡 치고는 이례적으로 2분 23초에 달하는 '''긴 곡이 전혀 커팅당하지 않고''' 수록되었다. 리믹스 정도의 길이라--실제로 [[Pieces of a Dream]]과 [[PUPA]]의 리믹스가 맞긴 하다-- [[Dignity(CRASH)|디그니티]] '''풀 송'''보다 단 11초 짧은데, EXC 언급에 따르면 커팅할만한 부분이 보이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 채보 구성 === ==== 싱글 ==== [youtube(2qIjNbj6veM)] S12, S15 S12는 전체적으로 12레벨 내에선 조금 심심하다는 평을 듣는 편이다. 최초 공개 때부터 11로 예측한 사람도 있었을 정도. S15의 경우 15레벨 중에서는 체력곡 위치에 속한다. 다만 특별한 트릭키한 채보 없이, 일자연타를 제외하면 우직하게 체력으로만 승부하는 곡이기에 본인의 체력이 충분하다면 상당히 쉬운 편에 속한다. 물론, 곡 길이가 매우 긴 건 감안해야한다. [youtube(4GjkEA9yGhY)] S19, S21 S19의 경우는 무난한 폭타 채보이다. 다만 그 무난한 폭타가 2분 27초동안 떨어지는게 문제일 뿐이다. 체력에 자신이 있다면 19레벨 입문용으로도 시도해볼만한 채보이기는 하나, 순간 동치폭타, 1자 8비트 연타 중 4비트 엇박 처리 능력 등 다소 트릭키한 부분도 처리할 수 있어야 시도해볼만하다. 단순 체력소모는 쉬는구간의 존재 덕분에 동레벨 [[conflict]]보다는 덜하다. S21은 '''상당히 어렵다.''' 시작 후 약 1분 50초까지는 17~18 수준의 매우 평이한 채보가 나오지만, 틀기섞인 고속폭타 이후 나오는 '''초고각틀기 겹롱노트'''[* 753953 패턴으로, 753을 뭉개면 뒤의 9가 썰리고, 올틀기로 하자니 새기 무진장 쉬운 골때리는 패턴이다.] 하나에 게이지가 순식간에 바닥을 치게 된다. 이 구간은 S21 현지인들이 올콤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니 앞부분에서 최대한 게이지를 많이 아껴놓는 게 답. [youtube(fcLdAviWuCk)] S23 S23의 경우는 S21과 D25를 섞어놓은 듯한 포지션으로, 초중반에 온갖 괴상한 잡노트들이 산재해 있지만 브렉온에 큰 지장을 주는 정도는 아니다. 역시 후반의 롱놋폭타를 어떻게 견디느냐가 관건인 채보. 사실 브렉온 포인트인 최후반이 S21과 거의 유사하기에 23 치고는 쉬운 편이다. ==== 더블 ==== [youtube(LH8FDFJY0cU)] D18 [youtube(ZthZjIzqieM)] D22 S21을 펼친 채보. 롱놋 폭타가 더블로 나오기 때문에 썰리기 훨씬 쉽다. 다른 구간은 무난하지만 최후반에 난이도가 몰려있는 구성. [youtube(z0Xf74QXEZE)] D25 폭타-겹발-포션/휴식의 루틴을 5~20초씩 반복하다가 최후살에서 클리어 포인트가 등장하는 구성이나, 2분 23초나 되는 곡 길이에, D25에선 보기 드문 212의 빠른bpm으로 무장하여, 25렙 현지인들의 각력과 체력을 갈아먹는 까다로운 채보이다. 초반부는 별 볼일 없어서 체력 안배용으로 뭉개도 되지만, 연타 전후로 나오는 폭타에서 게이지를 최대한으로 들고가야 하는데, 빠른 속도탓에 게이지나 체력을 유지하기도 힘든데, 잘못 밟아서 애매한 게이지로 최후반을 진입할경우, 겹발이동과 급체동 이후 이어지는 대계단, 마무리 하프 겹발 콤보로 단 5초만에 2분동안 쌓아온 게이지를 털려 먹히는 사고가 빈번하다. 진공이나 클리너등의 25정렙 이상의 상급정도로 취급되는 채보이지만, 개인차에 따라서 쉬는구간을 적절히 준다는 이유로 25렙 정렙 정도로 느껴질수도 있다. == [[CHUNITHM]] == 7월 7일 내수판 업데이트. 이후 SUN PLUS에서 14.9로 올라갔지만 같이 올라간 Armageddon이 14.8은 절대 아니라는 평을 받아 14.9에서도 상위권 취급 받는 것과는 달리 이곡은 14.9에서는 최약체로 전락하였다. == [[Lanota]] == [include(틀:Lanota/Subscription Chapter ∞)] ||<-5> '''{{{+1 Re : End of a Dream }}}'''[br]{{{-1 uma vs Morimori Atsushi }}} || ||<-5> [[파일:|width=330]][br] || || BPM ||<-4> 212 || || 연주 시간 ||<-4> 2:21 || ||<|2> 레벨 || Whisper || Acoustic || Ultra || Master || || 6 || 11 || 13+ || 15+ || || 노트 수 || - || - || - || 1490 || || 특이사항 ||<-4> 플래티넘 플랜 전용 악곡 || [youtube(jcScKnAIcYM)] 화면 캡쳐 영상. == [[신 태고의 달인]] == 오니는 7레벨의 평이하거나 그보단 조금 빡센 난이도로 수록되었으며 캇 메달로 10레벨의 우라 채보를 해금할 수 있다. == [[D4DJ Groovy Mix]] == [include(틀:구루미쿠 2차 악곡해금 투어)] [include(틀:D4DJ Groovy Mix의 15 수록곡)] * [[D4DJ Groovy Mix/수록곡]] ||||<:><#48d1cc,#004c4c>{{{+1 {{{#4b0082,#violet R}}}e:End of a Dream}}}[br]{{{#!wiki style="margin: -10px -10px auto;margin-top:-9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21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float:right" {{{#373a3c,#afeeee 2:21}}}}}} ||}}}{{{#!wiki style="margin: 0px -12px -16px" |{{{#!wiki style="margin: 0px 2px;" [[파일:Re_End_of_a_Dream_Groovy_Mix_Cover_Art.jpg|width=100%]]}}}|<-4>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8)] 390 [br] (SCR)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1)] 577 [br] (DNG/SCR)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3+)] 930 [br] (NTS/EFT)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5)] '''1405''' [br] (ALL) ||}}}|| ## 노트수가 1000이상일 경우 '''볼드체''' 처리합니다. ## 채보 경향은 NTS / DNG / SCR / EFT / TEC 중 레이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는 수치를 적습니다. 높은 수치가 세 개 이상일 경우 ALL을 적습니다. || 수록 || 2023년 8월 4일 || || 아티스트 ||<#fafafa,#1f2023> [[uma(작곡가)|uma]] vs. [[モリモリあつし]] || || 해금 방법 ||<:> 구루미쿠 투어[* LIVE PASS로 해금 불가.] || || 카테고리 ||<#32cd32,green><:> 원곡 || || 기타 || MV 있음[* adapter의 BGA를 그대로 가져왔다.] [br] 정규채보 최초의 EASY 8레벨 채보 [br] 정규채보 노트수 3위(EXPERT)[* 2위는 1476노트의 [[SUPER EMULATOR]], 1위는 1502노트의 [[FREEDOM DiVE/리듬 게임 수록|FD]] EX] [br] 전용 해금 연출 있음 || ||||<^|1><:>{{{#!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파일:d4dj_Easy.png]] || [[파일:d4dj_Normal_2.png]] || [[파일:d4dj_Hard.png]] || [[파일:d4dj_Expert.png]] || ||<-4> すばとす ||}}}}}}}}} || 2023년 7월 15일, 공식 트윗에 악곡 해금 투어 예고 트윗이 올라왔는데,[[https://twitter.com/D4DJ_gm/status/1680049548243374081?s=20|*]] 힌트로 주어진 글자인 :와 글자 수를 통해 이 곡으로 예상되었고, 7월 23일 구루미쿠 공식 트윗을 통해 정식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D4DJ_gm/status/1683039248302178304|*]] === 채보 === [youtube(vUfTK1fR73U)] HARD PFC(-25) 영상 [youtube(vnYw_2is4EA)] EXPERT '''JPFC(이론치)''' 영상 '''[[恋色マスタースパーク (DJ Genki Remix)]], [[Falsum Atlantis.]]와 함께하는 [[D4DJ Groovy Mix]]의 현 정규 채보 최종 보스곡.''' 기존 15레벨에서 어렵다 평가되던 고속 폭타, 플릭 복합, 12비트 연타, 24비트 트릴 등의 패턴이 212BPM으로 들어가있는 채보로 기본적으로 체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따라가기 힘든 패턴들에 도중 도중 나오는 기교를 요하는 킬링 패턴들이 난이도를 매우 높였다. 중살의 8비트 플릭+스크래치 -> 트릴 패턴과 플릭+단롱 트릴 패턴은 콤보를 끊어먹기 쉬우며, 플릭 또한 손이 가지 않는 역방향 배치[* 대체로 고속 플릭은 오른손은 왼쪽으로, 왼손은 오른쪽으로의, 화면 안쪽으로 밀어주는 것이 편한데, 그 역방향으로 배치된 플릭이 매우 많다.]가 많아 흘리기 쉽다. 특히 최후살에는 24비트 트릴 패턴이 끝나자마자 12비트 3연타 패턴이 총 4번 나오는데, 각 연타의 시작은 동시타이기 때문에 매우 높은 피지컬을 요구한다. 결론적으론 마스파크, 팔섬 양강체제와 동급, 혹은 그 둘보다 어려운 새로운 최종보스곡이라는 평가다. 첫날엔 테크니컬 스코어 SS 달성자가 대단하다는 소리를 들었으며, SNS 등지에선 이 곡 관련 리절트 인증글이 초토화가 나있었다. 최초 이론치 달성자가 수록 이튿날에 겨우 등장했을 정도.[[https://twitter.com/jimmy97615/status/1687869090323746816?t=zVY81VcNgVyCKKqlynDZqQ&s=19|*]] 시간이 지난 현재엔 주로 풀콤까지는 고속 노트 복합의 마스파크, 퍼펙에선 엇박 및 기교의 팔섬, 그 둘을 적당히 혼합한 리엔드로 평가되는 편이다. 아무래도 복합적 요소가 많다보니 이 곡을 삼대장 중 미세하지만 가장 높게 평가해주는 의견이 많은 편. 이후 수록 2개월이 지난 10월 7일 기어코 엄지 이론치 달성자가 등장했다.[[https://twitter.com/Kyoh_pH5/status/1710643576085053922?t=yRRJn9k3b61NVjOMoJjtDg&s=19|*]] 달성자는 최초 전곡 이론치 달성자인 狂#. [[분류:일본의 음반]][[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분류:Muse Dash의 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온게키 시리즈/수록곡]][[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Lanota의 수록곡]][[분류:D4DJ Groovy Mi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