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CRAVITY/음반]][[분류:CRAVITY/노래]][[분류:2023년 노래]][[분류:디지털 싱글]][[분류:드라마 음악/개별 곡]]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include(틀:CRAVITY)]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파일: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로고 블랙.png|width=80]] '''OST Part 1[br]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CRAVITY/음반 목록|[[파일:CRAVITY 심볼.svg|width=20]] [[파일:CRAVITY 워드마크.svg|width=85]] {{{#000 '''의 음반'''}}} {{{-2 {{{#000 (발매일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3 '''일본 싱글 1집'''}}}[br]{{{-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2b1;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Groovy -Japanese ver.-|{{{#fff '''Groovy[br]{{{-2 -Japanese ver.-}}}'''}}}]]}}}}}}[br]{{{-4 2023. 07. 05.}}}}}}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3 '''OST'''}}}[br]{{{-1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Part 1'''}}}[br]{{{-4 2023. 08. 06.}}}}}}}}} ||<:>{{{+1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3 '''한국 미니 6집 타이틀곡 선공개 싱글'''}}}[br]{{{-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c709; font-size: 0.865em; color: #fff; letter-spacing: -0.2px" [[Cheese(CRAVITY)|{{{#fff '''Cheese'''}}}]]}}}}}}[br]{{{-4 2023. 09. 01.}}}}}} || ---- [include(틀:경이로운 소문 드라마 시리즈)] ---- [include(틀:CRAVITY/노래)]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497ce, #d0b4d0, #afa6d0, #979cc8, #a1a6d3)" '''{{{+2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Part 1}}}[br]Digital Sing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Part 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1e4df, #d3fcfc, #fcf1eb, #fdddc1, #fec9b4)" {{{#!wiki style="margin: -5px -5px -5px -5px;" {{{-4 {{{#000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riginal Sound Track Part 1.'''}}}}}}}}}}}} || ||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3년]] [[8월 6일]] || || '''가수''' || [[CRAVITY]] || || '''기획사''' || [[지니뮤직(기업)|지니뮤직]] || || '''유통사''' ||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 || '''곡 수''' || 2곡 || || '''재생시간''' || 06:14 || || '''타이틀곡'''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font-size: .8em" [[#Ready Set Go|{{{#000 '''Ready Set Go'''}}}]]}}} || || '''음원'''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http://kko.to/a2mtvqhQmW|[[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15]]]]|[[http://genie.co.kr/KLRDQ1|[[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width=15]]]]|[[https://www.music-flo.com/detail/album/416085175/albumtrack|[[파일:FLO 아이콘.svg|width=15]]]]|[[https://music.bugs.co.kr/album/20582871|[[파일:벅스 아이콘.png|width=15]]]]|[[https://vibe.naver.com/album/8099156|[[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width=15]]]]|[[https://open.spotify.com/album/08360mjn2Mf9Y8VAVrx1Nc?si=FN4ts-8WTvCQb4JhPS52YQ|[[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15]]]]|[[https://music.apple.com/us/album/the-uncanny-counter-2-pt-1-original-television/1700413087|[[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width=15]]]]|[[https://music.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la-x2TpDUJWGlMx-BaqraWXUvPuJbcquc|[[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width=1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8월 6일]]에 발매된 [[CRAVITY]]가 참여한 드라마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의 메인 테마곡이자 1번째 OST 곡. == 앨범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파일: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로고 블랙.png|width=95]] '''{{{+2 OST Part 1}}}[br]Digital Single'''}}} || ||<^|1><#fff,#1f20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앨범 소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000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던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의 첫 번째 OST "Ready Set Go"가 'CRAVITY(크래비티)'의 목소리와 함께 공개되었다. 'CRAVITY(크래비티)' 멤버들의 시원시원한 보컬과 매력있는 목소리로 표현된 "Ready Set Go"는 더욱 더 강력해진 빌런들과 함께 카운터들의 굳은 의지를 보여주는 곡으로 악의 근원에 맞서 물러서지 않는 마음가짐과 대담성을 보여주는 곡이다. 특히 모든 규칙과 룰을 파괴하는 악의 빌런에 맞서는 시즌2의 테마 곡으로, 시즌1에서 많은 사랑받았던 메인 테마 BGM을 바탕으로 더욱 더 짜임새 있는 곡 구성과 멜로디를 추가해 카운터들의 차원이 다른 통쾌함을 표현하고 있다.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는 남다른 사명감으로 소중한 이웃을 구하고 악귀를 타파하는 카운터의 활약, 더욱 화려해진 액션과 스케일, 다이내믹한 전개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만큼, 이번 시즌2의 테마곡 역시 시청자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 == 수록곡 == {{{#!wiki-style="word-break: keep-all"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000 '''Digital Single[br]《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Part 1》'''}}}}}} || ||<-5>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3. 08. 06. (일) 18:00 발매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 '''01''' || '''[[#Ready Set Go|{{{#483e54,#f0ebf6 Ready Set Go}}}]]'''^^{{{-5 TITLE}}}^^ || {{{-2 동우석}}} || {{{-2 김우근, 동우석, 유정현}}} || {{{-2 동우석, 유정현}}} || || '''02''' || [[#Ready Set Go (inst.)|{{{#000,#fff Ready Set Go (inst.)}}}]] || || {{{-2 김우근, 동우석, 유정현}}} || {{{-2 동우석, 유정현}}} || }}} === Ready Set G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obfZwAvGZQ)]}}}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000 {{{-1 '''Track 01'''}}}}}}[br]{{{+3 {{{#000 '''Ready Set Go'''}}}}}}[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color: #000; font-size: 0.6em;" {{{#b59ad1 '''TITLE'''}}}}}}[br] [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FF8772 세림}}} {{{#CC3D3D 앨런}}} {{{#E00096 정모}}} {{{#FF5E00 우빈}}} {{{#A366FF 원진}}} {{{#050099,#5a54ff 민희}}} {{{#47C83E 형준}}} {{{#0DB4A0 태영}}} {{{#FFBB00 성민}}}^^''' {{{#FF5E00 Ready set go 이제 시작 시작됐어 나의 시간 Don't runaway 더이상 막지 못해 날}}} {{{#050099,#5a54ff 하늘 높이 손을 들어 어둠 속에 몸을 던져 Follow the Rule Breaking you're space now}}} {{{#A366FF 무기력한 몸짓 흔들리는 시선 나를 피해 숨는 넌 Criminal Criminal. Don’t fake.}}} {{{#0DB4A0 눈 감고도 널 찾아. 숨을 참아도 널 느껴 활활 높이 타 올라 burn the flame.}}} {{{#FF5E00 Ready set go 이제 시작 시작됐어 나의 시간 Don't runaway 더이상 막지 못해 날}}} {{{#050099,#5a54ff 하늘 높이 손을 들어 어둠 속에 몸을 던져 Follow the Rule Breaking you're space now}}} {{{#CC3D3D burn it up get closer turn it up come closer}}} {{{#FFBB00 현실앞에 무릎꿇지 않을 거야 나.}}} {{{#CC3D3D burn it up get closer turn it up come closer}}} {{{#FF5E00 지금 당장 내 앞에 나타나 Right now.}}} {{{#E00096 넌 순응할 필요 없어. 널 무릎꿇게 만들어.}}} {{{#47C83E 의심이 가득할수록 더 짜릿하게 놀아줄게.}}} {{{#0DB4A0 세상이 만들어 놓은 frame. 내가 다 부셔줄게. 위태로운 만큼 더 즐겨도 돼.}}} {{{#FF5E00 Ready set go 이제 시작 시작됐어 나의 시간 Don't runaway 더이상 막지 못해 날}}} {{{#050099,#5a54ff 하늘 높이 손을 들어 어둠 속에 몸을 던져 Follow the Rule Breaking you're space now}}} {{{#A366FF 어느새 마주한 경이로운 소문들 속 진실에 }}} {{{#FFBB00 긴 터널을 지나 오늘도 널 찾아.}}} {{{#FF5E00 break all the rule 지금이 나의 show time}}} (burn it up) {{{#FF8772 다시 봐도 닫힌 결말 이미 끝을 아는 엔딩}}} (burn it up) {{{#FF8772 너도 알고 애써 모른척 하고 있어}}} {{{#47C83E 마지막엔 내가 웃어 끝이 나도 즐겨}}} {{{#E00096 소문은 grow it up now 어둠은 grow it up now }}} {{{#FF5E00 마지막은 나의 시작 끝이 보여 너의 시간 Don't runaway 더이상 막지 못해 날}}} {{{#050099,#5a54ff 하늘 높이 손을 들어 어둠속에 몸은 던져 Follow the Rule breaking you're space now}}} }}} ||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000 {{{+1 Ready Set Go}}} [br]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rEfT7gzWnY)]}}} || === Ready Set Go (ins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CVaBg6x0vU)]}}}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b59ad1, #d1feff, #fdc8b3)" {{{#000 {{{-1 '''Track 02'''}}}}}}[br]{{{+3 {{{#000 '''Ready Set Go (inst.)'''}}}}}}[br] [br]}}} || == 다른 버전 == === OST 합본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6b6b86, #dcffe7, #3f4489, #9968bf, #4f5278, #3063a1, #02cf61, #000, #041dcd, #aa030b, #000, #6b6b86)" {{{#!wiki style="margin: -5px -5px -5px -5px;" {{{-1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jpg|width=100%]]}}} || {{{-2 '''음반명'''}}} || {{{-2 OST 합본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 OST'''}}} || || {{{-2 '''트랙'''}}} || {{{-2 1번}}} || || {{{-2 '''곡명'''}}} || {{{-4 {{{#!html TITLE}}}}}} {{{-2 Ready Set Go}}} || || {{{-2 '''발매일'''}}} || {{{-2 2023.09.03.}}} || * 드라마의 모든 OST를 모아놓은 합본이다. == 여담 == * [[CRAVITY]]의 첫 단체이자[* 멤버 개인까지 모두 포함하면 2023년 6월에 발매된 [[우빈]]의 《[[로맨스 바이 로맨스 OST Part 3]]》가 첫 OST다.] 드라마 <[[경이로운 소문2: 카운터 펀치]]>의 OST 테마곡이다. * [[https://twitter.com/fluffy_1016/status/1684030114831679490|드라마 예고편]]에 CRAVITY의 멤버들로 추정되는 익숙한 목소리가 흘러나와 많은 [[LUVITY]]들의 기대감을 불러모았고, 이후 멤버 [[정모(CRAVITY)|정모]]가 본인의 버블에 드라마 이름을 슬쩍 [[https://twitter.com/mogurimz/status/1684048383512813573|언급]]하는 등 스포를 하며 발매 전부터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였다. * 7월 29일에 방영된 1화의 엔딩 크레딧에 곡의 제목이 최초 공개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소문2 1화 엔딩 크레딧.jpg|width=100%]]}}} || * 이 곡에서 다른 노래의 가사나 제목 등과 같이 CRAVITY를 연상시키는 가사들이 많으며 특히 데뷔 곡인 〈[[Break all the Rules]]〉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Break all the Rules|Criminal Criminal]][* 데뷔 곡 〈[[Break all the Rules]]〉의 가사 중 "힘을 잃은 그 눈빛은 '''criminal Criminal criminal criminal'''" 이라는 가사가 있다.] / burn the [[Flame(노래)|Flame]] / get closer[* 팀의 공식 구호이다.] / 넌 [[Break all the Rules|순응]]할 필요 없어[* 데뷔 곡 〈[[Break all the Rules]]〉의 가사 중 "현실은 늘 가혹해 '''순응'''하게 만들지"라는 가사가 있다.] / [[Break all the Rules|break all the rule]] * 참고로 이 노래가 발매된 다음 한 달 뒤에 발매 예정이었던 미니 6집 타이틀곡 〈[[Ready or Not(CRAVITY)|Ready or Not]]〉의 가사에서도 "Ready Set Go"라는 가사가 나온다. * OST인데도 불구하고 정식 음반 타이틀곡 못지않게 멤버들의 각자 음색에 맞춰 어울리게 파트를 잘 짰다는 의견이 많다. * 후렴구 중 [[우빈]]의 파트[* Ready set go 이제 시작 시작됐어 나의 시간 Don't runaway 더이상 막지 못해 날]는 드라마의 주인공 [[소문(경이로운 소문 드라마 시리즈)|소문]]을, [[민희]]의 파트[* 하늘 높이 손을 들어 어둠 속에 몸을 던져 Follow the Rule Breaking you're space now]는 메인 빌런 [[황필광]]을 가리키고 있다. "더 이상 막지 못해 날, 지금 당장 내 앞에 나타나, 다시 봐도 닫힌 결말 이미 끝을 아는 엔딩"이라는 가사는 작중 소문이 황필광보다 확실히 강하다고 하는 점을 묘사하며, "지금 당장 내앞에 나타나"라는 가사도 이에 해당한다.[* 작중 소문은 주석의 아내가 황필광에게 살해당한것을 알고 황필광을 누구보다 잡고싶어했다.] 또한 "어둠 속에 몸을 던져"와 같이 황필광의 작중 행적을 묘사하기도 한다 [* 작중 황필광은 마주석의 어두운 내면으로 직접 들어가 악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