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9YXXZjpYCA)]}}} || ||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 (2022)}}} || || {{{-1 '''장르'''}}} ||{{{-1 Progressive Jazz Fusion}}} || || {{{-1 '''BPM'''}}} ||{{{-1 120 ~ 155[*상세 153→150→120→153→150→145→153→155→153→155→150→145]}}} || || {{{-1 '''작곡'''}}} ||{{{-1 [[Cosmograph]]}}} || || {{{-1 '''BGA'''}}} ||{{{-1 VIVINOS}}} || == 개요 == [[Cosmograph]]가 작곡한 [[DJMAX 시리즈]] 수록곡. [[Arcaea]]에 제공한 [[Blue Rose(Arcaea)|Blue Rose]]의 후속곡으로, V EXTENSION 2 DLC 신곡으로 수록되었다. 다양한 장르를 추구하고 있는 DJMAX 시리즈에서 유독 보기 힘들었던 빅 밴드 스타일의 재즈 악곡이다. Cosmograph가 DJMAX 시리즈에 신곡으로 참여한다고 했을 때, [[Dement -After Legend-]]나 [[ULTIMATUM]]과 같은 전형적인 보스곡 스타일의 곡으로 참여할 것이라 예상하는 팬들이 많았는데, 재즈라는 의외의 장르의 곡으로 참여해서 놀랍다는 평이 많은 편. 화려한 곡 만큼이나 채보 자체도 난해해서 V Extension 2에서는 [[Over Me]]와 함께 준보스급에 위치하는 곡. 작곡가인 Cosmograph가 밝히길 곡의 초안에는 대부분의 박자가 [[즈레]]였다고 한다. 키음화와 즈레 특유의 불쾌한 플레이 경험으로 인해 키음들의 컨타이즈를 일치시키도록 바꾸었다는 후기를 남겼다.[[https://twitter.com/cosmograph0/status/1486144944515747841|*]] == BGA == 여러모로 BGA가 화제가 된 곡인데, [[안아줘]]로 DJMAX 시리즈에 처음 참가했던 VIVINOS가 같은 DLC 소속 악곡인 [[Voyage(DJMAX)#s-2|Voyage]]와 함께 BGA를 담당했다. Voyage 쪽이 [[안아줘]]처럼 힐링 계열 BGA라면 이 쪽은 '''호러 BGA'''다. 안아줘로 VIVINOS의 그림을 처음 접한 DJMAX 유저들[* [[FALLING IN LOVE(DJMAX)|FALLING IN LOVE]] 영상의 공개 전 썸네일만 보고 비주얼 담당이 VIVINOS인 줄 아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쪽은 [[https://twitter.com/001_31_|31]]이라는 [[포켓몬]] 전문 비주얼리스트가 담당했다.]은 의외처럼 느껴질 수 있으나 VIVINOS의 유튜브 작품[* 심약자 혹은 비위가 약한 사람이라면 VIVINOS 유투브의 제목에 달린 깨진하트/⚠️마크 영상 시청에 주의할 것. Red Eyes에서 보여준 모습보다 더 잔혹하고 기괴한 모습을 보여준다.]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 이쪽이 해당 작가의 주력 장르이다.''' BGA의 내용은 한 소녀가 악마가 건네준 사과를 먹고 악마에게 종속되어 엄청난 부와 명성을 누렸지만 악마에게 속아 환상만을 보고 살아가면서 피폐해지나,[* BGA 중간에 소녀가 시체들 위로 춤 추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시체들을 잘보면 대부분 뼈가 앙상한 시체들이다. 이를 미루어보아 부와 명예를 쌓는 과정에서 무고한 사람들을 기아와 굶주림 등으로 희생시켰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용사가 악마를 물리치고 소녀를 구해 서로 사랑에 빠져 즐겁게 춤을 추게 된다.[* 용사의 성별은 불명이나 속눈썹 묘사나 VIVINOS 작품의 특성을 보았을 때 여성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소녀의 망상 혹은 악마의 계략이었고[* 용사의 존재가 환상이었는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소녀는 이전의 부정한 일들로 마녀로 몰려 화형되어 불 속에서 마지막 춤을 추며 재가 된다는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화형당하는 장면이 적나라하게 묘사되니 BGA 감상시 주의할 것. 공포 요소가 리듬게임 BGA 치고 꽤 강렬하다 보니 적응하기 어려운 것도 맞지만, 이 BGA의 진가는 계속 보다보면 '''해석할 요소가 어마무시하게 많다'''는 점에 있다. 제목의 뜻인 '붉은 눈'부터 악마의 눈동자 또는 사과로 해석이 되며 악마가 소녀에게 사과를 주며 꾀어내는 장면은 성경 안 읽어본 사람도 다 아는 '에덴 동산의 선악과' 일화와 유사하다. 그리고 사과가 계속 키워드로서 등장하는데, '섭취한 사과의 수'와 '부, 명성, 그에 따른 타인의 희생, 정신 건강 악화'가 비례하고 다 먹은 사과들 중 하나에 벌레가 꼬여있는 장면은 '달콤하지만 오히려 그 속이 추악함'을 암시하고, 용사가 그녀를 구해주었음에도 마지막에 사람들에게 마녀재판을 받게 되는 것은 '부정하게 얻은 재능이나 명성 등은 그 굴레에서 벗어나도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업보로 돌아오게 된다'는, 스토리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를 던진다. 화형식 후 마지막 컷은 다 먹은 사과 하나만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사과 자체가 '부정한 무언가'를 의미함과 동시에 '''소녀 그 자체'''도 상징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서술한 내용 외에도 해석할 요소가 얼마든지 더 있을 수 있으며, 이 점이 비비노스 표 호러 영상들의 인기 비결이기도 하다.[* 특히 이 BGA가 만들어지기 전에 만들어진 주의 마크 영상들 중 가장 최신작인 [[https://www.youtube.com/watch?v=PCFboZsSo3I|tili tili bom]]이 해석할 요소가 굉장히 많은 영상의 대표격이다. 비비노스 작품들 중에서 순한 편이기도 하고.]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d Eyes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E18254 0%, #E18254 16%, #F1B260 16%, #F1B260 21%, #E18254 21%, #E18254 23%, #F5DC8E 23%, #F5DC8E 25.8%, #FFFFFF 25.8%, #FFFFFF 26.8%, #F1B260 26.8%, #F1B260 30.1%, #F5DC8E 30.1%, #F5DC8E 32.4%, #F1B260 32.4%, #F1B260 33.8%, #F5DC8E 33.8%, #F5DC8E 35.5%, #FFFFFF 35.5%, #FFFFFF 36.6%, #F1B260 36.6%, #F1B260 37.7%, #FFFFFF 37.7%, #FFFFFF 39.4%, #F5DC8E 39.4%, #F5DC8E 40%, #FFFFFF 40%, #ffffff 62%, #FAC0BD 62%, #FAC0BD 62.6%, #FFFFFF 62.6%, #FFFFFF 63.5%, #F06875 63.5%, #F06875 64.6%, #FAC0BD 64.6%, #FAC0BD 66%, #F2A6A2 66%, #F2A6A2 67.7%, #F06875 67.7%, #F06875 69.7%, #F2A6A2 69.7%, #F2A6A2 71.9%, #F06875 71.9%, #F06875 74.7%, #FFFFFF 74.7%, #FFFFFF 75.3%, #BA3955 75.3%, #BA3955 77.3%, #F06875 77.3%, #F06875 80%, #BA3955 80%, #BA3955 83.4%, #F06875 83.4%, #F06875 88%, #BA3955 88%)" '''{{{#3d3d3d V EXTENSION 2}}}'''}}} || ||<-4>'''{{{+5 Red Eyes}}}'''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12}}}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29}}}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70}}}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250}}}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72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710}}} || -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00}}}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61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8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6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478}}}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3'''}}} [br] {{{-5 1650}}} || ||<-5> 특수 패턴 || || 5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4.2.6|VV]] || || 4B SC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7.1.5|The Duel]]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1b260, #f06875)"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작곡가의 타 리듬게임 수록곡이었던 [[ULTIMATUM]]과 유사하게, BPM이 시시때때로 바뀌어 인게임 내에서도 지속적인 변속이 등장한다. 무려 '''11차례'''.[*상세] 기존 [[Negative Nature]]처럼 컨셉에 맞춰 특정 구간에서 BPM이 바뀌는 곡은 있었지만, 컨셉과 관계없이 한 곡 내에서 BPM이 2번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바뀌는 경우는 DJMAX 시리즈에서 [[Black Swan(DJMAX)|Black Swan]], [[La Campanella : Nu Rave]][* 다만 라 캄파넬라의 경우 인게임 내에서는 변속이 한 번만 진행되며, Black Swan은 실제 BPM은 변동이 없으나 변속만 진행된다.]와 이 곡이 있으며, DJMAX 시리즈 수록곡 중 가장 많이 BPM이 바뀌는 곡이다. 다만 BPM이 초반부 150→120→153으로 변하는 구간 외에는 BPM의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 난이도에 있어서는 변속의 영향이 크지는 않다. 특별히 킬링파트라 불릴 만한 구간은 없는 대신 곡 전반에 걸쳐 난해한 박자와 따닥이 등 스코어링 방해요소가 산재해 있어 스코어링 난이도 기준으로는 [[Odysseus(DJMAX)|Odysseus]]에 이은 V EXTENSION 2의 준보스곡으로 꼽힌다. 여담으로 8키를 제외하면 중레벨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비어 있고, 8키 자체가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에 초중수 유저들이 손대기에는 힘든 곡이기도 하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MThw3DOg-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xJnI8diNXE)]}}}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_6kPbBEvA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k2-EGSXo_s)]}}}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zFTe6csd54)]}}} || || 5B SC는 곡 전체적으로 규칙성이 없는 폭타를 쏟아낸다. 중반부 2롱노트 잡고 계단 등 반복되는 패턴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규칙성이 있는 패턴 중 롱잡 구간을 제외하면 난이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롱노트와 동시치기가 계속 섞여 들어와 가독성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노트 리딩, 지력 모두 어느 정도 받쳐줘야 고득점을 기대할 수 있다. 랜덤을 걸면 난이도가 어느 정도 낮아지는 배치가 몇 개 있지만 배치가 꼬이는 구간이 몇 군데 있어 완벽한 황금배치는 안 나온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onW6jr53W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529QwvTgOE)]}}}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L_EJxb7QLs)]}}} || || 6B SC는 겹계단이나 양손 나선계단 등 일부 패턴을 제외하면 5B SC와 유사한 패턴으로, 곡 전체적으로 규칙성 있는 패턴이 적은 순수 지력곡에 가까운 채보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kejRc7zjz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Hz3buwFUHk)]}}}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3eJldZ1_I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4kjz6SUexM)]}}} || 8B MX는 8버튼 특유의 트리거 해석 능력을 매우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패턴이다. 곡 내내 트리거와 단노트가 규칙성 없이 떨어지기 때문에 웬만큼 트리거에 익숙해진 유저가 아니라면 상당히 까다롭게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같은 15레벨인 [[Odysseus(DJMAX)|Odysseus]] MX보다 어려우며 V EXTENSION 2에서 가장 까다로운 MX 패턴으로, SC 난이도로 봐도 12레벨 상위권에 들어가는 고난이도 패턴이다. 물론 다른 MX 패턴들을 차근차근 정복해 온 유저라면 밀도 자체는 15레벨 치고 낮기 때문에 수월하게 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8B SC는 MX 패턴을 기반으로 하고 키 파트의 밀도를 더욱 높인 버전으로, 높은 트리거 해석 능력과 건반 지력이 모두 어느 정도 필요하다. 중간중간 나오는 고속 계단에서 판정을 흘리기 쉬우며, 마지막에 롱노트 4개를 잡은 채 쳐야 하는 3동치 패턴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13레벨 중상위권에 속해 있는 패턴이다. === 특수 패턴 === || {{{#white '''4B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zwjBMnupVY)]}}} ||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V LINK 2 Missions|V LINK 2]]의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The Duel (AI)|The Duel 미션]]에서 AI와의 대결 곡으로 등장했다. 전체적으로 MX 패턴에 살을 붙인 형태로, 즈레와 롱잡의 비중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통상 난이도 체계로 11-12레벨 정도에 해당하며, 치는 맛이 상당히 좋은 패턴으로 정규 패턴에 편입되길 기대하는 유저들이 많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