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킹 크림슨)] ||<-5> [[킹 크림슨|{{{#fff '''킹 크림슨의 스튜디오 앨범'''}}}]] || ||<#FEFCDD> [[Starless and Bible Black|{{{-2 {{{#B9B07A 1974년 3월 29일}}}}}}[br]{{{#B9B07A 6집 '''Starless and Bible Black'''}}}]] || → ||<#000> [[Red(킹 크림슨)|{{{-2 {{{#fff '''1974년 10월 6일'''}}}}}}[br]{{{#fff '''7집'''}}} {{{#red Red}}}]] || → ||<#B21A20> [[Discipline(킹 크림슨)|{{{#A69BA4 {{{-2 1981년 9월 22일}}}}}}[br]{{{#A69BA4 8집 '''Discipline'''}}}]]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red '''Red{{{#fff 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68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74년 명반, 순위=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70년대 명반, 순위=19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50대 프로그레시브 록 명반, 순위=15)] ---- [Include(틀:Rate Your Music, 항목=전체 앨범 차트, 순위=24)]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72)]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379)]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823, 연도=2005, 순위2=360, 연도2=2022)] ---- }}} || ||<-2><#000000> '''{{{#red {{{+1 Re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vinileshop.it/King-Crimson-Red-Ristampa-2013-Vinile-lp2.jpg|width=100%]]}}} || || '''발매일''' ||[[1974년]] [[10월 6일]]|| || '''녹음일''' ||[[1974년]] [[6월 30일]] - [[8월]] || || '''장르''' ||[[프로그레시브 록]] || || '''재생 시간''' ||39:54 || || '''곡 수''' ||5곡 || || '''프로듀서''' ||[[킹 크림슨]] || || '''스튜디오''' ||올림픽 사운드 스튜디오 || ||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파일:아일랜드 레코드 logo.png|width=40]]]] || [목차][clearfix] == 개요 == [[1974년]] 발매된 [[킹 크림슨]]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 데이빗 크로스의 탈퇴로 인해 3인 체제가 되어버린 킹 크림슨의 해체를 결정한 [[로버트 프립]]이 밴드를 일시적으로 해체하기 전 발매한 마지막 앨범이다. 주로 즉흥 연주로부터 유래된 곡들이 많은데, [[Fallen Angel(킹 크림슨)|Fallen Angel]]에 최종적으로 사용될 모티브는 [[1972년]] 로버트 프립이 처음 연주했으며, [[Providence]]는 6월 30일 로드 아일랜드 프로비던스에서 열린 그룹의 쇼에서 발췌한 즉흥 연주였다. 또한 이전까지의 앨범들보다 한 층 무거워진 사운드가 특징. [[1986년]] CD로 처음 재발매되었고 30주년 기념 에디션 시리즈의 일부로도 발매되었다. [[2009년]]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등과 함께 CD/DVD-A 패키지로, 새로운 스테레오 및 5.1 서라운드 믹스와 함께 40주년 기념판 시리즈로 재발매되었다. == 평가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 ||AllMusic|||| ★★★★☆ || ||Pitchfork|||| ★★★★☆ || ||Christgau's Record Guide[* 미국의 저명한 음악평론가]|||| A- || ||[[어클레임드 뮤직]] 순위|||| 1974년 '''4위''', 1970년대 '''190위''', 역대 '''681위''' || 킹 크림슨의 앨범 중에선 보통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다음으로 높은 평을 받는 앨범으로, 유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또한 이 음반이 "웅장하고, 파워풀하고, 놀랄 만큼 서정적"이라며 극찬하였다. 아쉽게도 상업적 성적은 그때까지 발매된 킹 크림슨의 앨범 중 제일 낮았다. 영국 차트에서 1주 동안 45위에[* 이전까지 발매된 앨범은 모두 최소 30위 정도까지는 올랐었다.], 미국에서는 [[빌보드 200]]에서 66위에 오른게 전부.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Red)] === Side A === ==== [[Red]] ==== ||<#000>[anchor(Shadow)]'''{{{#red '''Red'''}}}'''[br]{{{#fff ^^06m 16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XTCDB70Qgo,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버트 프립]]'''}}}}}} ==== [[Fallen Angel(킹 크림슨)|Fallen Angel]] ==== ||<#000>[anchor(Shadow)]'''{{{#red '''Fallen Angel'''}}}'''[br]{{{#fff ^^06m 04s^^ }}} ---- ''Fallen angel dying'' ''타락한 천사는 죽어가'' ''Risk a life to make a dime'' ''한 푼이라도 벌기 위해 목숨을 걸었으니''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LlmbCkb3As,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존 웨튼, 리처드 팔머-제임스'''}}}}}}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버트 프립]], 존 웨튼, 빌 브루포드, 데이비드 크로스, 제이미 뮤어'''}}}}}} ==== [[One More Red Nightmare]] ==== ||<#000>[anchor(Shadow)]'''{{{#red '''One More Red Nightmare'''}}}'''[br]{{{#fff ^^07m 11s^^ }}} ---- ''When altitude dropping'' ''고도가 낮아질때'' ''My ears started popping'' ''나의 귀가 터지기 시작하는'' ''One more red nightmare'' ''또 하나의 붉은 악몽''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LoQADJnGr4,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존 웨튼'''}}}}}}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버트 프립]], 존 웨튼'''}}}}}} === Side B === ==== [[Providence]] ==== ||<#000>[anchor(Shadow)]'''{{{#red '''Providence'''}}}'''[br]{{{#fff ^^08m 11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iRg4byBA3Y, width=100%, height=200)]}}} }}}}}}}}}||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버트 프립]], 존 웨튼, 빌 브루포드, 데이비드 크로스'''}}}}}} ==== [[Starless]] ==== ||<#000>[anchor(Shadow)]'''{{{#red '''Starless'''}}}'''[br]{{{#fff ^^12m 25s^^ }}} ---- ''Starless and bible black'' ''별하나 없는 성서의 어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A27IWspddM, width=100%, height=200)]}}} }}}}}}}}}|| >{{{#aaaaaa Written by {{{#000000 '''존 웨튼, 리처드 팔머-제임스'''}}}}}} >{{{#aaaaaa Composed by {{{#000000 '''[[로버트 프립]], 존 웨튼, 빌 브루포드, 데이비드 크로스'''}}}}}} == 참여진 == * [[로버트 프립]]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멜로트론, 일렉트릭 피아노, 프로듀싱 * 존 웨튼 – 베이스, 보컬, 프로듀싱 * [[빌 브루포드]] – 드럼, 타악기, 프로듀싱 *리처드 팔머-제임스 – 작사 [[분류: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