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Warren G]]의 싱글}}}''' || || "[[Indo Smoke]]"[br](1993) ||<|2> → || '''Regulate'''[br](1994) ||<|2> → || "[[This D.J.]]"[br](1994) || ||
<-5><#000000> '''{{{#FFFFFF [[Nate Dogg]]의 싱글}}}''' || || "[[Indo Smoke]]"[br](1993) ||<|2> → || '''Regulate'''[br](1994) ||<|2> → || "One More Day"[br](1994)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62)] |||||||| '''{{{+1 {{{#f4eb44 Regulat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arren_G_Regulate.jpg|width=100%]]}}} || || '''아티스트''' ||[[워런 G|워렌 G]] || || '''발매''' ||[[1994년]] [[4월 28일]] || || '''수록 음반''' ||Regulate... G Funk Era, Above the Rim - The Soundtrack || || '''B-Side''' ||"Pain", "Mi Monie Rite", "Loyal to the Game" || || '''녹음 기간''' ||1993년 ~ 1994년 || || '''스튜디오''' ||트랙 레코드, Inc. ([[캘리포니아 주]] [[로스 앤젤레스|노스 할리우드]])[* 녹음, 믹스] || || '''장르''' ||[[G-funk]], [[갱스터 랩]], [[컨템퍼러리 R&B]] || || '''길이''' ||4분 11초 || || '''송라이터''' ||[[워런 G|워렌 G]], [[Nate Dogg|네이트 독]] || || '''프로듀서''' ||[[워런 G|워렌 G]] || || '''레이블''' ||데스 로우 레코드, [[인터스코프 레코드]], [[데프 잼 레코딩스]], 바이올레이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1plPyJdXKIY)]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2억이 넘는다. [youtube(btHL35ZxZrw)] 1995년 당시 라이브.[* 당대 최고의 히트곡임을 알 수 있듯 반응이 매우 뜨겁다.] [[워런 G|워렌 G]]와 [[Nate Dogg|네이트 독]]의 1994년 발매된 싱글. 워렌 G의 1집인 Regulate... G Funk Era에 수록되었다. == 상세 == '''[[G-funk]]를 대표하는 명곡 중 하나'''이다. 2년 전에 나온 [[Nuthin' but a ‘G’ Thang]]과 끝없이 비교되는 곡인데, 성적 자체는 비슷하지만[* 빌보드 차트 최고순위 2위를 기록했으나, G Thang이 1993년 3월에 히트친 것과 달리 Regulate는 1994년 하반기에 히트쳤으므로 연말차트 순위는 더 낮다.] 일반적으로는 그쪽의 평가가 더 높다.[* G Thang을 부른 [[스눕 독]]의 사촌인 네이트 독과 드레의 이복동생인 워렌 G가 함께했다는 점에서는 평행이론이 성립할 수도 있겠다.] 가사는 워렌 G의 물건을 훔치고, 강도짓을 하는 등 범죄를 저지르는 동네 갱스터들을 네이트 독이 처단하는 내용으로, Regulate라는 제목의 뜻도 범죄를 규제한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범죄를 저지르는 자들을 처단하고 여자들과 파티를 다닌다는 스토리라인이 있는 곡으로, Stan과 함께 '''역사상 가장 성공한 스토리텔링 힙합 트랙'''으로 꼽힌다.[* 다만 스토리텔링 랩으로써의 성격이 매우 강한 [[Stan]]과 달리 이 노래는 비교적 스토리라인이 확연하지 않기 때문에 애매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곡의 구조도 매우 독특한데,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하나의 벌스를 맡고 훅이 존재하는 다른 힙합 트랙들과 달리 이 노래는 워렌 G와 네이트 독이 이야기를 주고받듯 몇 구절을 번갈아가며 내뱉는 형태이고, 훅도 없다.[* 네이트 독이 훅을 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가사의 내용이 계속 바뀌므로 네이트 독도 계속 랩을 하는 것에 가깝다.] 스토리의 내용도 갱스터들에게 털리는 워렌 G와 그런 워렌 G를 구하러 가는 네이트 독 각자의 입장에서 진행되므로 참신하다는 평이 많다. 또한 이러한 스토리를 이야기하듯이 풀어내고, 워렌 G 본인이 스스로 프로듀싱한, 훵크 음악과 팝 음악의 요소를 차용한 비트도 좋은 평을 받아 90년대를 대표하는 히트곡 중 하나로 꼽힌다. 오죽하면 이 노래가 너무 히트쳐서 워렌 G를 원 히트 원더로 생각하는 경우조차 있을 정도.[* 워렌 G의 또다른 히트곡들로는 This D.J, I Want It All이 있으며 스눕 독의 [[Doggystyle]]에서 Gin And Juice, Who Am I 다음으로 유명한 Ain't No Fun의 마지막 벌스에 짧게 피처링하는 등 당시 드레 사단의 일원이었다. 단 워렌 G의 경우 프로듀싱 능력도 뛰어난 축에 들었다.] == 가사 == <인트로> Regulators. We regulate any stealin' of his property. We’re damn good too. But you can’t be any geek off the street. You gotta be handy with the steel, if you know what I mean. Earn your keep. Regulators, mount up! <워렌 G> It was a clear black night, a clear white moon Warren G was on the streets tryin' to consume Some skirts for the eve so I can get some phones Rollin' in my ride, chillin' all alone <네이트 독> Just hit the east side of the LBC On a mission tryin' to find Mr. Warren G Seen a car full of girls, ain't no need to tweak All you skirts know what's up with 213 <워렌 G> So I hooks a left on 21 and Lewis Some brothers shootin' dice, so I said "Let's do this!" I jumped out the ride and said "What's up?" Some brothers pulled some gats, so I said "I'm stuck!" <네이트 독> Since these girls peepin' me I'ma glide and swerve These hookers lookin' so hard they straight hit the curb Onto bigger, better things than some horny tricks I see my homie and some suckas all in his mix <워렌 G> I'm gettin' jacked, I'm breakin' myself I can't believe they takin' Warren's wealth They took my rings, they took my Rolex I looked at the brother, said "Damn, what's next?" <네이트 독> They got my homie hemmed up and they all around Can't none of them see him if they goin' straight pound-for-pound They wanna come up real quick before they start to clown I best pull out my strap and lay them bustas down <워렌 G> They got guns to my head, I think I'm goin' down I can't believe it's happenin' in my own town If I had wings I would fly, let me contemplate I glanced in the cut and I see my homie Nate <네이트 독> Sixteen in the clip and one in the hole Nate Dogg is about to make some bodies turn cold Now they droppin' and yellin', it's a tad bit late Nate Dogg and Warren G had to regulate <간주> <네이트 독> I laid all them bustas down, I let my gat explode Now I'm switchin' my mind back into freak mode If you want skirts, sit back and observe I just left a gang of hoes over there on the curb <워렌 G> Now, Nate got the freaks and that's a known fact Before I got jacked I was on the same track Back up, back up, ‘cause it's on N-A-T-E and me, the Warren to the G <네이트 독> Just like I thought, they were in the same spot In need of some desperate help But Nate Dogg and the G child Were in need of somethin' else One of them dames was sexy as hell I said "Ooh, I like your size!" She said "My car's broke down and you seem real nice Would you let me ride?" I got a car full of girls and it's goin' real swell The next stop is the Eastside Motel <간주> <워렌 G> I'm tweaking into a whole new era G-funk, step to this, I dare ya Funk on a whole new level <네이트 독> The rhythm is the bass and the bass is the treble <워렌 G> Chords, strings, we brings melody G-funk, where rhythm is life and life is rhythm <네이트 독> If you know like I know You don't wanna step to this It's the G-funk era, funked out with a gangsta twist If you smoke like I smoke Then you're high like everyday And if yo' ass is a busta, 213 will regulate == 차트 성적 == '''1990년대 힙합 트랙 중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둔 몇 안 되는 곡들 중 하나로, [[빌보드 핫 100]] 최고순위 '''2위'''를 차지하고 [[199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22위'''를 차지하는 등 큰 히트를 거두었다. 다만, 일반적인 힙합 트랙들과 달리 팝의 성향이 매우 강한 편으로, 당시 클럽에서 굉장히 많이 틀어주는 곡 중 하나였다. 이러한 점 때문인지 힙합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 중에서도 90년대를 살았다면 알 확률이 높은 곡이다. 심지어 2위 당시 1위곡이 역대급 메가히트곡인 [[I Swear]]였으므로 실제로 2위를 하던 당시에는 1위를 할 정도의 인기였다는 것이 중론이다. [[분류:네이트 독]][[분류:빌보드 핫 100 2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7위 노래]][[분류:1994년 노래]][[분류:1994년 싱글]][[분류:사운드트랙 싱글]][[분류:서부 힙합]][[분류:G-funk]][[분류:컨템퍼러리 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