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eigns 시리즈)] ||<-2>
{{{#ffffff '''{{{+1 Reigns: Game of Thron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eigns_game_of_thrones.jpg|width=100%]]}}} || || '''개발''' ||[[https://twitter.com/nerial|Nerial]] || || '''유통''' ||[[Devolver Digital]]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macOS]] | [[Linux]] | [[Android]] | [[iOS]] | [[Nintendo Switch]] || || '''ESD''' ||[[Steam]] | [[Microsoft Store]] | [[Google Play]] | [[App Store]]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 || || '''장르''' ||[[어드벤처 게임|어드벤처]], [[인디 게임|인디]], [[롤플레잉 게임|롤플레잉]], [[시뮬레이션 게임|시뮬레이션]] || || '''출시''' ||'''PC'''[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18년 10월 18일 {{{-2 (Steam)}}}[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0년 2월 20일 {{{-2 (Microsoft Store)}}}[br]'''Mobile'''[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18년 10월 18일[br]'''NS'''[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19년 4월 11일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PC판(Microsoft Store) 한정] || || '''해외 등급''' ||[[범유럽 게임 정보|[[파일:PEGI 7.svg|width=16]] '''{{{#000000,#dddddd PEGI 7}}}''']][br][[오스트레일리아 등급 위원회|[[파일:ACB Mature.svg|width=16]] '''{{{#000000,#dddddd ACB M}}}''']][br][[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파일:ESRB Teen.svg|width=16]] '''{{{#000000,#dddddd ESRB T}}}''']] || || '''관련 사이트''' ||[[https://www.reignsgame.com/game-of-throne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ReignsGame|[[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https://www.facebook.com/reignsgam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897820|[[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xbox.com/ko-KR/games/store/reigns-game-of-thrones/9nb2wlsj2qk3|[[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width=25&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width=25&theme=dark]]]]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evolver.reignsGot|[[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 | [[https://apps.apple.com/kr/app/reigns-왕좌의-게임/id1342309192|[[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nintendo.com/store/products/reigns-game-of-thrones-switch|[[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Reigns: 왕좌의 게임"은 빛나는 수상 경력의 HBO® TV 드라마 Game of Thrones®을 계승한 게임이자 Nerial에서 개발하고 Devolver Digital에서 배급한 유명 스와이프 게임 시리즈인 Reigns의 후속작입니다. 멜리산드레의 불 같은 시야를 통해, 세르세이 라니스터, 존 스노우, 대너리스 타르가르옌으로서 철왕좌를 주장하십시오. 칠왕국의 적대적인 세력과 복잡한 관계를 조심스럽게 알아나가세요. 정치적 경쟁자들을 앞지르기 위하여 무자비한 전술을 사용하고 당신의 변덕스러운 기수에게 불굴의 매력을 휘두르세요. 당신의 통치를 이어갈 수 있도록 백성들에게 균형과 호의를 유지하십시오. 그리고, 언젠가 다가올, 겨울의 공포에서 살아남으십시오. >---- >― 스팀 게임 소개 소설 원작이자 [[HBO]]의 인기 드라마인 '[[왕좌의 게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Reigns의 두 번째 후속작. 총 8명의 캐릭터가 왕으로 나오며, 플레이어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왕국을 이끄는 게임이다. == 특징 == 게임을 시작하면 화면 상단에 4가지의 수치가 있고, 중앙에 카드가 있다. 카드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상단의 4가지 수치 중 어떤 것이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수치가 0이나 100이 되면 게임 오버되며, 플레이어는 카드를 적절히 넘겨가며 수치를 조절해야 한다. 전편들과 달리 이번 작품은 캐릭터가 존재하고, 그 캐릭터마다의 카드도 존재하므로 제각각 다른 플레이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대너리스는 드로곤을 만나 '드라카리스'를 얻고, 산사는 북부의 기수로 인해 권력이 낮아져도 죽지 않는다.] 원작이나 드라마에 대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세계관을 공유하므로 미리 드라마 정도를 보고 게임을 한다면 더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 시스템 요구 사양 == ||<-2>
'''{{{#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2> '''{{{#ffffff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7 / 8 / 8.1 / 10 || || '''프로세서''' ||Intel Pentium D 830 (2 * 3000) || || '''메모리''' ||1GB || || '''그래픽 카드''' ||Geforce GT 610 (1024 MB) || || '''저장 공간''' ||500MB || ||<-2> '''{{{#ffffff Mac OS X}}}''' || || '''운영체제''' ||10.9.5 (Mavericks) || || '''프로세서''' ||Intel Core i5-2520M (4 * 2500) || || '''메모리''' ||1GB || || '''그래픽 카드''' ||Radeon HD 6630M || || '''저장 공간''' ||500MB || ||<-2> '''{{{#ffffff SteamOS + Linux}}}''' || || '''운영체제''' ||Ubuntu 12.04 or later || == [[Reigns: Game of Thrones/캐릭터|캐릭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eigns: Game of Thrones/캐릭터)] == 공략 == === 패시브 카드 === 전작과는 다르게 패시브 카드들의 효과가 죽음에 관한 효과 뿐이다. 수치를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없어 정확한 효과를 기재할 수 없다. ||
'''이름''' || '''설명''' || '''입수 방법''' || '''효과''' || || '''두 눈을 보며''' ||믿을 수 있는 사람은 당신의 눈을 바로 볼 것입니다. 그러지 못한 자들을 주의하세요. ||멜리산드레를 만나 긍정적인 대답을 한다. || || || '''[[드라카리스]]''' ||드로곤이 깨어났습니다! 대 가문들은 드로곤을 두려워합니다. 사람들의 사랑은 더 이상 왕좌에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 ||대너리스로 드로곤을 깨운다. ||민심이 100이 돼도 살아남는다. || || '''까마귀 왕''' ||아무리 많은 권력을 비축하더라도, 그 누구도 당신의 권위와 명예를 의심하지 않을 것입니다. ||존 스노우로 권력 100을 찍고 목욕 카드에서 얼굴을 찌푸린다 선택. ||권력이 100이 돼도 살아남는다. || || '''[[얼굴 없는 자들|얼굴 없는 자]]''' ||이단자와 신앙으로 인한 재앙에 고통받은 사람들은 당신을 불가침의 존재로 여깁니다. 그 어떤 암살자도 당신에게 감히 다가오지 못합니다. ||아리아 캐릭터로 신앙 100을 찍고 암살자 카드에서 발라 도하에리스 선택. ||신앙이 100이 돼도 살아남는다. || === 위업 === * 드래곤의 어머니: 드로곤을 깨운다. * 관대한 자: 북쪽에서의 요청을 듣는다. * 어리석은 자: 예상치 못한 와일드파이어 사용을 목격한다. * 숨겨진 자: 여관에 들어간다. * 현혹된 자: 여관 싸움에서 이긴다 * 재치있는 자: 세르세이의 부하를 죽인 살인범을 체포한다. * 새로운 여왕: 세르세이를 왕좌에 앉힌다. * 요리사: 도트라키 파이를 만든다. * 해적: 해적을 만난다. * 강탈자: 숨겨진 타르가르옌을 발견한다. * 용감한 자: 도른과의 전투에서 승리한다. * 이단자: 멜리산드레의 불을 들여다 본다. * 군왕: 기사의 맹세를 듣는다. * 탐정: 브라운 워커의 배후에 누가 있는지 찾아낸다. * 남방인: 윈터펠과의 전투에서 승리한다. * 웅변가: 연설을 한다. * 신자: 무장교단을 복구한다. * 구애자: 깜작 놀랄만한 남편을 찾는다. * 대장장이: 발리리아 강철을 주조한다. * 전설적인 자: 겨울을 넘긴다. * 왕성한 자: 20달을 살아남는다. * 끈질긴 자: 40달을 살아남는다. * 판사: 세르세이의 재판에 참석한다. * 부나방: 던전에 숨어있는 것을 알아낸다. * 관대한 자: 춘희를 만난다. * 수호자: 제이미의 충성심을 유지한다. * 후원자: 셀소드를 만난다. * 날카로운 자: 겐드리의 정체를 밝힌다. * 온건파: 평화를 거둔다. * 학구적인 자: 한 통치에서 소의회를 세번 참석한다 * 회개하는 자: 세르세이를 속죄를 구축한다. * 목격자: 형제간의 불화를 끝낸다. * 완고한 자: 여름에 전투에 나선다. * 술주정뱅이: 펜토스를 기억한다. * 챔피언: 마상시합에서 승리한다. * 상속자: 리틀핑거의 유산(사창가)을 발견한다. * 기민한 자: 고양이를 잡는다. * 방랑자: 숨겨진 공방을 발견한다. * 야만인: 사나운 친구 둘(아리아와 니메리아)을 재결합시킨다. * 신중한 자: 도트라키를 다시 데려온다. * 거짓말쟁이: 설득력 있는 거짓말을 한다. * 미치광이 여제: * 조카: 대너리스와 결혼한다. * 위대한 자: 60달을 살아남는다. * 고대인: 100달을 살아남는다. * 친구: 그녀(아리아)의 신뢰를 얻고, 그녀의 게임에서 승리한다. - 겐드리로 플레이 * 로맨스: 왕관을 훔쳐간 자를 찾아낸다. * 요리사: 도트라키 파이를 만든다. * 장군: 전투에서 죽은 자의 군대를 무찌른다. === 죽음의 상징 === ||<-3>
'''{{{#ffffff 죽음의 상징}}}''' || || '''그림''' || '''최후''' || '''조건''' || || || 술을 더 가져와라 || || || || 대너리의 비행 || 대너리스로 처음 플레이하면 발생. || || || 아리아의 목 || 아리아로 플레이시 첫 선택지에서 세르세이를 살려두면 발생. || || || 녹슨 왕좌 || 겨울을 이겨내지 못함. || || || 수치스런 행진 || 신앙 수치가 0이 되면 발생. || || || 얼굴없는 자 || 산사 외의 캐릭터로 신앙이 100이 되면 발생. || || || 와일드파이어 목욕 || 권력 수치가 100이 되면 발생. || || || 장대 || 민심 수치가 100이 되면 발생. || || || 회색 병 || 권력이 0이 되면 발생. || || || 연인의 키스 || 국고가 100이 되면 발생. 매음굴이 질렸다는 카드에서 긍정적 답변했을 때도 확률적으로 발생. || || || 사십 객의 검 || 국고가 0이 되면 발생. || || || 지하에서 잊힘 || 민심이 0이 되면 발생. || || || 광기의 복수 || || || || 아홉 큰까마귀 || 캐릭터 해금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엔딩. || || || 쌍둥이의 포옹 || 제이미로 플레이시 세르세이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하고 세르세이와 대화하기 선택 후 동반자살 권유를 수락하면 발생. || || || 전투에서 || 전투에서 패한 후 기도하기 선택하면 발생. || || || 슬픈 복수 || || || || 쉐도우랜드 || || || || 나비열 || 신스에서 선물을 보냈다는 카드에서 상자를 직접 열면 발생. || || || 송곳니 || 귀족 아가씨가 사자를 선물로 데려왔을 때 가까이 오라는 말에 따르면 발생. || || || 피로 물든 왕좌 || 큰까마귀를 죽이거나 발로 차면 발생. || || || 부서진 것 || 마상시합에서 패했을 때 확률적으로 발생. || || || 침묵의 자매 || 산사로 플레이시 셉타가 안식을 주겠다고 말할 때 긍정하거나 신앙이 100이 되면 발생. || || || 드래곤 갈망자 || || || || 쓰라림 || 대너리스로 플레이시 다리오에게서 조심하라는 쪽지를 받은 후 다과를 주겠다는 시녀에게 예 선택. || || || 겐드리의 저주 || 겐드리로 플레이시 멜리산드레가 쾌락을 주겠다고 할 때 긍정하면 발생. || || || 티리온의 축복 || || || || 저 멀리 || 겨울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폐하는 쉬십시오 카드에서 긍정적 답변. || || || 기억되다 || || === 엔딩 === 본 공략은 어느 캐릭터로든 진행할 수 있는 흑요석 엔딩을 다룬다. 각 캐릭터 전용 엔딩은 [[Reigns: Game of Thrones/캐릭터|캐릭터]] 문서 참조. 흑요석 엔딩은 어느 캐릭터로든 '드래곤 스톤에서 흑요석 광맥을 발견했습니다. 채굴할까요?' 선택지에서부터 시작한다. 채굴을 시도하면 재정이 약간 하락하고,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흑요석 채굴을 계속할까요?' 선택지마다 긍정해야 하며 이 때 역시 재정이 하락한다. 계속 재정이 깎아먹는 이벤트를 진행해야 하므로 평소보다 재정에 더 신경을 써 주거나, 파산을 해도 게임 오버되지 않는 티리온으로 시도하면 좋다. 소의회가 열리면 참여해서 [겨울을 나는 방법] → [흑요석 채굴]을 선택해 흑요석 채굴을 가속하도록 지시한다. 이렇게 흑요석을 지속적으로 채굴하여 채굴량이 1만을 넘어가면 워커들을 상대할 만큼 충분한 양의 흑요석을 확보했음을 알리고, 이를 병사들에게 분배하여 무장시키면 캐릭터 특성에 {{{#00ced1 '''흑요석'''}}}이 추가되며 엔딩 조건을 만족시키게 된다. 흑요석 상태로 겨울이 올 때까지 버티고, 워커들과 맞붙기 전 대중 앞에서 연설을 한 번 한 후에 화이트 워커와의 전투에 나가 승리하면 흑요석 엔딩 끝.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reigns-game-of-thrones, code=critic-reviews/?platform=pc, g=, score=8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reigns-game-of-thrones, code=user-reviews/?platform=pc, y=, score=6.4)]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iOS|{{{#ffffff iO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reigns-game-of-thrones, code=critic-reviews/?platform=ios-iphoneipad, g=, score=8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reigns-game-of-thrones, code=user-reviews/?platform=ios-iphoneipad, y=, score=6.5)]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reigns-game-of-thrones, code=critic-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y=, score=7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title=reigns-game-of-thrones, code=user-reviews/?platform=nintendo-switch, g=, score=7.6)] || [include(틀:평가/Steam, code=897820, rating=대체로 긍정적, percent=77, count=854, rating2=, percent2=, count2=, date=2023-10-23)] [[분류:Reigns 시리즈]][[분류:2018년 Windows 게임]][[분류:2018년 macOS 게임]][[분류:2018년 Linux 게임]][[분류:2018년 모바일 게임]][[분류:2019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Xbox Game Pass]][[분류:왕좌의 게임(드라마)]][[분류:얼음과 불의 노래/미디어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