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Richard D. James Album의 주요 수상 내역'''}}}}}}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30대 EDM 앨범2, 순위=17)] ---- [include(틀:스핀 선정 1985 - 2014 300대 명반,순위=71)] ---- ||<#fff,#fff> [[피치포크|[[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100%]]]] || '''[[피치포크|{{{#000,#fff 피치포크 선정 1990년대 150대 명반}}}]][br]{{{+4 34위}}}''' || ---- ||<#fff,#fff> [[피치포크|[[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100%]]]] || '''[[피치포크|{{{#000,#fff 피치포크 선정 역대 최고의 IDM 앨범}}}]][br]{{{+4 4위}}}''' ||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Richard D. James Album)] ---- }}} || ||<-2><#E2E4E3> '''{{{#000 {{{+1 Richard D. James Albu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4 0-1 screenshot.png|width=100%]]}}} || || '''발매일''' ||[[1996년]] [[11월 4일]] || || '''장르''' ||[[IDM]], [[드릴 앤 베이스]], [[정글(동음이의어)|정글]], [[일렉트로니카]] || || '''재생 시간''' ||32:51 43:29[*A American Edition.] || || '''곡 수''' ||10 + 5[*A American Edition.] || || '''프로듀서''' ||[[에이펙스 트윈]] || || '''레이블''' ||[[워프 레코즈|Warp Records]], Sire Records[* 미국반 한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전자음악가 [[에이펙스 트윈]]의 정규 4집 앨범. [[워프 레코즈|Warp Records]]에서 발매하였다. 앨범 제목은 에이펙스 트윈의 본명인 리처드 데이비드 제임스(Richard David James)에서 따왔다. == 상세 == 이때까지 에이펙스 트윈이 작업한 앨범들 중 가장 오랜 제작기간이 소요된 앨범으로, 치밀하게 프로그래밍된 드럼 비트가 특징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IDM]] 기반의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구사하고 있으며, 그나마 앰비언트 풍의 신디사이저 리프가 남아있던 전작과 달리 더 정신없어진 구성의 비트를 자랑한다. 이 시점부터 [[Selected Ambient Works 85-92|1집]]의 색채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이는 뒤에 나오는 그 유명한 Come To Daddy EP, Windowlicker 싱글로 이어진다. == 평가 ==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web.archive.org/web/20050307041558/http://www.pitchforkmedia.com/record-reviews/a/aphex-twin/richard-d-james-album.shtml, 점수=8.4)]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richard-d-james-album-mw0000087254, 점수=★★★★☆)]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aphex-twin/richard-d-james-album/, 점수=3.83)]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1614.htm, 순위=1996년 11위 / 1990년대 136위 / 올타임 763위)] 1집 다음으로 평단으로부터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던 에이펙스 트윈의 앨범이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전작보다 비트는 더 치밀해졌지만 멜로디와 전반적인 분위기는 더욱 밝고 화사해진 것이 특징이다.[* 첫번째 트랙 '4'의 경우 장조의 바이올린 멜로디 사이로 폭주하는 드럼 비트가 깔리는 것이 특징인데, 이런 대조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두 가지 요소가 훌륭하게 어우졌다고 평가받는다. 이외에도 Girl/Boy Song, To Cure a Weakling Child 등의 트랙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많은 CF와 영화에 수록되었으며,[* 과거 [[TTL]]의 '양 세는 임은경' CF 배경음악으로 본 앨범의 수록곡인 'To Cure A Weakling Child' 가 쓰였다. 한때 이 CF 덕에 에이펙스 트윈의 인지도가 한국에서 많이 올라가기도 했다.]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IDM 앨범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앨범의 성공을 기점으로 에이펙스 트윈은 앰비언트 뮤직 장르를 넘어 일렉트로니카 장르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물이 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길이}}}''' || || 1 || 4 || 3:37 || || 2 || Cornish Acid || 2:14 || || 3 || Peek 82454201 || 3:05 || || 4 || Fingerbib || 3:48 || || 5 || Carn Marth || 2:33 || || 6 || To Cure A Weakling Child || 4:03 || || 7 || Goon Gunpas || 2:02 || || 8 || Yellow Calx || 3:04 || || 9 || Girl/Boy Song (NLS mix) || 4:52 || || 10 || Logan Rock Witch || 3:33 || ||<-3> '''{{{#000 American Edition Bonus Tracks}}}''' || || 11 || Milkman || 4:09 || || 12 || Inkey$ || 1:24 || || 13 || Girl/Boy (£18 Snarerush Mix) || 1:57 || || 14 || Beetles || 1:31 || || 15 || Girl/Boy (Redruth Mix) || 1:37 || == 여담 == * 미국 발매 버전에는 Girl/Boy EP에 수록되어 있는 곡들이 추가되어 있다. * 이 앨범은 에이펙스 트윈이 처음으로 [[매킨토시]] 컴퓨터를 통해 작업한 앨범이다.[* 전작까지는 아날로그 시스템을 통해 녹음했다.] * 에이펙스 트윈은 4집을 내기 전에 [[https://youtu.be/rndV_5q8Tkc|MTV와 인터뷰를 할 때 얼굴을 보였는데,]] 그 모습이 [[Syro|18년 후 다시 모습을 보일 때랑]] 스타일[* 장발에 수염.]이 매우 똑같았다. 인터뷰 당시 그의 나이는 '''25세'''였는데, 다시 모습을 보인 2014년 43세 때[* [[에이펙스 트윈]] 문서의 프로필 사진의 모습.]와 비교했을 때 주름이 조금 늘어난 것을 빼면 거의 변한 게 없다. * 은근히 [[한국]] [[네티즌]]들에게 익숙한 [[앨범 아트]]인데, 한때 인터넷 등지에서 자주 보였던 짤인 [[그러라고 사준 컴퓨터가 아닐텐데]]의 원본이기 때문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에이펙스 트윈, version=328)] [[분류:에이펙스 트윈]][[분류:영국의 일렉트로니카 음반]][[분류:1996년 음반]][[분류:테크노]][[분류:I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