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몬즈)] [[분류:라몬즈]][[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77년 음반]][[분류:펑크 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d33291 '''Rocket to Russia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독자 선정 10대 펑크 록 명반)]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39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06,연도2=2020,순위2=385)]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59)]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154)]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54)] ---- }}} || ||<-2><#262626> '''{{{#d33291 {{{+1 Rocket to Russi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라몬즈 3집.jpg|width=100%]]}}}|| || '''발매일''' ||[[1977년]] [[11월 4일]] || || '''녹음 기간''' ||[[1977년]] 8월 - 9월 || || '''장르''' ||[[펑크 록]] || || '''재생 시간''' ||31:46 || || '''곡 수''' ||14곡 || || '''프로듀서''' ||토니 본지오비[br]토미 라몬 || || '''스튜디오''' ||미디어사운드 || || '''레이블''' ||사이어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77년 11월 4일에 발매된 [[라몬즈]]의 세번째 정규 앨범. == 상세 == 앨범 발매에 앞서 발매된 싱글 "Sheena Is a Punk Rocker"가 발매되었던 1977년 여름에는 [[펑크 록]]이 만발하던 시기였다. 관중들은 더욱 늘어났고 펑크 록 밴드들은 레코드사와 계약을 맺기 시작했다. 그렇기에 라몬즈는 레코드사로부터 더 많은 예산을 받고 앨범 녹음을 시작할 수 있었다. 녹음은 8월 21일에 시작되었고 프로듀싱은 토미 라몬과 토니 본지오비가 맡았다. [[필 스펙터]]가 앨범의 프로듀싱을 제안하기도 했지만, 전과 같은 사운드를 내고 싶었던 밴드는 그의 제안을 거절했다. 완성된 앨범은 전작과는 다르게 [[서프 음악]]과 [[버블검 팝]]의 늘어난 영향력을 보여준다. 이번 앨범 이후 토미 라몬은 밴드를 탈퇴하게 되었지만, 다음 앨범의 프로듀서로 참여하기도 한다. == 트랙 리스트 == * Side 1 * 1. "Cretin Hop" * 2. "Rockaway Beach" * 디 디 라몬이 작사/작곡한 곡. [[비치 보이스]]와 다른 서프 음악들의 영향을 받았다. * 3. "Here Today, Gone Tomorrow" * 4. "Locket Love" * 5. "I Don't Care" * 6. "Sheena Is a Punk Rocker" * 조이 라몬이 작사/작곡한 곡. 아웃사이더인 Sheena라는 소녀가 당시 유행이던 [[디스코]]와 서프 음악 대신 나이트클럽에 가서 펑크 록을 듣는다는 내용이다. * 7. "We're a Happy Family" * Side 2 * 8. "Teenage Lobotomy" * 9. "Do You Wanna Dance?" * 바비 프리먼의 곡을 커버했다. * 10. "I Wanna Be Well" * 11. "I Can't Give You Anything" * 12. "Ramona" * 13. "Surfin' Bird" * The Trashmen의 곡을 커버했다. * 14. "Why Is It Always This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