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Roland)] [include(틀:Roland 신디사이저)] [[파일:Roland AIRA시리즈.png]] 2014년에 공개한 초기모델[* 왼쪽 VT-3,중간 TR-8,오른쪽 TB-3, 위 SYSTEM-1] [목차] == 개요 == [[Roland]]에서 [[2014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 옛날에 나온 크기가 작고 전설적인 명기를 신식으로 리메이크 하는 프로젝트이다.[* 초기 한정. 하지만 얼마 안가서 의미의 범위가 확 넓어지는 바람에 지금은 정확히 정의를 내리긴 어렵다.] == 특징 == === 장점 === * --리메이크-- - 롤랜드의 갑판급으로 유명한 신디사이저를 재현을 해놓은 신디사이저 다만 장점이자 단점이지만, 신식으로 리메이크 했는지 전혀 다른악기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모델마다 다르다. 리메이크가 아닌 새로운 모델도 있다. * '''호환''' - "AIRA시리즈의 존재 그 자체". 이 시리즈의 최대의 큰특징은 서로 호환이 가능해서 하나의 악기가 될수있다. 거의 워크스테이션 --음색이 많이 없는다는것은 빼고는-- 비슷비슷한 느낌이 날수도 있다. * 간지나는 LED 디자인 - 새로운 느낌을 내기위해서 LED를 마구 투입해서 디자인의 특유의 매력이 있다. === 단점 === * --너무 괴리감이 큰 리메이크--:일단 초기 한정이며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장점틀을 봐도 딴 악기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옛날 명기를 애용하는 올드 유저들이나 키보디스트들은 실망할 수 있다. 하지만 2015년 SYSTEM-1M[* SYSTEM-1을 사운드모듈화 가 된 모델]을 시작으로 Analog modeling synthesizers에서 아날로그화가 되기 시작하고 세계 최대 악기 박람회인 NAMM에서 롤랜드의 초기 시절로 다시 돌아는것처럼 아예 완전히 아날로그화가 되었다. == 모델 == === SYSTEM-1 === [[파일:Roland SYSTEM-1.jpg]] 초창기에 발매한 모델 중 하나이며 롤랜드의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인 SYSTEM 100을 리메이크한 모델이다. 이 모델의 큰 특징은 피치밴드쪽에 위치한 다이얼이다. 이 다이얼은 Arp(아르페지오)를 사용할때는 Rate기능을 하고 Arp를 사용을 안할경우는 Pitch 밴드 역할을 하고 있다. 키감이 건반을 누르는것 보다 버튼을 누르는 것 같아서 평가가 좋지 않다.[* 이 부분은 MIDI 1.0이 있는 마스터컨트롤러를 이용하면 해소는 되지만 그런 마스터 컨트롤러는 고가가 아닌이상 팔지않고 적다.][* 대충 키감을 요약하면 마우스 좌/우 버튼을 누르는 느낌이다.] ==== SYSTEM-1m ==== [[파일:Roland SYSTEM-1m.jpg]] 위의 SYSTEM-1을 유로랙 사이즈로 사운드 모듈화 시킨 물건이다. AIRA 시리즈가 다 그렇듯이 버츄얼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이다. ==== SYSTEM-500(512,521,530,540,572) ==== [[파일:Roland SYSTEM-500.png]] 유로랙 사이즈의 아날로그 모듈러 신디사이저를 구성하는 모듈 라인업이다. ===== SYSTEM Complete set ===== 2016년 NAMM에서 공개된 세트 한세트로 모아서 사용할수 있다. ==== SYSTEM-8 ==== [[파일:Roland SYSTEM-8.jpg]] 2016년 9월 9일 909DAY를 통해 DJ-808과 함께 공개한 신디사이저. 외형은 JD-XA와 비슷하며 SYSTEM-1의 강화형 모델이다. 하지만 SYSTEM-1의 아이덴티티인 다이얼이 사라졌다(...) === TR-8 === [[파일:Roland TR-8.jpg]] 초창기에 발매한 모델 중 하나이며 롤랜드의 드럼머신인 TR-808을 리메이크한 모델이다. TR-808의 프리셋만 있는게 아니라 TR-909의 프리셋도 내장되어있다. 초창기에 나온 모델중에서 그나마 원작에 충실하다. DJ들이 믹싱이 아닌 라이브세팅으로 디제잉 할 때는 거의 [[에이블톤 라이브]]나 TR-8은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 TR-8S ==== 2018년에 발매한 TR-8의 후속 모델이다. TR-8에 비해서 프리셋이 대폭많아지고 소형 LCD모니터가 추가 되었으며 변경할수 있는 패턴을 2개에서 8개로 늘렸다. 다만 SYSTEM-8처럼 SCATTER를 재거한 모양이다. === TB-3 === [[파일:Roland TB-3.jpg]] 초창기에 발매한 모델 중 하나이며 롤랜드의 베이스 신디사이저인 TB-303을 리메이크했다. 터치스크린으로 되어 있어서 버튼 문제를 해소했지만, 원작인 TB-303처럼 빵빵하면서 넓은 베이스 신디음을 내지 못해서 까이기도 하다. 대신 [[KORG|옆동네]]의 다이나믹 패드[* Kaossilator]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서 다양하기도 하고 베이스 신스로도 나름 나쁘지도 않고 쓸만한 모델이다. === VT-3 === [[파일:Roland VT-3.jpg]] 롤랜드의 보이스 이펙터인 VP-330을 리메이크한 모델 심플하고 쉽게 다룰수 있어서 초보자들에게 맞는 모델이다. === MX-1 === [[파일:Roland MX-1.jpg]] 이 모델은 다른 모델과 달리 리메이크가 아니라 신모델이며, 믹서역할을 한다. 다른 믹서와 달리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SBX-1 === [[http://cdn.roland.com/assets/images/products/main/sbx-1_top_main.jpg]] 이 모델은 다른 모델과 달리 리메이크가 아니라 신모델이며, 신스 박스역할을 한다. === DJ-808 === [[파일:Roland DJ-808.jpg]] 2016년 9월 9일 909DAY를 통해 공개한 디제이 컨트롤러. DJ 장비 회사인 Serato와 협업하여 제작되었다. === DJ-505 === [[파일:DJ-505.jpg]] [[파일:DJ-505_gal.jpg]] DJ-808의 염가판이다. == 사용 뮤지션 == ※ ㄱ-ㅎ/A-Z 순서로 작성 * 닥스킴([[서태지 밴드]]) : SYSTEM-1 * [[아사쿠라 다이스케]]([[access]]) : SYSTEM-1[* Access 바이러스 TI2 POLOS 다음으로 사용하는 주력 신디사이저], TR-8, TB-3, MX-1[* 롤랜드 공식동영상 한정],--SBX-1--[* 인증은 했지만 아직은 라이브에서 사용된적이 없다.] * [[알렌 워커]] : SYSTEM-1 * [[장 미셸 자르]] : SYSTEM-1M, SYSTEM-8[* 현재 [[http://www.bdcwire.com/wp-content/uploads/2017/04/03-og.jpg|콘서트에서 메인 건반으로 쓰고 있다]].] * [[코무로 테츠야]]([[T.M.Network]]) : SYSTEM-1[* T.M.NETWORK 투어에선 잘사용하지 않지만 디제잉 할때는 사용하는거 같다. 2014년도 30주년 라이브에서는 SYSTEM-1을 사용한다. ] * [[포터 로빈슨]] : SYSTEM-1 == 영상 == [youtube(/cYWnwD2lWP4)] Roland 정식 동영상 - 아사쿠라 다이스케[* 사실 JD(XA,XI)공식 동영상이지만 AIRA의 역할도 상당히 있기 때문에 참고 하는게 좋다.] == 관련 문서 == * [[드럼머신]] * [[신디사이저]] [[분류:Ro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