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R.O.D. 시리즈)]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3fEROhUrDs)]}}} || ||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HardCore}}} || || {{{-1 '''BPM'''}}} ||{{{-1 180}}} || || {{{-1 '''작사/작곡'''}}} ||{{{-1 [[NieN]]}}} || || {{{-1 '''보컬'''}}} ||{{{-1 [[NieN]]}}} || || {{{-1 '''BGA'''}}} ||{{{-1 Jaywave}}} || == 개요 == [[R.O.D. 시리즈]] 연작으로, [[Road Of Death]]와 유사하게 빠른 기타리프 위주의 하드코어 악곡. 이후 [[DJMAX Portable 2]]에 이식되었다. 약칭은 '''롤덕''', '''롤오덕'''. 특히 질주하는 듯한 기타 리프와 귀에 쏙쏙 잘 들어오는 신스음 멜로디로 인해 [[NieN]]의 [[R.O.D.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곡. 빠른 BPM 덕에 전체적으로 패턴의 난이도도 꽤나 높은 곡. 사족으로 이 곡의 제목은 의미불명으로, 심지어 미국에서도 모른다고... --오리 위로 구른다니 뭔 소리야-- 그냥 ROD의 철자를 맞추기 위해 대충 끼워넣은 제목인 듯 하다.--'Duck'이 'Dodge'의 의미도 있으니 굳이 해석하자면 '굴러서 피하기' 정도?-- == [[DJMAX Portable 2]] == [youtube(RobmIqaMVLk)] 8K MX 안 그래도 극악이었던 8K MX 패턴을 MAX 1% 판정을 하나도 내지 말고 클리어하라는 '''[[JUST 1%]]'''이라는 미칠듯한 극악 난이도의 미션 때문에 더더욱 유명세를 탔다. 후문으로는 원래 JUST 1% 미션 수록 패턴은 NM으로 적용되었어야 했는데, 코드 오류로 인해 MX가 되었다고 한다. == [[DJMAX Trilogy]] == [youtube(OI5GWtVmfCE)] 6K MX == [[TAP SONIC]] == [[TAP SONIC]]에서는 베이직, 프로, 레전드 모두 최고레벨에서 딱 1 낮은 레벨 표기를 가지고 있다. 6라인 레전드 기준으로는 9레벨인데, 과거에는 레벨 9에서 상위권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중간정도의 평. == [[DJMAX RAY]] == ||<-4> [[DJMAX RAY]]의 Ultraviolet 팩 수록곡 || || [[Aurora Borealis]] || [[Out of CTRL]] || [[Dark Prism]] || '''Rolling On the Duck''' || [[Vampired]] || ||<-3>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 NM || 6 || || || HD || 8 || || || MX || 10 || || [youtube(HlcqFQnYfKc)] --영상 제목부터 깊은 빡침이 보인다-- DJMAX RAY에도 수록, 탭소닉과는 다르게 상당히 어렵게 등장하였다. 무지막지한 물량을 자랑하는 패턴으로, 피버 아이템을 적당히 껴 놓고 풀피버에 성공하면 '''10000콤보'''를 넘길 수도 있는 유일한 곡이다! 때문에 전곡 중 유일하게 15만 점이 넘어가는 곡. 노트가 미친듯이 쏟아져 내리기 때문에 하다 보면 손이 아프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olling On the Duck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Rolling On the Duck}}}'''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0 → 13으로 상향.] [br] {{{-5 1094}}} || -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5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109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423}}}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4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4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0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305}}}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5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110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433}}}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538}}}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cAOQWl_E9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LzRXOQrUqc)]}}}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zMgE15OVx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h8__SqFSVo)]}}}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v7k6lUUEj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sflVq8wR3I)]}}} || 5버튼 SC는 [[Astro Fight]]의 하위호환. Astro Fight에서 나왔던 트릴이 또 나오니 주의해야 한다. 그 외 패턴은 기존 MX 패턴을 보강시킨 버전으로, 전반적으로 오른손 위주로 활용해야 처리가 쉬운 패턴들이 다수. 대략 15레벨 중하위권 정도의 평가를 받다가 이후 SC 11레벨로 조정되었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us9dQ7oBi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tjYLz9MRWo)]}}}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WI6v2ucGYs)]}}} || || 6B HD는 11레벨로 책정되었으나 일부 구간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11레벨 패턴 중에서는 상당히 어렵다 평가받는다. 6B MX는 초중반부 동시치기, 중후반부 폭타, 곡 두 번에 걸쳐 나오는 221, 556 따닥이 등 6버튼 패드 패턴에서 나올 수 있는 패턴은 거의 다 나오는 종합곡.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n0Bmxx1y_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p-mxd5I2U)]}}}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gPVYybEUR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euM2UyjlRY)]}}} || 8버튼 MX의 경우 곡 자체 패턴도 엇박 트리거가 상당히 많이 튀어나와 실수하기 쉬운데, V에서는 해당 패턴에 하드 판정까지 끼워 JUST 1% 미션에 마지막 곡으로 등장해 안 그래도 어려운 미션 난이도가 더더욱 올라가버렸다. 물량곡+트리거 다수 활용+높은 BPM으로 14레벨 안에서도 꽤 어렵다 평가받는다. 8버튼 SC는 상술한 8버튼 MX에 살이 더 붙었으나 트리거는 오히려 줄었다. 그렇기 때문에 난이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데, 복합 트리거 패턴이 어렵다면 MX가, 따닥이가 어렵다면 SC가 더 어려울 것이다. 대체로 MX가 더 어렵다는 평이 많고, 11레벨 내에서는 물렙 내지는 최하위권 정도로 평가받는다. == [[DJMAX TECHNIKA Q]] == ||<-4>
<#000>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000> '''라인/난이도''' ||<#fff344> '''NM''' ||<#058cf4> '''HD''' ||<#e64119> '''EX''' || || '''2 LINE''' || 4 || 7 || '''8''' || || '''3 LINE''' || 4 || 7 || '''9''' || [youtube(By2hTZp_574)] 3라인 EXPERT 영상 2018년 8월 9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여담 == [[DJMAX RESPECT U]] 행사의 유저 대회 본선곡 10곡 목록 중에 있었고, 4키 결승전의 대결곡이 되었다.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R.O.D.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