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트록스)]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b2472f '''Room on Fire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6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94)]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00년대 100대 명반, 순위=87)] ---- [include(틀:Rock NYC 선정 2000년대 231대 명반)]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657, 연도=2005, 순위2=1216, 연도2=2022)] ---- }}} || ||<-2><#000000> '''{{{#b2472f {{{+1 Room on Fi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3f9b0f9-fd57-4a3d-a9d7-42ad789c768a_grande.jpg|width=100%]]}}} || || '''발매일''' ||[[2003년]] [[10월 28일]]|| || '''장르''' ||[[인디 록]], [[개러지 록 리바이벌]],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 || '''재생 시간''' ||32:18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고든 라파엘 || || '''스튜디오''' ||TMF (New York City) || [목차][clearfix] == 개요 == [[스트록스]]의 2집 앨범. 2003년 10월 28일 발매. 전곡은 보컬 줄리안 카사블랑카스의 작사/작곡으로 이뤄졌으며, 이전작에 이어 고든 라파엘의 프로듀싱하에 제작된 앨범이다. 1집의 큰 성공으로 스타덤에 오른것을 계기로 라이브 투어 직후 제작되었으며, 이전 개러지 록 특유의 B급 사운드에 팝적인 요소가 다소 가미된것이 특징. 이런 요소가 대중들에게 상당히 먹혔는지, 영국에선 앨범 차트 2위와 각종 국가의 상위권과 함께 무엇보다 1집도 달성하지 못했던 미국 [[빌보드 200]] 4위로 상위권을 맞기도 한다. 하지만 상업적인 성공과는 반대로 전문 평론가의 반응은 영 시원치 않은 편. 워낙에 1집이 넘사벽이어서 부각되는 면도 크지만, 이전의 개러지록의 진수를 기대했던 평론가의 입맛에는 맞지 못했는지, 각종 평론단에선 아쉬운 점수를 매기기도 했다. 여러모로 [[소포모어 징크스]]를 대변하는 작품이기도 한 셈. 전반적으로 완급 조절이 아쉽다는 평이 크다. 그래도 대중에게 각인될만한 싱글을 여러곡 배출시켰다는 면에서는 의의가 큰 앨범이긴 하다. 시간이 지난 현재는 클래식의 반열에 들어선 1집에는 못 미쳐도 그럭저럭 괜찮은 명반 대접을 받고 있다. == 트랙 == 싱글컷된 노래는 '''*''' 표시. * '''1. What Ever Happened?''' 이전의 나른한 분위기에서 탈피하여 다소 거칠어진 기타 사운드를 보여주는 노래. 앨범의 방향성을 대변하는 인트로곡이다. 갑자기 생긴 인기와 관심에 피곤해하며, 평범해지고 싶다는 소망을 담은 곡이다. [[마리 앙투아네트(영화)]]에 삽입되었다. * '''2. Reptilia*''' [Youtube(b8-tXG8KrWs)]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205)] 앨범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곡.[* 스트록스 곡들 중 유튜브 조회수 1위,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횟수 2위(1위는 [[Last Nite]])] 쉴새없이 몰아붙이는 기타 리프와 에너지 있는 보컬, 앨범명인 '불타는 방'을 담아낸 가사 또한 특징이다. 연주하는 모습을 초근접으로 촬영한 뮤직비디오가 제법 임팩트가 컸던지, 스트록스의 가장 높은 [[유튜브]] 조회수를 자랑한다. 또한 스트록스 최고의 곡으로 평가받는다. 이 곡이 싱글로 발매될 때 같이 수록된 'Modern Girls & Old Fashion Men'은 [[First Impressions of Earth|3집]]의 Juicebox 싱글의 'Hawaii'와 더불어 스트록스 비사이드 곡 중 최고의 곡으로 평가받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580218|가사 번역]] * '''3. Automatic Stop''' 멜로디 라인에 신경을 쓴 점이 돋보이는 곡. 2집 특유의 분위기가 묻어나는, 달콤한 아르페지오 리프가 특징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589997&search_head=110&page=1|가사 번역]] * '''4. 12:51*''' [Youtube(LPAVDHo1Elc)] 특유의 나른한 보컬을 따라가는, 신디사이저 소리를 구현한 기타리프가 특징이며, 팝적인 시도를 그대로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싱글컷 된 노래 치고 짧은 러닝타임(2분 33초)이 특징. * '''5. You Talk Way Too Much''' E메이저의 곡으로 IV-I-IV-I 진행이 인상적이다. * '''6. Between Love & Hate''' * '''7. Meet Me in the Bathroom''' * '''8. Under Control''' * '''9. The Way It Is''' 헤비한 사운드가 특징인 트랙. 앨범에서 가장 짧은 곡이다. (2분 21초) * '''10. The End Has No End*''' [Youtube(8sQoX12zo-A)] 마지막으로 싱글컷 된 노래. * '''11. I Can't Win''' == 평가 == 상술했듯이 평단의 반응은 이전 작품에 비해 약간 떨어지는 점수. 물론 전작에 비해 아쉽다 뿐이지 여전히 평은 매우 좋은 편. NME의 스트록스 사랑(...)이 어디 가지는 않아서 최고의 앨범을 선정할 때 360위에 랭크시키기도 했다. ||<:><#000000>'''{{{#white 매체}}}'''||<:><#000000>'''{{{#white 평점}}}'''|| ||<#FFFFFF><:>'''[[메타크리틱]]'''||<#FFFFFF><:>'''77/100'''|| ||<#FFFFFF><:>'''올뮤직'''||<#FFFFFF><:>'''4/5'''|| ||<:><#FFFFFF>'''Entertainment Weekly'''||<#FFFFFF><:>'''B'''|| ||<#FFFFFF><:>'''[[더 가디언]]'''||<#FFFFFF><:>'''3/5'''|| ||<#FFFFFF><:>'''[[NME]]'''||<#FFFFFF><:>'''9/10'''|| ||<#FFFFFF><:>'''[[피치포크]]'''||<#FFFFFF><:>'''9.2/10'''[* 8.0이었으나 추후 수정]|| ||<#FFFFFF><:>'''[[Q]]'''||<#FFFFFF><:>'''5/5'''|| ||<#FFFFFF><:>'''Rolling Stone'''||<#FFFFFF><:>'''4/5'''|| [[분류:스트록스]][[분류:2003년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인디 록]][[분류:개러지 록 리바이벌]][[분류:포스트 펑크 리바이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