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Ruti'n)]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mU-DBYZpxA)]}}} || ||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3 (2017)}}} || || {{{-1 '''장르'''}}} ||{{{-1 Moombahcore}}} || || {{{-1 '''BPM'''}}} ||{{{-1 112}}} || || {{{-1 '''작곡'''}}} ||{{{-1 [[BEXTER]]}}} || || {{{-1 '''작사'''}}} ||{{{-1 [[3rd Coast|JC]]}}} || || {{{-1 '''리믹스'''}}} ||{{{-1 [[GOTH(작곡가)|GOTH]]}}} || || {{{-1 '''보컬'''}}} ||{{{-1 [[3rd Coast|So Fly]](보컬) / JC(랩)}}} || || {{{-1 '''BGA'''}}} ||{{{-1 Shin Min Kyung(원화) / Carrotjuice(모션)}}} || == 개요 == [[DJMAX RESPECT]]에 수록된 [[Ruti'n]]의 리믹스 버전으로, [[DJMAX 시리즈]]에 처음 참가하는 작곡가 [[GOTH(작곡가)|GOTH]][* Gothpheus라는 명의로 BMS 활동을 했었으며, [[EZ2AC]] 유저들에게는 [[Rosen Vampir]]의 작곡가로 친숙한 인물이기도 하다. DJMAX RESPECT에서 오리지널 악곡으로는 [[KILLER BEE]]와 [[Child of Night]]를 투고했다.][* 참고로 이 리믹스는 '''와일드기어 for kakao'''의 OST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당시 명의는 Thermidor.]가 리믹스했다. BGA는 무삭제판을 적절히 믹스시킨 BGA. 지스타2016 DJMAX RESPECT 시연회에서 U.A.D, Remains Of Doom과 함께 플레이 가능했던 신곡 3개 중 하나였다. 그리고 출시 시점 '''유일하게 메트로 프로젝트 수록곡을 원곡으로 한 곡이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uti'n Remix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Ruti'n}}} {{{-1 (GOTH Wild Electro Remix)}}}'''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7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57}}} || -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060}}}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2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557}}} || -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186}}}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1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8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05}}}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296}}}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4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03}}} || -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290}}}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7 패치로 고레벨의 SC 패턴을 배정받았다. 원래부터 곡에 대한 평가가 나쁘지 않았던데다, 추가된 모든 SC 패턴들이 '''불렙'''으로 평가 받기에, 시즌 7에서 나름 주목을 받았던 곡이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SgWG5LzRh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aQKGSzh9Ck)]}}}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0ohE8lreY0)]}}} || || 4B SC의 경우 초반 드랍까지는 무난하다 47초부터 동시치기에 빠른 121/434 트릴이 섞이는 배치가 등장하면서 난이도를 높인다. 1분 20초부터는 동시치기의 구성도 점점 더 복잡해지면서 난이도를 끌어올린다. 다만 논란이 된 구간이 있는데, 바로 1:35초의 '''32비트 2-3 3연타''' 구간. 해당 곡이 112BPM이므로 이를 환산하면 224BPM 16비트와 동일한데, 4버튼 최고의 보스곡이라고 평가받는 [[PUPA/리듬 게임 수록|PUPA]] 4B SC의 빅장 구간이 202BPM 16비트 4연타이므로 11레벨에서 '''15레벨''' 곡의 연타 파트보다 더 어려운 구간이 존재한다는 것. 실제로 4버튼 고수들조차 정확하게 처리하기가 상당히 힘든 패턴이고, 특별히 곡 자체에서 강조되는 키음이 등장하는 것도 아닌지라 등장과 함께 상당한 논란이 되었다. 이 연타를 제외하더라도 11레벨 치곤 상당히 어려운 패턴으로 여겨진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Gc8A-NC3p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_jWftok_ck)]}}}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6lTY2uxif0)]}}} || || 5B SC는 이전에 추가됐던 [[Won't Back Down]] SC와 마찬가지로, 세세한 키음을 줄이고 5버튼 가변을 강조한 동시치기의 비중을 높였다. 특히 영상 썸네일에서부터 나오는 3-1-3-1 동시치기는 끼어드는 타이밍도 뜬금없기 때문에 당황하기 쉽고, 패턴을 숙지했다고 해도 가변 타이밍을 잡기 어려울 수 있으며, 후반부는 [[Luv Flow#-2.3|135-13 연타-135]]나 [[Cthugha|양손 알약 동시치기 사이 계단이 끼어드는 패턴]]까지 나오기 때문에 5버튼 가변만 잘 된다고 마냥 쉽게 넘길 수도 없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usBVMO4AH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JQrLLhSEX8)]}}}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Z1VcvUyK6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sJsVIeZYf8)]}}} || 6B MX는 매우 낮은 BPM, 좌우 33으로 딱딱 나뉘는 패턴 등 끊어치기에 최적화된 구성으로, 13레벨 러너라면 끊어치기라는 개념 자체를 모르거나 알아도 못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플레이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연습곡. 다만 90% 유발이 잦아 스코어링 난이도는 좀 올라간다. 6B SC는 드랍 구간 내내 동시치기가 계속 등장하며 사이사이에 롱노트와 16비트 양손 트릴을 집어넣는 구성이 지속된다. 영상 기준 0:54초, 34번을 축으로 하는 동시치기에 이어 56-34-12 롱노트가 등장하는 부분이 꽤나 난점인데, 동시치기를 넘어간다 하더라도 롱노트에서 실수하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후에는 1:25~1:30초 구간의 동시치기 발광이 난점. 뜯어보면 모양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속도 및 밀도가 높아 처리가 힘든 부분이고, 데님 모양의 동시치기도 껴있으므로 주의. 이후 해당 동시치기가 모양을 바꿔서 한번 더 내려오고 마무리되는 구성이다. 지력이 강한 고레벨 러너 유저라면 초견 플레이에서 까다로울 수는 있어도 BPM이 낮은 편이라 그렇게 어렵다고 느끼진 않겠지만, 패턴 양상이 상당히 특이한 편이기에 해당 레벨대 이하에서 올라오는 유저라면 12레벨 중위권 이상 수준으로도 느낄 수 있다. 굳이 비슷한 곡을 찾자면 [[Cthugha]] 6B SC의 초반 혹은 [[Vile Requiem]] 6B SC 정도인데, 이 모두가 고레벨 곡이고 동레벨대 혹은 동레벨대 이하에서 비슷한 곡이 거의 없기에 실력간의 개인차가 확연하게 갈리는 패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는 12레벨 수준으로 평가받는 불렙곡.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MqRCT1hms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9ZU-WL0nbA)]}}}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m9cmZ3t6FU)]}}} || || 8B SC는 트리거 복합 동시치기의 비중이 높다. 중반부까지는 트리거 배치나 동시치기가 단순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의외로 할만하다고 여겨질 수 있으나, 영상 기준 1:26부터 떨어지는 123-트리거를 활용한 손 꼬이는 동치 패턴과 1:35 구간의 1346 동시치기에 트리거가 끼어있는 불편한 동치 패턴이 난점이 된다. 패턴 자체가 지력을 꽤나 요구하는 편이고 순간 발광으로 정확도를 한순간에 떨어뜨릴 수 있는 패턴이기 때문에 12레벨 내에서는 꽤나 어려운 패턴으로 평가받으므로 앞서 서술한 파트들의 숙지 여부가 상당히 중요하다. 이외에 후반부에 청기백기가 등장하기는 하지만 사이드 반대쪽에서 무조건 트리거-2/5번 롱노트가 등장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해당 파트는 그리 어렵지는 않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Ruti'n, version=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