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75mm_CN-75-50_L/61.5.png|width=100%]] || || '''CaNon 75 mm Modèle 1950'''[* '''75mm SA 50''' ('''"75 mm Semi Automatique Modèle 1950"'''의 약자)이라고도 불린다.] || [목차] == 개요 == 1950년에 프랑스에서 개발된 구경 [[75mm]] 57 구경장 고속 [[전차포]]. [[https://en.wikipedia.org/wiki/SA_50|참고]] SA 50 이외에도 75 Mle 50이나 CN 75-50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 상세 ==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기 전인 1944년부터 구상되었다. 1944년 기준으로 설계중이던 [[ARL-44]](ACL-1)는 75mm SA 44 전차포로 무장할 계획이었다. 수석 개발자 라파르그는 SA 44보다 더욱 강력한 전차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이때부터 신형 75mm 전차포는 [[5호 전차 판터]]의 주포인 [[7,5cm KwK 42]]와 유사한 탄도 성능을 낼 것이 목표가 되었다. 실제 개발도 [[7,5cm KwK 42]]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동일한 구경의 [[SA 49]] 주포보다 포신이 길어서 대전차 성능이 더 뛰어났다. 거기에 SA 50에 사용되는 포탄은 규격이 75×597mmR로, SA 49에 사용되는 75×350mm R보다 포탄의 길이가 더 길다[* 판터의 7,5cm KwK 42에 사용된 75×640mm R 규격 포탄보다는 짧다.]. 이는 장약통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이다. 이후 새로운 전차포는 프랑스 해방까지 비밀리에 설계되었고,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존 부품들을 활용해서 설계되었다. 종전 이후 완성되었을때는 비록 원래 계획되었던 [[ARL-44]]에는 장착되지 못했지만 대신 전후 몇년 뒤에 개발된 [[AMX-13]] 경전차에 장착되었다[* 이때는 AMX-13의 [[요동 포탑]]과 리볼버식 [[자동 장전 장치]]에 맞도록 수정되었다.]. 이후 75 mm SA 50라는 제식명을 얻었다. AMX-13뿐만 아니라 [[파나르 EBR]] 장갑차에 장착되기도 했고[* EBR Model 1954. 포탑도 AMX-13의 FL 10(정확히는 FL 10A2C)으로 교체되었다.], [[M-50]]같이 프랑스가 수출한 [[M4 셔먼]] 전후 개량형들에도 본 포가 장착되었다. == 성능 == 기본적으로 [[5호 전차 판터]]의 [[7,5cm KwK 42|7,5cm KwK 42 L/70]] 전차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구조적으로 7,5cm KwK 42의 포신장을 줄이고 구조 변경을 거치는 식으로 설계되었다. 그만큼 판터와 유사한 탄도 특성을 가졌지만, 포신 길이가 짧아진 이상 철갑탄 관통력은 판터보다 약했다. 등장 당시 CN-75-50의 포탄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탄 이름 || 탄종 || 탄약 중량 || 전체 중량 || 포구 속도 || 1000m 거리에서 90도로 탄착했을시의 장갑 관통 두께 || 1000m 거리에서 30도로 탄착했을시의 장갑 관통 두께 || || Obus Explosif[br](OE) || 고폭탄(HE) || 6.2kg || 20.9kg || 750 m/s || // || // || || Perforant Ogive Traceur Modèle 1951[br](POT Mle. 51) || APC-T || 6.4kg || 21kg || 1,000 m/s || 170mm || 110mm || || Perforant Coiffé Ogive Traceur Modèle 1951[br](PCOT Mle. 51) || APCBC-T || 6.4kg || 21kg || 1,000 m/s || 60mm || 90mm || 당시 기준으로 괜찮은 수준의 철갑탄 관통력과 보병지원에 있어 괜찮은 수준의 고폭탄 화력을 보였으나 [[T-54]]나 [[센추리온 전차]]같은 [[중형전차]]급 [[1세대 전차]]들의 전면장갑을 관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기에 결국 1960년대부터는 SA 50 주포를 기반으로 보다 위력적인 90mm [[CN 90]] F3 저압포가 설계되었다. 유럽에서는 75mm가 기갑 차량 기술이 대폭 발전하는 상황에서 위력 부족으로 금방 도태되었지만, 여전히 AMX-13-75같은 프랑스제 75mm 장착형 기갑을 수입하여 운용한 나라들에서는 한동안 더 사용되었다[* 특히 인프라 등의 문제로 경전차 위주로 운용해서 주력전차와 대적할 일이 거의 없던 국가들.]. 1980년대에는 [[싱가포르]]에서 SA 50 주포 용으로 75 canister [[캐니스터탄]]과 75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을 개발했다. == 파생형 == 1960년대 초에 SA 50 전차포의 구경을 확장하여 [[90mm]] 구경 [[저압포|저압]] 전차포로 재탄생시키는 계획이 나왔다. 당시 [[AML]] 90 장갑차의 [[CN 90]] F1 전차포에서 사용할 수 있는 OCC 90 EMP Mle 61 HEAT-FS 포탄을 [[AMX-13]]에서도 쓸 수 있게 할 목표로 개량이 진행되었다. SA 50의 확장 개조형으로 개발된 90mm 전차포는 D 960라는 공장 개발명을 얻고, 이후 CN 90 F3로 채택되었다. 1964~1966년 동안 시험을 거친 뒤, 1966년에서 1970년 사이에 SA 50 주포를 장착한 FL 10 포탑들이 675대 개조되었다. == 관련 문서 == * [[전차포]] * [[SA 49]] * [[CN 90]] * [[75mm]] * [[AMX-13]] * [[M-5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MX-13, version=241, paragraph=2)] [[분류:75mm]][[분류:전차포]][[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