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Roblox/게임/하위 문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SCP: Roleplay)] [목차] [clearfix] == 개요 == [[SCP: Roleplay]]의 명령어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 명령어 == 대부분의 명령어들은 개인 서버, 즉 비공개 VIP 서버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공개적인 일반 서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명령어들이 있다. 처럼 (s)가 붙은 것은 유저 닉네임, 물건의 ID, 물건의 이름 등 여러 옵션[* 여러 옵션 사용법은 구분은 쉼표로 하고, 구분시 띄어쓰기는 하지 않는다.]을 적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명령어를 익히기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해보는 것이므로 이 문서에 적힌 설명은 참고로만 사용하자. 일반적으로 명령어는 ''':'''이 붙고 예외적으로 ''';''' 대신 '''!'''가 붙는 경우도 있다. === :respawn === 사용법은 :respawn 이다. 부분에 리스폰 시키고 싶은 플레이어 이름을 적는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부분에 적힌 플레이어를 해당 직업의 리스폰 지점으로 리스폰 시킨다. 사용법과 기능이 같은 명령어로 :res 가 있다. === :kick === 사용법은 :kick 이다. 부분에는 위 명령어와 같이 강퇴시키고 싶은 플레이어의 닉네임을 적는다. 부분에는 강퇴 이유를 적으면 된다. 이때 강퇴당한 플레이어는 재접속이 가능하다. 참고로 :mod 명령어를 통해 어드민이 된 상태라면 이 명령어가 통하지 않는다. === :cmds === 사용법은 :cmds 이다. 해당 서버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목록을 띄운다. === :mod === 사용법은 :mod 이다. 부분에는 위 명령어와 같이 플레이어의 닉네임을 적으면 된다. 이 명령어에서 부분에 적힌 닉네임을 가진 사람은 서버 관리자가 될 수 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서버 관리자로 임명하면 임명해제를 할 수 가 없다. === :admin === 사용법은 :admin 이다. :mod 명령어를 통해 서버 관리자가 된 사람을 표시한다. 사용법과 기능이 같은 명령어로 :ingameadmins 가 있다. === :chatlogs === 사용법은 :chatlogs 이다. 어떤 사람이 어떤 채팅을 쳤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logs === 사용법은 :logs 이다. 어떤 사람이 어떤 명령어를 사용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bans === 사용법은 :bans 이다. 어떤 사람이 밴을 당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pm === 사용법은 :pm 이다. 이 명령어를 통해 에 입력한 닉네임을 가진 사람에게 에 적힌 문구를 보낸다. 이 명령어를 이용해 문자를 받으면 화면 오른쪽 하단에 Personal Message가 뜨는데 이를 누르면 에 적힌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Enter reply here..에 답신을 적어 Send를 눌러 보낼 수 있고 답신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면 Cancel을 누르거나 X표시를 눌러 창을 끌 수 있다. === :poll === 사용법은 :poll 이다. 이 명령어를 통해 에 입력한 닉네임을 가진 사람에게 에 적힌 문구를 보낸다. 위 :pm 명령어랑 다른것이 무엇이냐면, 위 :pm 명령어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고, 이 명령어는 투표를 하는 것이다. 투표 결과는 이 명령어를 작성한 사람에게 보여진다. === :tp === 사용법은 :tp 이다. 이 명령어를 통해 에 적힌 사람이 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무조건 플레이어의 이름을 적어야지 동작한다. 대신 에 적힌 사람이 가 서 있는 위치에서 바라보고 있는 위치로 약간 떨어져서 이동하기때문에 벽을 보고 사용하면 에 적힌 사람이 맵 밖으로 떨어지므로 사용시 주의하자. === :to === 사용법은 :to 이다. 명령어 작성자가 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명령어 역시 가 있는 위치에서 바라보고 있는 위치로 약간 떨어져서 이동하기 때문에 벽을 보고 사용하면 명령어 작성자가 맵 밖으로 떨어진다. === :bring === 사용법은 :bring 이다. 이 명령어를 통해 가 명령어 작성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명령어 역시 명령어 작성자가 있는 위치에서 바라보고 있는 위치로 약간 떨어져서 이동하기 때문에 벽을 보고 사용하면 가 맵 밖으로 떨어진다. === :team === 사용법은 :team 이다. 이 명령어를 통해 으로 직업을 바꾸게 된다. 사용후 리스폰을 한번 해야지 적용되므로 :respawn 명령어를 사용하여 리스폰 시켜주던지 직접 캐릭터 재설정을하여 적용시키면 된다. 참고로 에는 이동시키고 싶은 팀의 풀네임을 적여야 한다. [*:team사용예시 :team me Administrative Department]:team사용예시를 참고하자. === :info === 사용법은 :info 이다. 에 적힌 닉네임을 가진 사람의 계정 나이 정보와 멤버쉽 타입이 화면 중앙에 표시된다. === :hat === 사용법은 :hat 이다. 에게 에 해당하는 아이디를 가진 모자를 지급한다. === :joinlogs === 사용법은 :joinlogs 이다. 어떤 사람이 서버에 접속했는지 기록을 확인 할 수 있다. === :iteminfo === 사용법은 :iteminfo 이다. 에 해당하는 아이디를 가진 아이템의 정보를 보여준다 === :shutdownlogs === 사용법은 :shutdownlogs 이다. 어떤 사람이 이 서버를 언제 강제로 종료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getadmin === 사용법은 !getadmin 이다. 사용하면 게임 내에서 로벅스로 결제하는 화면이 나온다. === :view === 사용법은 :view 이다. 명령어 작성자가 의 화면을 관전한다. 시야는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 :unview === 사용법은 :unview 이다. 위 :view 명령어를 사용해서 관전하고 있던 화면을 종료하고 다시 명령어 작성자의 시야로 돌아온다. === !clear === 사용법은 !clear 이다. :hat 명령어로 지급된 모든 모자가 수급된다. === :refresh === 사용법은 :refresh 이다. 에 적힌 사람이 그자리에서 리스폰된다. 하지만 D계급 인원의 경우 이 명령어 사용시 사망한다. 같은 기능과 사용법인 명령어로 :ref가 있다. === !rejoin === 사용법은 !rejoin 이다. 공섭으로 서버를 재접속 한다. === :god === 사용법은 :god 이다. 에 적힌 플레이어는 무적이 된다. === :ungod === 사용법은 :ungod 이다. 에 적힌 플레이어는 무적이 해제된다. === :ff === 사용법은 :ff 이다. 에 적힌 플레이어는 무한한 포스필드가 생성된다. 여러번 사용하면 포스필드가 여러개 생성된다. === :unff === 사용법은 :unff 이다. 에 적힌 플레이어는 포스필드가 없어진다. === :play === 사용법은 :play 이다. 서버 내 모든 인원에게 에 맞는 노래를 재생한다. 여기서 는 붐박스에서 사용하는 그 아이디를 가져오면 된다. 는 써도 안써도 그만이다. === :volume === 사용법은 :volume 이다. 재생중인 사운드의 볼륨을 로 바꾼다. 사용법과 기능이 같은 명령어로 :vol 이 있다. === :stopsound === 사용법은 :stopsound 이다. :play 명령어로 실행시킨 음악을 이 명령어를 이용하여 끌 수 있다. === :countdown === 사용법은 :countdown 이다. 에 쓴 숫자만큼 카운트를 한다. 이 카운트가 끝난다고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tools === 사용법은 :tools 이다. 게임 내에서 명령어로 꺼낼 수 있는 아이템이름 목록이 나온다 === :guns === 사용법은 :guns 이다. 게임 내에서 명령어로 꺼낼 수 있는 총 이름 목록이 나온다. === :give === 사용법은 :give 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을 받는다. 이 명령어로 꺼낸 아이템은 사망할 경우 없어진다. === :startergear === 사용법은 :startergear 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을 받는다. 이 명령어로 꺼낸 아이템은 사망할 시에도 계속 유지된다. === :clearstartergear === 사용법은 :clearstartergear 이다. :startergear 명령어로 지급받은 무한 아이템을 모두 삭제한다. === :clear === 사용법은 :clear 이다. 메시지, 카운트다운 등 옵션들을 삭제 할 수 있다. 같은 기능과 사용법을 가진 명령어는 :clr 가 있다. === :heal === 사용법은 :heal 이다. 에 적은 닉네임을 가진 플레이어의 체력이 모두 회복된다. 무적과는 다른개념이다. === :viewtools === 사용법은 :viewtools 이다. 에 적은 닉네임을 가진 플레이어의 인벤토리 목록을 보여준다. === :go === 사용법은 :go 이다. 명령어 작성자는 다른 서버로 이동할 수 있다. === :boombox === 사용법은 :boombox 이다. 명령어 작성자에게 붐박스가 지급된다. === :goto === 사용법은 :goto 이다. 명령어 작성자는 에 작성한 위치로 이동한다, === :recontain === 사용법은 :recontain 이다. 에 입력된 일련번호를 가진 SCP는 즉시 격리[* SCP-966 에게는 사용이 되지 않는다.]된다. 여기서 에는 자신이 격리하고 싶은 SCP의 일련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 :nuke === 사용법은 :nuke 이다. 핵을 터트릴 수 있다. === :riot === 사용법은 :riot 이다. 현재 서버에 접속중인 D계급 인원 모두에게 UMP-45 총기 1자루가 무한으로 주어진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이 상태가 해제되며 D계급 인원 모두에게서 UMP-45 총기를 수급한다. === :exampleplugin === 사용법은 :exampleplugin 이다. :pm 명령어와 같이 화면 오른쪽 아래에 안내문이 표시된다. 이 안내문을 클릭하면 화면 중앙에 뭔가 뜨는 것 말고는 기능이 없다. === :announce === 사용법은 :announce 이다. 일반 서버에서 평의원들이 사용하는 명령어와 같다. === :meeting === 평의회만 사용할수 있으며, 모든 행정들이 어디에서 회의를 시작했는지 알수있다. === :morph === 사용법은 :morph이다. 이게임을 만든 회사의 다른 게임의 복장을 고를수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CP: Roleplay, version=976)] === :NTAG === :NTAG TEST (me 또는 상대방의 닉네임)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닉네임이 바뀐다. === :RTAG === :RTAG (Me 또는 사용자의 닉네임)을 사용하면 예 : E-11 Task Force Leader처럼 부닉네임이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