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CP)] |||| [[SCP재단|[[파일:SCP 재단 로고.svg|width=60]]]][[SCP 재단|{{{#000 {{{+3 '''SCP 재단'''}}}}}}]] || || '''일련번호''' || SCP-3074 || || '''별명''' || [[프란츠 카프카|카프카]]의 주차장 || || '''등급''' || [[SCP 재단/유클리드|유클리드(Euclid)]] || || '''원문''' || [[http://www.scp-wiki.net/scp-3074|원문]]/[[http://ko.scp-wiki.net/scp-3074|번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SCP-3074는 우크라이나 [[프리피야트]]에 위치한 이조토바란 이름의 지하 주차장으로, 끝을 알 수 없는 거대하고 많은 주차장 층, 승강기, 그리고 각 층에 있는 공중 전화형 호출기와 거기서 흘러나오는 목소리로 이뤄져있는 변칙 개체이다. == 상세 == 어째서인지 점점 지하로 내려갈수록 점점 비정상적인 차량 바리케이드들과 부서진 조명등이 관측된다. SCP-3074 내부에선 GPS 추적이 불가능하며, 휴대전화 및 무전기를 통한 교신은 가능하지만 불안정하다. SCP-3074-B라 명명된 이 지하 주차장들에 설치된 공중 전화들은 SCP-3074-C라고 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오며 SCP-3074-C는 우크라이나어로 "관할, 영역, 숫자 또는 문자."란 단어와 주차소를 이용해줘서 고맙다는 말만을 한다. 이 메크로 돌리는듯한 답변 사이사이에선 가끔씩 한숨 소리가 나오기도하며 피아노 소리도 들린다. 이 SCP-3074의 진가는 사실 녹취록에 있다. 사람이 점점 미쳐가며 SCP-3074-C의 목소리를 인격체로써 생각하며, 아무런 감정도 없이 메크로마냥 단어를 말하는 존재에게 각종 이야기를 하고, 자기 이야기를 들어줘서 고맙다던가 놀랐냐고 묻는등의 미쳐가는 사람을 녹취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느낌이 든다. == 해석 == 이러한 SCP-3074의 성질에 왜 [[프란츠 카프카]]의 주차장이란 이름이 붙었느냐에 대해선 조금 의견이 있었는데, SCP 한국 지부의 SCP-3074의 번역자는 카프카식 실존주의, 그러니까 가만히 있을뿐인 주인공을 죽도록 두들겨 패는 세상이라고 프란츠식 실존주의를 설명하며 소설 [[변신(소설)|변신]]의 예를 든다. 소설 변신에서 외판원인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는 왜 자신이 벌레가 되었는지 알지도 못한채 가족으로부터 무시당하며 결국 비극적으로 죽임을 당한다. 이 카프카식 실존주의에 SCP-3074를 대입하면 이 주차장 내부에 들어온 사람은 그레고르 잠자같은 부조리한 상황을 겪는 주인공, SCP-3074는 잠자가 변신한 이후에 맞이하게 되는 잔혹할 만큼 부조리하며 무논리한 상황을 뜻하는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의 작성자는 이런 것을 보아선 SCP-3074-B에게 희생양이 자신이 있는 영역, 숫자 또는 문자를 말한다거나 각종 불만, 이의를 제기한다 한들 SCP-3074는 희생양을 내보내지 않을 것 같다고 비극적인 해석을 하였다. [[분류:SCP-3000~3999]][[분류:유클리드 S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