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CP)] [include(틀:SCP/순서, 1=992, 1e=Gaia's Emissary, 1k=가이아가 보낸 자, 2=993, 2e=Bobble the Clown, 2k=광대 보블, 3=994, 3e=Some Silver Dishes, 3k=뭔 은색 원반들)] |||| [[SCP 재단|[[파일:SCP 재단 로고.svg|width=60]]]]{{{#000 {{{+3 '''SCP 재단'''}}}}}} || |||| [[파일:SCP-993.png|width=100%]] || |||| '''SCP-993의 '보블의 깜짝 주방' 에피소드의 정지 화면.'''[* 이것은 2018년 이후로 변경된 사진이다. [[https://zloczyncy.fandom.com/wiki/Klaun_Bobble|과거 사진의 보블]]은 모습이 좀 더 현실적이였고 칼도 들지 않은 모습이였다. 더불어 그냥 전형적인 광대 분장을 한 사람에 가까웠던 이전 사진과 달리 2018년 이후부터 바뀐 현재 사진은 애들 만화에 가까운 그림체이지만 누군가를 공격적으로 덮치는 모습에 가깝고 보블의 표정도 약간 광기에 가득 찬 것 같은 표정이다. 유치하게 바뀌었다고 아쉬워 하는 사람도 있지만, 훨씬 아동만화답게 바뀌어 설정에 걸맞아졌다는 평도 있다.] || || '''일련번호''' || SCP-993 || || '''별명''' || 어릿광대 보블(Bobble the Clown) || || '''등급''' || 안전(Safe) || || '''원문''' || [[http://www.scp-wiki.net/scp-993|원문]] / [[http://ko.scp-wiki.net/scp-993|번역]] || [목차] == 개요 == [[SCP 재단]]에서 전파 송출을 막고 녹화해서 보관해 두고 있는 정체불명의 TV 프로그램. == 특징 == 겉보기에는 '어릿광대 보블'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뽀뽀뽀]]나 [[꼬꼬마 텔레토비]]와 같은 평범한 유아교육 TV프로그램처럼 보인다. 처음 시작하는 장면도 일단은 평범하다. 하지만 우선 나이가 10세 이상인 사람이 이 프로를 시청할 경우 무조건 기절하며, 방송이 끝난 후에나 깨어나게 되고 격심한 두통을 호소한다. 그러므로 10살이 안 된 어린 아동들만이 이 방송을 볼 수 있는데, 어릿광대 보블은 어른들이 기절한 사이 이런 아동들에게 '''[[식인]], [[고문]], [[살인]]과 같은 극악무도한 흉악범죄를 직접 실행해 보여주면서 가르친다.''' 이 때에도 물론 유아교육 방송같은 말투와 행동을 유지한다. 어느 정도의 [[세뇌]] 효과까지 있어서, 이 방송을 반복적으로 시청한 아동들은 영구적으로 정신이 망가지게 된다. 일단 이 방송을 시청한 아동들을 찾아내면 프로그램 내용을 알기 위해 심문한 후, 기억 소거제를 사용해 이 방송의 기억을 지워야 한다. 위험성만 따지면 케테르급처럼 보이겠지만, 해당 물체의 위험도와는 상관없이 격리가 쉽냐 어렵냐에 따라 등급을 결정하는 SCP 재단의 성격상, 해당 방송은 이미 송출을 전부 중단시켰고 방송을 녹화한 자료까지 모두 안전하게 보관하는 중이다, 그러므로 안전 등급을 먹은 것. 그런데 SCP 재단의 노력으로 이 방송의 송출이 중단된 이후 방송의 내용이 이상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에피소드 내내 보블이 TV화면 속의 빈 방에서 의자에 앉아서 시청자 쪽을 화가 난 채로 응시하더니, 이후에는 '''방송의 무대가 [[SCP 재단]] 내로 변한다.''' 그리고 보블이 이번에 설명하는 것은 '''SCP 재단의 보안을 뚫는 방법, 주요 연구원들의 습관과 그들을 살해하는 방법이었다.''' --[[혼돈의 반란]]이 이 영상을 좋아합니다-- == 소설 문서에서 == * [[http://www.scp-wiki.net/behind-the-scenes|무대 뒤에서]] ([[http://ko.scp-wiki.net/behind-the-scenes|무대 뒤에서(번역)]]) > '''웃어. 방송 탔잖아!''' 광대 보블이 재단에 의해 격리되자 직접 실체화되어 나타난 뒤 박사를 살해하는 내용의 소설이다. 그런데 이게 실제로 있었던 일이라고 하기가 애매한게, 보블이 카메라보고 웃으라고 하거나 박사가 총을 갈겨도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고[* 보블이 맞아도 멀쩡했다는 뜻이 아니다. 총알이 그냥 소멸해버렸다는 뜻이다.], 박사가 정말로 어딘가를 보며 어설프게 웃는 등의 흡사 방송 프로그램같은 상황을 보인다. 이후 해당 박사는 재단 내에서 실종. 후에 이 소설은 [[볼건]]에 의해 [[http://www.youtube.com/watch?v=JWH2g8Ox7bo|영상화 되었다.]] 안타깝게도 영상물은 아니고 그냥 음성만 나온다. SCP-993은 [[영국식 영어|영국식 악센트]]를 사용하며, '''자신의 역사는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왔다고 한다.''' ~~니가 무슨 [[페니와이즈]]냐~~ 자신의 목적은 괴담 속 두려운 존재가 되고 싶어하는 것인 듯 하다. == 타 SCP와의 접점 == * [[SCP-914]]: SCP-993의 얼굴이 그려진 그림을 고움 설정으로 돌렸더니 눈은 튀어나와 있고 날카로운 송곳 같은 이빨이 가득한 형체가 나왔으며, 매우 고움 설정으로 돌렸더니 살아 움직이는 SCP-993의 [[종이모형|페이퍼 크래프트]]가 나와 해당 사진을 테스트한 W요원에게 들러붙어 여러차례 찰과상을 입혔다. 결국 페이퍼 크래프트는 떼어낸 후 소각처리 되었다. * MZL-1730: SCP가 아닌 이야기. SCP와 SCP 재단의 상황이 역전된 평행세계다. MZL은 '''M'''an '''Z'''oo '''L'''eague(사람 동물원 연맹)의 약자. 여기서 SCP-993은 감독보블(OverBobble)로 등장한다. 이것 말고도 굉장히 골때리는 것이 많은데, [[SCP-682]]는 감독관 앙그리 리자드 박사로 등장하고. [[SCP-106]]은 고통고역 담당 부감독관 스크랜턴 올드맨 박사로, [[SCP-1000]]은 장기간 앙심 담당 부감독관 빅 풋(Bihg Füt) 박사로, [[SCP-3000]]은 세뇌 담당 부감독관 랑 일(Lahng Eel) 박사로, [[SCP-963]]은 배상 담당 부감독관 잭 브라이트 박사로,--얘는 바뀐거 없는듯-- [[SCP-076|아벨]]은 특무부대 담당 부감독관이 되어 있다. * [[SCP-1730]]: 평행세계에서 전이된 재단의 13번 기지. 재단이 세계 오컬트 연합에 합병당한 뒤 잘못된 관리와 무분별한 파괴로 폭주하여 전이된 재단 기지의 생존자를 구출하는 내용이다. SCP-993은 맛이 간체로 TV 안의 공간에 감금된 채로 발견되며 기지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설명해준다. 이야기에 따르면 잡히고서는 고문과 실험을 당했으며 그마저도 SCP-993은 운이 좋은 축에 속했다고. == 기타 == 서양에서는 [[광대]]에게 공포를 느낀다는 사람이 매우 많고, 아예 '[[광대공포증]]'이라는 공포증도 있는데, 이 SCP는 그 문화, 그리고 스티븐 킹의 소설 [[그것(소설)|그것]]을 반영하는 듯하다. 본 SCP와 유사하게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마블 코믹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 등의 캐릭터를 이용해 어린이용 채널로 위장한 채 스카톨로지, 살인 등의 비윤리적인 소재를 다루는 동영상을 대량 업로드하는 통칭 [[엘사게이트]]라 불리는 기괴한 채널들이 2017년 들어 대량 발견되고 있다. 2022년에는 보블과 유사하게 어린이 교육용 애니메이션을 소재로 한 공포게임인 [[Amanda the Adventurer]]가 발매되기도 했다. 그리고 겉만보면 그냥 애들보는 만화에다가 오프닝도 정상적인데 정작 내용은 캐릭터간의 [[장기자랑(은어)|장기자랑]]을 일삼는 [[고어물]] 애니메이션이 [[Happy Tree Friends|실제로 제작된 전례가 있다.]] 다만 이 애니는 전체관람가가 아니다. 게다가 해당 애니는 악의적인 목적이 있는게 아닌 풍자물에 좀 더 가깝다. [[분류:안전 SCP]][[분류:SCP-00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