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현대자동차그룹]] [목차] [include(틀:현대자동차그룹)] '''SDV (Software Defined Vehicle)''' == 개요 == || [[파일:SDV.jpg|width=100%]] || SDV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자동차를 뜻하며, 소프트웨어가 자동차의 주행 성능은 물론 편의 기능, 안전 기능, 차량의 감성 품질 및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까지 규정한다. 크게 OTA 업데이트와 통합 ECU, 차량용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등으로 구성되는 전자 아키텍처, 모빌리티 및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통합하고 서드 파티 사업자까지 고려한 서비스 플랫폼 등으로 구성된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SDV를 통해 ECU의 공용화와 소프트웨어 내재화로 차량 개발비 절감이 가능하며, 전자 아키텍처 기반의 고성능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해 자율 주행 기술 고도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OTA 업데이트를 활용해 운전자에게 신규 서비스 및 차량 성능 향상 효과를 제공한다. == 현황 == === 현대자동차그룹 === ||[youtube(c31cf2lO0-E)]|| 2022년 10월 12일, Unlock the Software Age 행사를 개최하고 SDV 기술과 새로운 모빌리티 산업의 비전을 공개했다. [[https://hyundai.co.kr/live/unlock-the-software-age?fbclid=IwAR2pnHDUFdzlIVC6BPfLUch3rfhA3-G_xWcPtpVADn7NC9SBiE40XDxVjS4 | Unlock the Software Age]] 현대자동차그룹은 2025년까지 모든 차종에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며, 차세대 공용 플랫폼 개발 및 기능 집중형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제어기를 통합해 SDV 전환을 진행한다. 또한, 2025년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M 및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 eS를 선보인다. eM과 eS 플랫폼은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체계를 기반으로 개발된다. 더불어, 현대자동차그룹은 ccOS 및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차량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생성되는 데이터를 서로 결합 및 가공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하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 설립, 소프트웨어 경쟁력 향상을 위한 18조 원 투자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 함께 보기 ==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참고 문헌 == *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59630&code=11151400&cp=nv |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잡아라”… 현대차, 경쟁력 확보 총력전]] * [[https://www.hyundai.co.kr/story/CONT0000000000016049 | SDV의 초석을 다지는 커넥티드카 OS 개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