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include(틀:관련 문서, top1=2022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 [include(틀: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역대 시즌)] ||<-11> '''{{{#fff 2022 KRPL 시즌1 경기 결과표}}}''' || ||<|2> {{{#white '''라운드'''}}} ||<-7> {{{#white '''본선'''}}} ||<-3> {{{#white '''포스트시즌'''}}} || ||<-7> {{{#white '''8강 풀리그'''}}} ||<|8> {{{#white '''8[br]강[br]최[br]종[br]순[br]위'''}}} || {{{#white '''와일드카드전'''}}} || {{{#white '''준플레이오프'''}}} || || {{{#white '''팀'''}}} || [[파일:2022-1 KHI KRPL.png|width=35]] || [[파일:2022-1_FLUSH_KRPL.png|width=35]] || [[파일:2022-1 TXP KRPL.png|width=35]] || [[파일:2022-1 RnG KRPL.png|width=35]] || [[파일:2022-1 ETN KRPL.png|width=35]] || [[Team GP/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파일:Team_GP_logo.png|width=35]]]] || [[게임코치|[[파일:game_coach_logo.jpg|width=35]]]] || [[파일:2022-1 ETN KRPL.png|width=35]] || [[파일:2022-1 KHI KRPL.png|width=35]] || || {{{#white '''날짜'''}}} || 4/21 || 5/1 || 5/12 || 5/19 || 5/26 || 5/29 || 6/2 || 6/5 || 6/9 || || {{{#white '''세트 승'''}}} || 0 || 2 || 1 || 2 || 2 || 1 || 0 || 2 || 1 || || {{{#white '''세트 패'''}}} || 2 || 1 || 2 || 0 || 0 || 2 || 2 || 1 || 2 || || {{{#white '''트랙 승'''}}} || 2 || 6 || 3 || 6 || 6 || 4 || 2 || 6 || 5 || || {{{#white '''트랙 패'''}}} || 6 || 3 || 4 || 1 || 2 || 5 || 6 || 5 || 7 || || {{{#white '''결과'''}}} || 패 || 승 || 패 || 승 || 승 || 패 || 패 ||<|5> '''준플레이오프 진출''' ||<|5> '''4위''' || || {{{#white '''전적'''}}} || 0승 1패 || 1승 1패 || 1승 2패 || 2승 2패 || 3승 2패 || 3승 3패 || 3승 4패 || {{{#white '''3승 4패'''}}} || || {{{#white '''세트 득실'''}}} || -2 || -1 || -2 || 0 || +2 || +1 || -1 || {{{#white '''-1'''}}} || || {{{#white '''트랙 득실'''}}} || -4 || -1 || -2 || +3 || +7 || +6 || +2 || {{{#white '''+2'''}}} || || {{{#white '''순위'''}}} || 5 || 4 || 6 || 5 || 4 || 5 || 5 || {{{#white '''5'''}}} || 12월 28일 김지민[* 수신호]선수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종료하였고, 1월 12일 은퇴하였다. 12월 30일 [[박인재]] 감독과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종료하였다. 1월 16일 [[김강현(프로게이머)|김강현]][* 앱솔],곽도윤[* 제로]선수와 상호 합의 하에 계약을 종료하였으며, 2월 7일 SGA 인천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두 선수 모두 2021-2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였음이 알려졌다. 1월 21일 조은별 매니저가 퇴사하였다. 2월 9일 [[신동이]], [[이승연(프로게이머)|이승연]] 선수를 영입하였다. 이번 시즌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SGA 인천]]의 숙제는 '''팀워크'''일 것이다. 그런데 [[신동이]]와 [[이승연(프로게이머)|이승연]]은 둘이서 같은 팀이었기에, 기존 SGA 인천 선수들과 호흡을 맞추면 [[게임코치]], 팀 GP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것이다. 16강 1경기에 [[여인정]]선수가 출전하게 된다. 다행히도 순위 결정전 끝에 3위로 마무리했다. 그런데 예측과는 달리 [[크크하이]]에게 2:0으로 '''패배'''하게 된다. 이번 경기 패배가 SGA 인천 팬들에게는 다소 충격적인 결과일 수 있다.[* --'''[[크크하이]]는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2022-2|다음 시즌 스가]]의 전신이다!'''--] FLUSH를 상대로 2:1로 승리하게 된다. [* --[[최준영(프로게이머)|미래의 주장님]]이 이 팀에서 오게 됩니다.--] 그 다음경기 XPLAIN팀에게 2:1으로 '''패배'''하게 된다. 다음경기인 런앤고팀에게 2대0으로 승리를 한다. [* --[[이승민(e스포츠)|미래의 감독님]]이 이 팀에서 오게 됩니다.--] 그 다음 경기부터는 1팀은 무조건 이겨야 포스트시즌에 진출한다.[* 팀 이터널에게 지면 그 다음상대는 [[게임코치]]와 Team GP이기 때문에 포스트시즌 진출이 힘들어진다.] [[이진건]]이 말하길 이번시즌 끝나고 SGA 인천 팀이 해체된다고 한다.[* 2022-1 도중 스폰도 끊기게 되었다.] [* --[[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2022-2|그러나 해체는 없었다!]]--] 다음 경기 에서는 Team ETERNAL에게 2대0으로 승리해서 포스트 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 다음 경기인 [[게임코치]]에게 2대0으로 패배해 5위로 와일드카드전에 진출했다. 와일드카드전에서 Team ETERNAL에게 2대1로 승리해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어지는 개인전에서 [[이진건]]이 결승전에 진출했다. 준플레이오프에서 [[크크하이]]에게 2대1로 패배하고 탈락해서 '''[[놈은 사천왕 최약체지|3강 프로팀 최약체]]'''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고 3강 프로팀의 자존심도 박살났다. [[박인재]] 감독이 이탈한 것에 대한 영향으로 4위로 하락되었다.[*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지고|작전도 없고, 사기도 떨어지고, 멘탈 관리를 해주는 사람도 없기 때문에 팀합이 무너지고 컨디션도 나빠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개인전은 [[이진건]]이 3위로 입상했다. [[분류:SGA 인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GA 인천/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version=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