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SK]][[분류:대한민국의 에너지 관련 기업]][[분류:대한민국의 중공업 회사]][[분류:대한민국의 조선 회사]][[분류:대한민국의 방위산업체]][[분류:코스피상장법인]][[분류:경상남도의 기업]][[분류:고성군(경상남도)]] [include(틀:SK)] ||<-3> '''{{{+1 {{{#ffffff SK오션플랜트 }}}}}} [br] {{{#ffffff SK oceanplant Co.,Ltd.}}}''' || ||<-3> [[파일:SK오션플랜트 CI.png|width=200]] || ||<|2> '''기업명''' ||<-2>'''정식''': 에스케이오션플랜트 주식회사 || ||<-2>'''영어''': SK oceanplant Co.,Ltd. || || {{{#ffffff '''설립일'''}}} ||<-2>[[1996년]] [[11월 29일]] (㈜동원)[br][[2023년]] [[2월 1일]] (SK오션플랜트) || || {{{#ffffff '''모기업'''}}} ||<-2>[[SK에코플랜트|[[파일:SK에코플랜트 로고.svg|width=100]]]] || || {{{#ffffff '''업종명'''}}} ||<-2>강관 제조업, 해상풍력사업, 조선업 등 || || {{{#ffffff '''상장시장'''}}} ||<-2>[[유가증권시장]] ^^(2023년 코스피 이전 상장)^^ || || {{{#ffffff '''종목코드'''}}} ||<-2>100090 || || {{{#ffffff '''매출액'''}}} ||<-2>6,918억 3,013만원 ^^(2022)^^ || || {{{#ffffff '''영업이익'''}}} ||<-2>516억원 ^^(2022)^^ || || {{{#ffffff '''당기순이익'''}}} ||<-2>249억원 ^^(2022)^^ || || {{{#ffffff '''기업규모'''}}} ||<-2>[[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ffffff '''본사'''}}} ||<-2>[[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동해면 내산3길 51-1 || || {{{#ffffff '''대표자'''}}} ||<-2>이승철|| || {{{#ffffff '''홈페이지'''}}} ||<-2>[[https://www.skoceanplant.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오션플랜트 고성 본사.jpg|width=100%]]}}}|| ||<-2> '''{{{#fff SK오션플랜트 경남 고성 본사}}}'''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에 위치하며 강관 제조업, 해상풍력 발전 사업, 조선업 등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대기업으로, [[SK그룹]]의 계열사이며 [[SK에코플랜트]]를 모기업으로 두고 있다. 현재 아시아 1위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조사이다. == 연혁 == === 삼강엠앤티 === 1996년 11월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동원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시작한 이 회사는 1999년 송무석 前 대표이사가 경영권을 인수하면서 ''''삼강특수공업㈜''''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비약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고압용 배관과 해양 공사 등에 사용되는 '''후육강관'''을 국산화시킨 최초 기업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특히 해양 공사용 파이프 부문에서 특수 공법을 개발해 도입 2년 만에 국내시장 9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이를 바탕으로 [[HD현대중공업]] 등 국내 BIG3 조선사들에 조선, 해양용 파이프 등을 납품했으며 이후 조선업 호황기이던 2007년에 경남 고성군 현 본사가 위치한 지역에 조선산업특구 사업자로 나서 조선 블록 공장을 지어 [[한화오션|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에 메가 블록들을 납품하면서 선체 블록 및 조선기자재 제조 도소매 사업을 추가했다. 2008년에는 ''''삼강엠앤티''''로 사명을 변경하고, [[코스닥]] 주식 시장에 신규 상장을 하였고 2010년 본사를 밀양에서 고성군 현 본사로 위치를 옮겼다. 대형 [[조선사]]들의 [[해양 플랜트]] 사업이 절정일 때 이 회사도 해양플랫폼 자켓 등을 납품해 2016년에는 무역의 날 '7,0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2017년 고성조선해양(現 삼강에스엔씨)을 인수하면서 '''방산업체로 지정'''되었고, 바로 1500t급 해경 경비함을 수주 받기도 했다. 이어 2019년에는 [[케이조선|STX조선해양]]의 방산 부문을 인수해 군함 및 해경함 건조 사업에도 본격 진출한다. [[조선업]] 불황기에 해외로부터 [[해상풍력발전]] 구조물들을 수주받아 해상풍력 사업에도 진출해 국내 최초로 해상풍력 구조물 수출을 시작했고 국내 해양 플랜트 전문 기업으로 거듭난다. 한편 2021년 11월, [[SK그룹]]의 친환경 중심의 ESG 경영 방침에 의해 인수 대상 물망에 올라 [[SK에코플랜트]]가 약 4,600억 원의 투자를 통해 경영권을 인수해 자회사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4880710?sid=101|편입]]했다. 이어 2023년 2월 1일부로 ''''SK오션플랜트''''로 상호와 CI를 [[https://www.sentv.co.kr/news/view/644835|변경]]했으며, 4월에는 [[코스피]] 시장에 이전 상장했다. 현재 해상풍력발전 하부구조물 제작에 있어 아시아 1등 회사이기도 하다. === 삼강에스엔씨 === 이 회사는 1985년 2월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설립된 [[삼성중공업]]의 하청업체 '''㈜혁신기업'''이 모체인 기업으로, 선박 데크하우스를 삼성중공업에 납품한 것을 시작해 현대중공업에는 해치커버 등을 납품하는 업체였다. 이후 2009년 본사와 공장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동해면 장좌리로 신축 이전해 크레인과 안벽 등 시설들을 확충하고, 데크하우스와 엔진케이싱 등 블록과 기자재 등을 대형 조선소에 납품하는 블록 전문 제작 기업으로 발전한다. 2011년, [[케이조선|STX조선해양]]이 블록 자체 조달 능력 향상 등을 위해 자회사로 인수해 '''고성조선해양㈜'''으로 [[https://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370|변경]]되었고, 2014년에는 16,000TEU 컨테이너선을 건조해 신조 사업에도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모기업 STX조선해양이 회생절차를 밟으면서 2016년 7월 이 회사 역시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 11월에 매각 시도가 한 번 있었으나 무산되기도 했다. 해가 바뀌어 2017년 11월에 삼강엠앤티에 의해 1,000억 원의 금액에 인수되어 '''삼강에스엔씨'''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이 회사를 선박 건조, 수리 등을 하는 종합 조선소로 키우기 위해 수리 사업을 하는 등 확대하였다. 이후 삼강엠엔티가 SK오션플랜트로 되면서 삼강에스엔씨도 SK오션플랜트의 자회사로 존속되었으며, 현재 인수합병 논의 중에 있다. == 지배구조 == 2023년 4월 기준. ||
{{{#white '''주주명'''}}} || {{{#white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SK에코플랜트]] || 30.61%||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송무석[* 前 삼강엠앤티 회장] 외 4인 || 23.05%|| == 사업부 == === 해양사업부 === SK에 인수되기 이전인 2012년 [[해상풍력발전]]기용 지지 장치의 특허 등을 취득하는 등 해상풍력 구조물 제작에서 독보적인 능력을 보이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2019년 벨기에, 덴마크 회사와 해상풍력 하부 자켓을 제작, 수출한 것을 시작으로 2021년 일본, 대만에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을 수출하면서 회사 매출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울산 앞바다에 조성되는 1.5GW급 ‘귀신고래3’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기본설계 시행 컨소시엄에 선정되어 국내 시장에서도 본격 진출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삼강엠앤티 시절 합병했던 '삼호조선해양'의 부지에 대규모 해상풍력 제조 시설과 신사옥을 건설하려고 하는데 이 규모는 현재 SK오션플랜트 야드의 약 3배 규모이다.(2027년 완공)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오션플랜트 양촌·용정지구 신야드 조감도.jpg|width=100%]]}}}|| ||<-2> '''{{{#fff SK오션플랜트 양촌·용정지구 157만㎡ 부지 신야드 조감도}}}''' || === 조선사업부 === 조선 부문에서도 역시 SK에 인수되기 전부터 '''[[방위산업체]]'''로 지정되어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경비함을 수주받은 것을 시작으로, 2019년 [[케이조선|STX조선해양]]의 방산 부문을 인수해 본격적으로 사업에 나서 2022년 [[대한민국 해군]]의 FFX Batch-III 사업에 참여해 [[충남급 호위함]] 3척을 수주받아 2026년부터 인도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해경 경비함 및 경비정과 관공선 수주 등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회사가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가공 공장과 2개 야드를 보유하고 있고 일부 종류의 선박을 13척이나 신규 건조했던 경험이 있으며 최근 [[조선업]]의 사이클이 호조세를 보임에 따라 대형 [[조선사]]들의 단위 블록 제작이나 PC선, 소형 컨테이너선 등의 신조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강관사업부 === 강관사업 또한 이미 2000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후육강관을 국산화 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사의 해상풍력/조선 사업에 지원하는 강관 및 조선/해양용 파이프 제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맞춤형 강관을 제작/수출했던 경험이 많아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 할 것으로 전망된다. == 사업장 == * 본사: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내산3길 51-1 * 기술교육원: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조선특구로 1998-18 * 서울영업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길 19 수송스퀘어 * 삼강에스엔씨: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조선특구로 740 * 가공공장: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조선특구로 2029 * 장좌공장: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157 * 밀양공장: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양동농공단지길40 == 기타 == * 이 회사는 다른 [[조선사]]/[[해양 플랜트]] 업체와는 달리, 경영난이나 회사 부도에 따라 인수된 것이 아닌 게 특징이다. 인수 당시 오너였던 송무석 삼강엠앤티 회장이 회사의 발전을 위해 경영권을 포기하면서까지 [[SK]]에 투자 유치하여 계열사화 한 것이 이색적이다. * 2008년 [[코스닥]] 주식 시장에 상장했다가, 2023년 [[코스피]] 주식 시장에 이전 상장한 이력이 있다. 이는 기업가치 제고를 통해 투자금 유입을 기대해서 변경한 것이다. 이전 상장 전에는 '조선업'으로 분류되었으나, 코스피 이전 상장 이후에는 '강관 제조업'으로 분류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