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결승전)]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3>
[[파일:image_readtop_2011_757852_1322012602517926.jpg|height=90]] || ||<-3>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 || '''대회 기간''' ||<-2> [[2011년]] [[11월 26일]] ~ [[2012년]] [[4월 8일]] || || '''정규시즌 지방 투어 장소''' ||<-2> 부산 [[BEXCO]][* 이 당시 [[WCG]] 2011 그랜드 파이널이 개최됐다.] || || '''결승장소''' ||<-2>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 || || '''스폰서''' ||<-2> SK플래닛 || ||<-3> '''결과''' || || '''우승''' ||<-2>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 || '''준우승''' ||<-2>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 [목차] == 특이사항 == *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지난 시즌]]까지 스폰서를 맡았던 [[신한은행]]의 계약 만료[* 사실 신한은행의 스폰서 계약은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지지난 시즌]]이 마지막이었지만, 어쩌어찌해서 딱 한 시즌 더 맡게 되었다.]로 SK플래닛이 새 스폰서가 됨. 따라서 프로리그명도 '신한은행 프로리그'가 아닌 'SK플래닛 프로리그'가 됨. * 지난 시즌 프로리그에서 사용된 7전 4선승제 방식의 대전이 5전 3선승제로 다시 복귀. 대신 [[에이스 결정전]] 폐지.[* 단, 포스트시즌은 그대로 7전제로 진행되며, 에결도 유지.] *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부터 사용된 1년 단위 시즌에서 다시 2개의 반 년 단위 시즌으로 변경. * 반년단위 시즌은 3개 라운드로 구성. * [[위너스 리그]] 폐지, 그랜드 파이널 없음. * 군인 팀인 공군을 제외한 기업 팀들 중 지난 시즌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팀들인 [[화승 오즈]]와 [[MBC GAME HERO]], [[위메이드 폭스]]의 해체 및 이에 따른 대책[* 각 팀의 우수 선수들과 추가 보호 선수들이 합류하였다.]으로 새로 생겨난 [[제8게임단]]의 창단으로 프로리그 참가 팀이 8개로 줄어듦. 따라서 포스트시즌 진출 팀도 기존의 6팀에서 4팀으로 축소.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이후로 4시즌만에 6강에서 4강으로 돌아왔다. * [[MBC GAME]]의 [[MBC M|폐국 예정]]으로 인해 [[온게임넷]]의 단독 중계. 이에 따라 [[용산 e-Sports 스타디움]] 단 한 곳에서만 모든 경기가 펼쳐짐. * MBC GAME에서 [[스타크래프트]] 해설을 맡았던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과 [[유대현]]이 온게임넷으로 이적하여 해설을 맡음. * 인터넷 중계는 온게임넷에서 제공하는 라이브 서비스를 제외하면 [[네이트]] 스포츠에서만 제공 * 주말은 낮 12시(더블 헤더), 화요일과 수요일은 오후 8시 경기 * 1라운드 때 평일 경기는 오후 4시였으나, 2라운드 접어들면서 오후 8시로 변경 * 12월 6일과 7일은 [[WCG]] 준비 관계로 조진용 옵저버가 [[부산광역시]]에 내려가서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해설과 [[박태민]] 해설이 각각 특별 옵저버를 맡음. * 보기 편한 화면을 위해 자막 등에 하늘색과 흰색 등 밝은 색을 사용했고, 또한 보다 큰 글씨 등을 중점적으로 사용. * 게이머 소개와 승리 시 고유의 BGM 사용. * 포스트시즌 방식이 오랜만에 변경되었는데, 먼저 3위 팀과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준플레이오프의 승자가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다시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1위 팀과 결승을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됨. * 포스트시즌은 7전 4선승제에 에이스 결정전이 있는 방식으로 진행됨. * kt 롤스터가 10-11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때와 유사하게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서 결승전에 진출. 그에 따라 3년 연속으로 결승전에서 SK텔레콤 T1과 kt 롤스터가 격돌. * 4월 8일 결승전에서 SK텔레콤 T1이 kt 롤스터를 세트 스코어 4:3으로 꺾으면서 SK텔레콤 T1이 우승. ~~[[홍진호|KT는 이걸로 정규리그 우승도 2회]].~~ * KT는 저그라인에서 세 세트를 따냈으나 최종병기 [[이영호]]가 2패, --[[홍진호|콩]]의 저주-- 신형병기 [[김대엽]]이 1패를 하면서 준우승. ~~이로써 더블병기 폐기.~~ * 세 번째로 팀 단위 리그 정규시즌 지방 투어가 시행되었다. 12월 8일 7회차 CJ 엔투스 vs 삼성전자 칸의 경기와 12월 9일 8회차 SK텔레콤 T1 vs kt 롤스터의 경기가 동 시기 [[WCG]] 2011과 함께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14&aid=0002556951|부산 e스포츠 페스티벌]]로 묶여 부산 BEXCO에서 벌어졌다. 경기 결과는 [[https://news.joins.com/article/6907674|7회차는 CJ의 3:2 승리]], [[http://www.dailyesports.com/view.php?ud=201112092004460053242_27&mobile=1|8회차는 SK텔레콤의 3:1 승리]]. *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이후 5시즌만에 [[일요일]]에 결승전이 개최. == 오프닝 == [[http://www.youtube.com/watch?v=LL5fD3zeXNI|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오프닝 링크]][* BGM : 림프 비즈킷 - Shotgun.] [[http://www.youtube.com/watch?v=rHym_razhqc|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결승전 오프닝 링크]] == 사용 맵 == * 1라운드, 2라운드: [[체인 리액션(스타크래프트)|체인 리액션]](Chain Reaction), [[아웃라이어(스타크래프트)|아웃라이어]](Outlier), [[일렉트릭 써킷]](Electric Circuit), [[그라운드 제로(스타크래프트)|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 [[제이드(스타크래프트)|제이드]](Jade), [[저격능선]] * 3라운드: [[체인 리액션(스타크래프트)|네오 체인 리액션]](Neo Chain Reaction), [[아웃라이어(스타크래프트)|네오 아웃라이어]](Neo Outlier), [[일렉트릭 써킷|네오 일렉트릭 써킷]](Neo Electric Circuit), [[그라운드 제로(스타크래프트)|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 [[제이드(스타크래프트)|제이드]](Jade), [[저격능선]] == 순위 == ||순위||팀||승||패||득실||벌점|| ||1||[[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13||8||+18(51-33)|| || ||2||[[삼성전자 칸]]||13||8||+5(45-40)|| || ||3||[[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12||9||+11(50-39)|| || ||4||[[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11||10||+4(44-40)|| || ||5||[[웅진 스타즈]]||11||10||-4(45-49)||1|| ||6||[[STX SouL]]||10||11||-6(43-49)|| || ||7||[[제8게임단]]||8||13||-6(41-47)||1|| ||8||[[공군 ACE]]||6||15||-22(31-53)|| || (노랑:결승 직행, 초록:플레이오프 직행, 파랑:준플레이오프 진출) == 상세 == ||<-5>
준플레이오프 1차전(2012.3.17)|| ||주성욱 P||패||<:>그라운드 제로||승||<)>조병세 T|| ||이영호 T||승||<:>네오 일렉트릭 써킷||패||<)>김준호 Z|| ||김성대 Z||승||<:>저격능선||패||<)>김정우 Z|| ||고강민 Z||승||<:>네오 아웃라이어||패||<)>신동원 Z|| ||김대엽 P||승||<:>제이드||패||<)>신상문 T|| ||-|| ||<:>네오 체인 리액션|| ||<)>-|| ||ACE|| ||<:>그라운드 제로|| ||<)>ACE|| ||'''kt 롤스터'''||4||<:>'''결과'''||1||<)>CJ 엔투스|| ||<-5>
준플레이오프 2차전(2012.3.18)|| ||고강민 Z||승||<:>네오 아웃라이어||패||<)>김정우 Z|| ||김성대 Z||승||<:>제이드||패||<)>장윤철 P|| ||이영호 T||패||<:>저격능선||승||<)>이경민 P|| ||임정현 Z||패||<:>네오 체인 리액션||승||<)>김준호 Z|| ||김대엽 P||패||<:>그라운드 제로||승||<)>신상문 T|| ||주성욱 P||패||<:>네오 체인 리액션||승||<)>신동원 Z|| ||ACE|| ||<:>네오 체인 리액션|| ||<)>ACE|| ||kt 롤스터||2||<:>'''결과'''||4||<)>'''CJ 엔투스'''|| ||<-5>
준플레이오프 3차전(2012.3.20)|| ||김성대 Z||승||<:>그라운드 제로||패||<)>김정우 Z|| ||고강민 Z||승||<:>네오 아웃라이어||패||<)>신상문 T|| ||이영호 T||승||<:>저격능선||패||<)>이경민 P|| ||임정현 Z||승||<:>네오 체인 리액션||패||<)>신동원 Z|| ||-|| ||<:>제이드|| ||<)>-|| ||-|| ||<:>네오 일렉트릭 써킷|| ||<)>-|| ||ACE|| ||<:>그라운드 제로|| ||<)>ACE|| ||'''kt 롤스터'''||4||<:>'''결과'''||0||<)>CJ 엔투스|| ||<-5>
플레이오프 1차전(2012.3.24)|| ||송병구 P||승||<:>네오 아웃라이어||패||<)>주성욱 P|| ||신노열 Z||패||<:>저격능선||승||<)>고강민 Z|| ||이영한 Z||승||<:>네오 체인 리액션||패||<)>김성대 Z|| ||허영무 P||패||<:>그라운드 제로||승||<)>이영호 T|| ||김기현 T||패||<:>제이드||승||<)>김대엽 P|| ||유병준 P||승||<:>네오 일렉트릭 써킷||패||<)>임정현 Z|| ||송병구 P||패||<:>네오 아웃라이어||승||<)>김대엽 P|| ||삼성전자 칸||3||<:>'''결과'''||4||<)>'''kt 롤스터'''|| ||<-5>
플레이오프 2차전(2012.3.25)|| ||박대호 T||패||<:>그라운드 제로||승||<)>김성대 Z|| ||송병구 P||승||<:>네오 아웃라이어||패||<)>김대엽 P|| ||임태규 P||패||<:>네오 체인 리액션||승||<)>임정현 Z|| ||허영무 P||패||<:>제이드||승||<)>이영호 T|| ||신노열 Z||승||<:>저격능선||패||<)>주성욱 P|| ||이영한 Z||패||<:>네오 일렉트릭 써킷||승||<)>고강민 Z|| ||ACE|| ||<:>그라운드 제로|| ||<)>ACE|| ||삼성전자 칸||2||<:>'''결과'''||4||<)>'''kt 롤스터'''|| ||<-5>
결승전(2012.4.8)|| ||김택용 P||승|| 네오 체인 리액션 ||패|| 주성욱 P|| ||정명훈 T||승|| 그라운드 제로 ||패|| 이영호 T|| ||어윤수 Z||패|| 제이드 ||승|| 김성대 Z|| ||최호선 T||패|| 저격능선 ||승|| 임정현 Z|| ||정윤종 P||승|| 네오 아웃라이어 ||패|| 김대엽 P|| ||도재욱 P||패|| 네오 일렉트릭 써킷 ||승|| 고강민 Z|| ||김택용 P||승|| 네오 체인 리액션 ||패|| 이영호 T|| ||'''SK텔레콤 T1'''||4|| '''결과''' ||3|| kt 롤스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프로리그의 마지막 불꽃으로 평가되는 시즌이자 '''마지막 only 브루드 워 프로리그로 치러진 시즌'''. MBC GAME HERO, 화승 오즈, 위메이드 폭스의 해체로 인해 8팀이 참가[* 정확히는 팀이 10개 팀에서 3개의 구단이 해체돼서 7개로 또다시 줄었다가 제8게임단의 창설로 다시 8개로 하나가 늘었다.]하게 되어버리는 최악의 상황에서 다시 정규시즌 5전제에 [[에이스 결정전]]의 폐지로 리그에 다소 변화가 생겼다. 시즌을 요약하면 T1은 다시 [[도택명]]의 활약을 통한 파죽지세의 기세로 정규시즌 1위로 결승전에 직행하고, kt는 다시 다승왕과 정규시즌 MVP를 차지한 [[이영호]]와 원투펀치 중 하나로 평가받은 [[김대엽]]의 활약으로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파죽지세로 결승전까지 진출하면서 세 시즌 연속으로 [[통신사 라이벌/e스포츠|통신사 라이벌]] 매치가 성사되었다. 결승전은 역대 프로리그 및 팀 단위 대회 사상 최고의 결승전으로 평가받으면서 결국 T1이 명승부 끝이 라이벌 KT를 상대로 4:3의 세트 스코어로 우승을 차지하면서 T1은 '''브루드 워 프로리그 통산 6회 우승, 3회 준우승, 그랜드 파이널 1회 우승, 통합 챔피언전 1회 준우승'''이라는 무시무시한 기록을 남기게 된다. 결승전에 대해 자세한 것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결승전]] 문서 참조. ==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대진표|대진표]] == 또한 정규시즌에 대한 자세한 대진은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대진표]] 참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version=1132)] [[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분류:SK플래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