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파일:스카이 프로리그 2006 로고.jpg|width=500]] [목차] == 개요 == * 기간: 2006년 4월 29일 ~ 2006년 7월 29일 * 우승: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준우승: [[MBC GAME HERO]] * 결승 장소: 부산 [[광안리해수욕장]] (초대가수: [[이한철]], [[럼블 피쉬]], [[캔(가수)|캔]]) == 특이사항 == * [[온게임넷]] 前 프로게이머 [[김정민(게임 해설가)|김정민]] 해설 영입 * SK텔레콤 T1 오버 [[트리플 크라운]] 기록 달성 및 2년 연속 광안리 우승[* 순위 싸움이 굉장히 치열했는데, 공동 2위였던 KTF와 CJ가 세트 득실이 +8로 결정이 된 상황이어서 SK텔레콤 T1의 경우 마지막 상대였던 팬택을 무조건 3:1 이상으로 이겨야 결승 직행을 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3:2로 이길 경우 3자 에이스 결정전까지 나올 수도 있었던 초유의 상황. 하지만 그럴 일 없이 팬택을 3:0으로 잡아버리면서 결승 직행을 확정지었다.] * [[팀플레이(스타크래프트)|팀플레이]]를 1경기로 축소(7전 4선승제에선 2경기) * KTF와 CJ가 승패 및 승점이 같아서 후기리그처럼 2위 결정전으로 순위를 가려냄[* [[마재윤|마XX]]가 [[변길섭]]을 상대로 이기면서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가 2위로 플레이오프 직행.] * 우승 BGM이 기존의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같았던 브금을 마지막으로 사용되고, 이후 후기리그부터는 다른 OST로 바뀐다. * 우승팀 상금 6,000만원, 준우승팀 상금 3,000만원 [[http://www.youtube.com/watch?v=9q5NwLT8ZTQ|온게임넷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티저 오프닝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fs8ywbjFGrY|MBC GAME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티저 오프닝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rFsiSeczsd0|온게임넷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오프닝 링크]][* 티저를 포함하여 사용된 BGM은 [[메탈 기어 솔리드 3]]의 OST.] [[http://www.youtube.com/watch?v=ye6jIAarsyU|MBC GAME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오프닝 링크]][* 당시 [[벡터맨]] 삘 난다는 소리를 많이 듣던 오프닝. 결국 [[MBC GAME]]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올스타전#s-2.4|2006 올스타전]]에서 '''진짜로 오프닝 음악으로 벡터맨을 써버렸다'''(...).] [[http://www.youtube.com/watch?v=hyqLh3qWIGA|MBC GAME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수정본 오프닝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umJmdUB191A|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결승전 오프닝 링크]] == 사용 맵 ==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백두대간]], [[러시 아워(스타크래프트)|러시 아워 3]](Rush Hour 3), [[815(스타크래프트)|815 3]], [[아카디아(스타크래프트)|아카디아]](Arcadia), [[디 아이#s-3]](The Eye), [[개척시대(스타크래프트)|신 개척시대]], [[철의 장막(스타크래프트)|철의 장막]], [[망월]] == 순위 == ||순위||팀||승||패||득실||벌점|| ||1||[[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7||3||+10(26-16)|| || ||2||[[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7||3||+8(25-17)|| || ||3||[[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7||3||+8(26-18)|| || ||4||[[MBC GAME HERO]]||7||3||+7(25-18)|| || ||5||[[위메이드 폭스|팬택 EX]]||6||4||+1(23-22)|| || ||6||[[온게임넷 스파키즈]]||5||5||+8(25-17)|| || ||7||[[한빛 스타즈]]||4||6||-4(20-24)|| || ||8||[[삼성전자 칸]]||4||6||-6(20-26)|| || ||9||[[르까프 오즈]]||3||7||-6(19-25)||1|| ||10||[[eSTRO|이네이쳐 탑]]||3||7||-11(14-25)|| || ||11||[[STX SouL]]||2||8||-15(13-28)|| || (노랑:결승 직행, 초록:플레이오프 직행, 파랑:준플레이오프 진출) == 상세 == ||<-5>준플레이오프(2006.7.15)|| ||박성준 Z||승||<:>아카디아||패||<)>강민 P|| ||염보성 T||승||<:>백두대간||패||<)>김윤환 T|| ||김동현 Z[br]김택용 P||승||<:>철의장막||패||<)>김세현 Z[br]조병호 P|| ||서경종 Z||승||<:>신 개척시대||패||<)>이병민 T|| ||이재호 T|| ||<:>러시 아워 3|| ||<)>조용호 Z|| ||문준희 P[br]정영철 Z|| ||<:>우산국|| ||<)>박정석 P[br]홍진호 Z|| ||ACE|| ||<:>러시 아워 3|| ||<)>ACE|| ||'''MBC GAME[br]HERO'''||4||<:>'''결과'''||0||<)>KTF 매직엔스|| ||
<-5>플레이오프(2006.7.22)|| ||박성준 Z||승||<:>백두대간||패||<)>변형태 T|| ||서경종 Z||승||<:>신 개척시대||패||<)>서지훈 T|| ||김동현 Z[br]김택용 P||승||<:>망월||패||<)>박영민1 P[br]이주영 Z|| ||박지호 P||패||<:>815 III||승||<)>--마재윤 Z--|| ||이재호 T||패||<:>러시 아워 3||승||<)>장육 Z|| ||염보성 T[br]정영철 Z||승||<:>철의 장막||패||<)>김민구 Z[br]김환중 P|| ||ACE|| ||<:>아카디아|| ||<)>ACE|| ||'''MBC GAME[br]HERO'''||4||<:>'''결과'''||2||<)>CJ 엔투스|| ||
<-5>결승(2006.7.29)|| ||임요환 T||패||<:>815 III||승||<)>염보성 T|| ||전상욱 T||승||<:>러시 아워 3||패||<)>이재호 T|| ||성학승 Z[br]최연성 T||승||<:>철의 장막||패||<)>박지호 P[br]정영철 Z|| ||박태민 Z||승||<:>백두대간||패||<)>문준희 P|| ||고인규 T||승||<:>아카디아||패||<)>박성준 Z|| ||김성제 P[br]윤종민 Z|| ||<:>망월|| ||<)>김동현 Z[br]김택용 P|| ||ACE|| ||<:>디아이|| ||<)>ACE|| ||'''SK텔레콤 T1'''||4||<:>'''결과'''||1||<)>MBC GAME[br]HERO|| 모든 팀들이 스폰서를 획득하여 전반적인 재정 상태가 탄탄해져서 많은 기대를 받았던 시즌이자 동시에 MBC GAME HERO의 약진이 눈에 띄는 시즌. POS 시절이던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지난 시즌]]까지만 해도 잘 봐줘야 중진급 팀이었으나 새 시즌을 맞아 놀랍도록 향상된 경기력을 보여줬고, 준플레이오프에서는 KTF를 4:0으로 개발살내는 기염을 통하며 플레이오프에서도 CJ를 4:2로 이기면서 결승전까지 진출했다. MBC GAME의 이런 활약은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후기리그]]에서도 계속되어 끝내는 시즌 우승을 거두고 [[SKY 프로리그 2006 통합 챔피언전|통합 챔피언전]]까지 우승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반면 전 시즌 이변의 주인공이었던 삼성은 몹시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약팀이기는 했으나 [[오영종]] 등의 활약으로 숨은 다크호스 취급에 스폰서 획득까지 이뤄내어 기대를 받았던 르까프의 경우 아직까지는 약한 모습을 보이며 기대에 못미친 성적을 거뒀다. ~~그러나 이들이 무릎을 꿇었던 건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음이 후 시즌에 드러난다~~ 그리고 T1은 기존 에이스 [[최연성]], [[박용욱]]의 부진이 있었지만 개인전에서의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고인규]],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등의 활약과 팀플에서 여전한 [[윤종민]]의 활약으로 4연속 우승을 차지하면서 '''오버 [[트리플 크라운]]'''이라는 대업을 달성하였다. '''하지만 다음 시즌부터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대격변들이 시작되는데...''' 자세한 대진은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대진표]] 참고. [[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version=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