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oldsaltbooks.files.wordpress.com/ssus.jpg|width=100%]] [목차] == 개요 == '''SS United States'''[* SS란 "Steam Ship"의 약자다. 즉 증기 추진 선박이라는 뜻. 기타 다른 접두사는 [[상선]] 문서 참고.] '''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미국]] [[뉴포트 뉴스 조선소|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dock Company]][*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 최고의 수훈함 [[엔터프라이즈(항공모함)|CV-6 엔터프라이즈]]를 비롯하여 [[에식스급 항공모함]] 등 미 해군의 항공모함이란 항공모함은 죄다 여기서 건조했었다. 현재는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을 건조중인 [[네임드]] [[회사]].]에서 건조하고 미국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선사(United States Lines)에서 운영했었던 [[대서양]] 정기 여객선. 자매선으로는 1940년에 건조된 SS 아메리카[* 3만톤급 여객선이며, 1992년부터 카나리아 제도 해변에 방치되어있다가 1994년 선체가 붕괴되면서 두 동강이 나 침몰했다.]가 있다. 모항은 [[뉴욕]]이다. [[1952년]]에 평균 35.59[[노트]]의 속도로 3일 하고도 10시간 40분이라는 최단시간 대서양 횡단 기록을 세웠으며 그때부터 2023년 현재까지 [[블루리본]][* Blue Riband, 대서양 정기 여객선들의 속도경쟁 정점으로 최단시간내에 대서양을 횡단하는 여객선에게 부여하는 상.]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는 선박이다. == 건조사 == [[1949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군 수송선으로 징발되었던 [[영국]]의 [[RMS 퀸 메리]]와 자매선 [[RMS 퀸 엘리자베스]]의 눈부신 활약[* 두 여객선이 어느정도로 활약 했냐면 '''한번에 1만 5천명, 1개 사단 병력을 왕복기간 10일에 한번씩 대서양 건너로 옮겨 다녔다.''' 독일의 유보트조차 속도차를 이용해 단독으로 돌파하는 등(유보트의 최고속력은 아무리 밟아도 저 여객선들의 절반 될까 말까다) 상당한 재미를 봤기 때문이다.]에 감명을 받은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은 평시에는 상용 여객선으로 굴리다가 전시에는 군 수송선으로 신속 확장하여 사용 가능한 선박을 구상하게 된다. 덕분에 구도는 자연스럽게 [[미국 해군]]과 민간 선사간의 협력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 아래 건조 오더가 들어갔다. 건조비용이 총 7천 8백만 [[미국 달러|달러]]였는데 그 중 64%인 5천만 달러가 정부 지원금이였다(...) 나머지 36%인 2천 8백만 달러만 선사에서 부담. 미 해군의 설계 [[엔지니어]]이자 [[리버티선]]을 설계한 윌리엄 프랜시스 깁스(William Francis Gibbs, 1886~1967)[* 이전까지도 상술한 SS 아메리카나 SS 말롤로(SS Malolo) 등, 여러 여객선을 설계하였다.][* 여담으로 말롤로는 깁스의 이름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는데, 그 이유는 바로 시험항해에서 '''[[엠프레스 오브 아일랜드호 침몰사고|화물선이 정중앙에 꼬라박았고 추진기관까지 잃었고]]''' 18,000톤짜리 여객선의 배수량의 거의 절반인 '''7,000톤의 해수가 선내로 들이닥쳤으나, 침몰하지 않고 살아남았다.''']가 설계를 담당했는데 여객선 치고 여러모로 독특한 부분이 많았다. 주요 특징들을 나열해보자면... * 전시에 여객선에서 수송선으로 신속 환장을 위해 군용 규격을 적용 * 수송선으로 사용시 피격에 대비하여 격리구획으로 보호되는 기관실 설계 * 작전시 고속/장거리 항해성능을 위해 엄청나게 강력한 기관과 대용량 연료탱크의 탑재. 무려 24만 마력짜리 증기 터빈(...) 참고로 [[아이오와급 전함]]이 21만 2천 마력이며 [[니미츠급 항공모함]]이 26만 마력이다. 여기에 '''35노트(65km/h, 40mph)로 순항'''시 1만 [[해리(단위)|해리]](19,000km, 12,000[[마일]]) 항해 가능. 이쯤되면 무섭다.(...) 참고로 [[제2차 세계 대전]]기 미 해군의 중순양함 이상급 함급이 '''15노트'''로 순항시 1만 해리를 갈수 있었다. 그러니까 전함급 크기의 선체와 배수량을 가졌음에도, 두배 이상의 속도로 같은 거리를 갈수 있다는 것이다.(...) * 선폭을 101[[피트]](31m)로 제한하여 [[파나마 운하]] 통행능력 부여 * 상부 구조물 대부분에 [[알루미늄]]을 적용하여 선체 경량화를 도모 * 가벼우면서도 빠른 속도를 내기 위해서 흘수를 31피트[* 9.5m]로 제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의 반정도 크기인 SS 아메리카가 흘수가 33피트, [[RMS 퀸 메리]]가 '''38피트'''였던걸 생각해보면, 엄청나게 작은거다. 이 작은 흘수때문에 상부구조물 대부분에 알루미늄이 사용된거기도 했고. * 해군 화재예방 지침을 따라 내부 인테리어에 불연성 재료'''만''' 사용. 호화 여객선의 [[필수요소]]인 목재 인테리어 물품이 하나도 없었다(...) 예외적으로 선내 정육점 구역과 연회장의 그랜드 [[피아노]]에는 목재가 허용됐는데 그것들도 내화처리를 철저히 한 물건들이라고... ...이쯤 되면 이것이 정기 여객선으로 개발된건지 군용 수송선으로 개발된건지 헷갈린다(...) --사실 둘 다임-- 장난처럼 쓰여있지만 실제로 위에서 언급하다 싶이 미국은 당시 영국의 쾌속 여객선들의 대전기 활약을 보고 만든 물건이다. [[1950년]] [[2월 8일]], 선체번호 488번을 부여받으면서 착공에 들어갔고 이듬해인 [[1951년]] [[6월 23일]] 완공되어 진수식을 거행하게 된다. == 생애 == '''[[하늘]]에 [[콩코드 여객기|콩코드]]가 있다면 [[바다]]에는 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가 있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의 생애는 한문장으로 정리된다. 바로 '''미칠듯한 스피드'''. [youtube(_2t31BV-vOs)] 1952년 [[7월 3일]], Harry Manning [[선장]]이 지휘하는 가운데 뉴욕항을 출항하여 [[영국]] 콘월(Cornwall)로 향하는 처녀항해를 시작하였다. 처녀항해와 동시에 14년 전 블루리본 타이틀을 획득한 RMS 퀸 메리의 기록[* 3일 20시간 42분, 평균속도 31.69노트]을 깨기 위해 고속순항을 실시하는데 블루리본 기록 기점인 앰브로스(뉴욕 항만수로에 배치된 등대선)부터 종점인 비숍 락 [[등대]][* Bishop Rock. 영국 최서단인 [[콘월]] 실리 제도(Isles of Scilly)에 위치한 등대.]까지 '''3일 10시간 40분, 평균속도 35.59노트(65.91km/h, 40.96mph)'''라는 정신나간 기록을 갈아치우며 RMS 퀸 메리로부터 블루리본 타이틀을 뺏어온다. '''그리고 이 기록은 여전히 유효하다.''' 횡단 기록에만 초점을 맞춘 선박의 경우엔 이보다 더 빠른 기록이 있지만, [[블루리본]]의 자격인 대서양 횡단 정기 여객선 중에서는 아직까지 이 기록이 깨지지 않았다. 이처럼 [[크고 아름다운]]데다 눈썹이 휘날릴 정도로 빠르기까지 한 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는 미국의 자랑거리로 떠올랐으며 '빅 U(The Big U)'라는 애칭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었다. == 몰락 == [[파일:external/i147.photobucket.com/SSUS10.jpg]] 현재 유나이티드 스테이츠는 항구에 방치되어 있다. 대서양 정기 여객선들 중에서 가장 빠른 여객선으로 인기만점이였던 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였지만 [[1960년대]]로 접어들자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보잉 707]]을 필두로 [[맥도넬 더글라스|더글라스]] [[DC-8]] 등 본격적인 상업 제트 [[여객기]]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제트기 시대(Jet Age)'가 도래한 것이다. SS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가 아무리 빠르다 한들 반나절만에 미국과 영국을 오갈수 있는 제트 여객기한테 도저히 상대가 되지 않았고 심지어 운임도 여객기를 이용하는것이 월등히 저렴했다. 점점 운임은 줄어들고 적자가 늘어났으며 결국 [[1969년]] [[11월 14일]],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선사에서 퇴역하게 된다. 퇴역 이후 [[1970년대]]에는 여기저기 다른 회사로 팔려다녔지만 제대로 된 상업 운항을 재개한적은 없었고 [[1980년대]]에는 미해군에서 [[병원선]]으로 쓰기 위해 사들일까 간만 보다가 결국 사지 않았다. 이후 내부 가구 등이 팔려나가기도 하고, [[터키]] 선박 사업가가 소유한 회사에 팔려서 터키 쪽으로 나가기도 했다. 이 때 새로운 문제가 터졌는데, 처음 설계할 때 불연성을 위해 대량으로 사용된 [[석면]]이었다. 석면은 과거에는 좋은 불연소재로 인식되어 대량으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사용이 금지되었기 때문. 결국 [[1994년]]에 석면 제거와 동시에 인테리어는 거의 다 뜯겨져 나갔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1996년]]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82번 부두에 묘박된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후 [[1999년]]에는 "SS 유나이티드 재단"이 설립되어 일종의 국가사적물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으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현상 유지에만 연간 약 80만 달러(약 9억원)가 들어가고, 이미 내 외부는 녹이 슬고 인테리어가 다 제거된 상황. [[구글 지도]]의 [[https://www.google.com/maps/place/SS+United+States/@39.9184269,-75.1388434,551m/data=!3m2!1e3!4b1!4m5!3m4!1s0x89c6c8b47911b367:0xa92d2991c6626ec0!8m2!3d39.9184269!4d-75.1366547|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위성사진]] 그래서 매각해서 고철로 팔린다는 계획과 모금을 통한 보존&재단장 사업이 맞서고 있는 상태다. 이름부터 미국을 상징하던 기념비적인 여객선이기에 이 여객선을 위해서 돈을 내겠다는 사람도 많다. USS [[컨스티튜션]]처럼 보존하는 사업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쉽게 진행되지는 않는 상황인듯. ~~하긴 [[엔터프라이즈(항공모함)|엔터프라이즈]]도 돈없다고 스크랩했는데...~~ == 제원 == * 기공 : 1950년 2월 8일 * 진수 : 1951년 6월 23일 * 취역 : 1952년 7월 3일 * 퇴역 : 1969년 11월 14일 * 만재 [[배수량]] : 47,264[[톤]] * 전장 : 990[[피트]] (300m) * 전폭 : 101.5피트 (30.9m) * 높이 : 175피트 (53.3m) * [[흘수선|흘수]] : 32.3피트 (9.85m) * 갑판 : 12층 * [[엔진|주기관]] : 8× Babcock & Wilcox [[보일러]], 1,000psi 523[[섭씨|℃]], 248,000[[마력]] (180,000kW) * 추진체계 : 웨스팅 하우스 더블 기어드 [[증기 터빈]], 4축 추진 * 발전설비 : 6× 1,500kW 증기터빈 [[발전기]], 2× 250kW [[디젤엔진|디젤]] 비상발전기 * 연료 탑재량 : 10,306톤 * 순항속도 : 32노트 (59km/h, 37mph) * 최대속도 : 38.32노트 (70.97km/h, 44.1mph) * 승객 : 1,928명 * 승무원 : 900명 * 무선[[호출 부호]] : KJEH * 선령: [age(1951-06-23)]년 * 애칭 : The Big U == 관련 문서 == * [[선박 관련 정보]] * [[선박]] [[분류:페리]][[분류:1951년 공개]][[분류:1952년 출시]][[분류:1969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