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SG 랜더스/2022년/7월)]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삼성 라이온즈/2022년/7월)]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7월 9일]] [[SSG 랜더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양팀간 시즌 8번째 맞대결 경기다. == 스코어보드 == ||<-9> [[SSG 랜더스|[[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height=40]]]][br]'''{{{#ffffff SSG 랜더스 라인업}}}''' || ||<-9> '''{{{#ffffff 선발 투수}}}''' || ||<-9> [[이태양]] || || {{{#ffffff 1}}} || {{{#ffffff 2}}} || {{{#ffffff 3}}} || {{{#ffffff 4}}} || {{{#ffffff 5}}} || {{{#ffffff 6}}} || {{{#ffffff 7}}} || {{{#ffffff 8}}} || {{{#ffffff 9}}} || || [[지명타자]] || [[중견수]] || [[유격수]] || [[우익수]] || [[1루수]] || [[2루수]] || [[좌익수]] || [[포수]] || [[3루수]] || || [[추신수]] || [[최지훈(야구선수)|최지훈]] || [[박성한]] || [[한유섬]] || [[전의산]] || [[최주환]] || [[하재훈]] || [[김민식(야구선수)|김민식]] || [[김성현(1987)|김성현]] || ||<-9>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height=40]]]][br] '''{{{#ffffff 삼성 라이온즈 라인업}}}''' || ||<-9> '''{{{#000000 선발 투수}}}''' || ||<-9> [[알버트 수아레즈|수아레즈]] || ||<:> {{{#ffffff 1}}} ||<:> {{{#ffffff 2}}} ||<:> {{{#ffffff 3}}} ||<:> {{{#ffffff 4}}} ||<:> {{{#ffffff 5}}} ||<:> {{{#ffffff 6}}} ||<:> {{{#ffffff 7}}} ||<:> {{{#ffffff 8}}} ||<:> {{{#ffffff 9}}} || ||<:> RF || 3B || LF || DH || 1B || C || CF || SS || 2B || ||<:> [[김현준(2002)|김현준]] ||<:> [[오선진]] ||<:> [[호세 피렐라|피렐라]] ||<:> [[오재일]] ||<:> [[이원석(1986)|이원석]] ||<:> [[김태군]] ||<:> [[박승규(야구선수)|박승규]] ||<:> [[이해승]] ||<:>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 || ||<-16> '''{{{#ffffff VS 삼성 8차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ffffff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18:01 ~ 22:12 (4시간 11분), 관중 수 : 11,924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B''' || || [[SSG 랜더스|{{{#ffffff SSG}}}]] || [[이태양]] || 0 || 4 || 0 || 0 || 0 || 0 || 1 || 5 || 0 || 3 || '''13''' || 11 || 1 || 9 || ||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 [[알버트 수아레즈|수아레즈]] || 1 || 6 || 0 || 1 || 1 || 0 || 0 || 1 || 0 || 0 || '''10''' || 12 || 3 || 2 || ||<-16>
'''{{{#ffffff 경기 기록}}}''' || || '''결승타''' ||<-15> [[한유섬]] (10회 2사 만루서 우익수 2루타) || || '''승리 투수''' ||<-7> [[김택형]] (1⅓이닝 0실점 0자책, 2승 2패) || '''패전 투수''' ||<-7> [[장필준]] (0⅔이닝 3실점 3자책, 0승 3패) || || '''홀드 투수''' ||<-15> [[우규민]] (⅔이닝 0실점 0자책, 10홀드) || || '''홈런''' ||<-15> [[김성현(1987)|김성현]] 1호 (2회 4점), [[호세 피렐라|피렐라]] 15호 (4회 1점), [[이원석(1986)|이원석]] 5호 (5회 1점) || == 경기 진행 == === 1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7949)]}}}|| '''1회초''' 삼성의 선발 투수 수아레즈가 수비의 도움을 받으며 삼자범퇴로 이닝을 정리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8083)]}}}|| '''1회말''' 선두타자 김현준이 안타를 때려냈다. 이 안타로 김현준은 '''20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했다. 이는 10대 선수 최장 경기 연속 안타 신기록이다. 종전기록은 [[이승엽]]의 19경기 연속 안타. 그러나 오선진이 4-3 병살타로 물러나며 2아웃이 되었다. 피렐라가 몸에 맞는 볼로 출루했고, 오재일이 1타점 2루타를 때리며 선취점은 삼성이 가져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8374)]}}}|| 이원석이 좌익수 앞 안타를 때렸으나, 2루주자 오재일이 홈에서 태그아웃되며 추가 득점에는 실패했다. === 2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8493)]}}}|| '''2회초''' 1아웃에서 전의산이 안타를 때려냈다. 최주환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2사 1루가 되었다. 하재훈은 유격수 앞 땅볼을 때리며 이닝을 끝낼 수 있었으나, 유격수 이해승이 제대로 포구하지 못했고, 송구 실책까지 나오면서 2사 2, 3루가 되었다. 김민식이 볼넷을 얻어내며 2사 만루가 되었다. 김성현이 만루 홈런을 때리며 '''4-1'''이 되었다. 이해승의 실책이 없었다면 이닝이 종료될 수 있었기에, 수아레즈의 4실점은 모두 비자책으로 기록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8957)]}}}|| '''2회말''' 김태군-박승규-이해승이 연속 안타를 때리며 무사 만루가 되었다. 이재현이 1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4-2'''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046)]}}}|| 김현준은 뜬공으로 물러났으나, 오선진이 3루수 김성현의 포구 실책으로 출루하며 3루주자가 득점, '''4-3'''이 되었다. 피렐라가 삼진으로 물러나며 2사 만루가 되었다. 오재일이 역전 2타점 2루타를 때리며 '''4-5'''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059)]}}}|| 이어, 이원석이 2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4-7'''까지 격차를 벌렸다. === 3회~7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180)]}}}|| '''4회초''' 수아레즈가 탈삼진 2개를 포함, 삼자범퇴로 이닝을 정리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322)]}}}|| '''4회말''' 2아웃에서 피렐라가 솔로 홈런을 때리며 '''4-8'''이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585)]}}}|| '''5회말''' 선두타자 [[이원석(1986)|이원석]]이 솔로 홈런을 때리며 '''4-9'''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892)]}}}|| '''6회초''' 1아웃에서 [[최주환]]이 10구 승부 끝에 볼넷으로 출루했다. [[하재훈]]이 초구를 때려 뜬공으로 물러나며, 수아레즈가 선발 전원타자 탈삼진에는 실패했다. 김민식이 안타를 때려내며 2사 1, 2루가 되었지만, 김성현을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이닝 종료. 수아레즈는 '''6이닝 6피안타(1피홈런) 4실점(0자책) 2BB 9K 119구'''로 QS를 기록,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춘 채 오늘의 등판을 마쳤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69961)]}}}|| '''6회말''' SSG는 선발 투수 이태양이 내려가고, 최민준이 마운드에 등판해 삼자범퇴로 이닝을 정리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0330)]}}}|| '''7회초''' 삼성의 마운드는 최충연이 등판했다. 선두타자 추신수가 볼넷으로 출루했고, 최지훈이 안타를 때리며 무사 1, 2루가 되었다. 박성한의 타구를 1루수 이원석이 잡아내며 역병살을 만들어냈고, 3루주자 추신수가 득점하며 '''5-9'''가 되었다. 2아웃에서 한유섬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닝 종료. === 8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0963)]}}}|| '''8회초''' 삼성의 마운드는 김윤수가 등판했다. 선두타자 전의산을 유격수 이해승의 포구 실책으로 출루를 허용했다. [[전의산]]은 대주자 [[오태곤]]으로 교체됐고, 최주환이 초구를 때려 안타를 만들어내며 무사 1, 2루가 되었다. 삼성은 투수를 우규민으로 교체했고, 수비 강화를 위해 2루수 이재현을 유격수로 이동시켰고, 유격수 [[이해승]]은 2루수 [[안주형]]으로 교체했다. SSG는 대타 오준혁이 나왔고, 뜬공으로 돌려세웠다. 김민식을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2사 1, 2루가 되었다. 여기서 세이브 상황이 되자 삼성은 마무리 투수 오승환을 조기에 투입시켰다. 그러나 김성현에게 볼넷을 내주며 2사 만루가 되었고, 추신수가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내며 '''6-9'''가 되었다. 최지훈도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내며 '''7-9'''가 되었다.[* 참고로 이는 '''2009년''' 4월4일 대구 LG전 이후 처음으로 1경기 3볼넷을 허용한 것이다. 참고로, 이 경기전까지 오승환은 올해 30경기 중 31이닝 7볼넷을 기록하고 있었다.] 그리고...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1016)]}}}|| '''[[박성한]]이 역전 싹쓸이 3루타를 때려내며 SSG가 5점차 역전'''에 성공하며 '''10-9'''가 되었다. 이후 한유섬이 뜬공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1301)]}}}|| '''8회말''' SSG의 마운드는 장지훈이 등판했다. 선두타자 김태군이 초구를 때려 안타를 만들어냈고, 대주자 김성윤으로 교체됐다. 박승규는 희생번트에 성공하며 1사 2루가 되었다. 안주형의 타석에서 폭투가 나오며 1사 3루가 되었고, 안주형의 희생플라이로 '''10-10''' 동점이 되었다. 2아웃에서 이재현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이닝 종료. === 9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1466)]}}}|| '''9회초''' 오승환이 삼자범퇴로 이닝을 정리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2251)]}}}|| '''9회말''' SSG의 마운드는 서동민이 등판했다. 2아웃에서 서동민이 피렐라를 볼넷으로 출루시키자 SSG는 투수를 김택형으로 교체했다. 그리고 오재일이 3구 삼진으로 물러나며, 승부는 연장전으로 가게 되었다. === 10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2421)]}}}|| '''10회초''' 삼성의 마운드는 [[장필준]]이 등판했다. 선두타자 김민식이 초구를 때려 안타를 만들어냈다. 김성현의 타석에서 견제 송구 실책이 나오며 무사 2루가 되었다. 김성현이 스트레이트 볼넷으로 출루했고, 추신수가 희생번트에 성공하며 1사 2, 3루가 되었다. 최지훈을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2사 2, 3루가 되었다. 박성한이 볼넷을 얻어내며 2사 만루가 되었다. 이후 타석에 나타난 한유섬이 싹쓸이 2루타를 때려내며 '''13-10'''이 되었다. 이후 오태곤의 타석에서 폭투로 2사 3루가 되었고, 오태곤이 볼넷을 얻어내며 2사 1, 3루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2468)]}}}|| 삼성은 투수를 이상민으로 교체했고, 최주환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닝 종료.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0272529)]}}}|| '''10회말''' [[김택형]]이 삼자범퇴로 깔끔하게 이닝을 정리하며 경기를 종료시켰다. --이번 경기는 이태양이 노디시전이라서 잘 던지는 모습이다.--[* 김택형은 작년 여름부터 호투하다가도 유독 [[이태양]]의 선발 경기에서만 승리투수 요건을 날려먹기로 유명했으며, 당사자들도 이것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한다.] == 총평 == === SSG 랜더스 === * 6월 10일 ~ 6월 12일 한화전 스윕승 이래로 주말 3연전에서 '''13승 1패'''를 기록하게 되었으며, 이틀 연속 역전승에도 성공하였다. 이후 다음 경기도 이겨 시리즈를 스윕했고, 키움과의 3연전에서도 우천취소 1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이겨 2위와의 승차를 4.5게임차로 벌린 채 전반기를 기분 좋게 마무리했다. * SK-SSG가 오승환을 상대로 점수를 낸 것은 2013년 8월 21일 대구 경기 이후 무려 '''3,245일''' 만이었다. 이마저도 SK가 1사 만루에서 타자 [[한유섬|한동민]]이 땅볼 아웃을 당하면서 3루 주자였던 [[박재상]]이 홈으로 들어온 것이었다. === 삼성 라이온즈 === * 삼성은 오늘 경기 패배로 8연패를 당했다. 또한 구단 신기록인 '''10경기 104실점'''의 불명예를 쓰게 되었다. 참고로 종전 삼성 구단 기록은 '''1989년''' 기록한 10경기(6월 29일 ~ 7월 18일) 102실점이다. 이 경기로 삼성 라이온즈는 팀 역대 두 번째로 10경기에서 100실점 이상을 기록하게 되었다. * 삼성은 다음날 경기에서도 7-2로 패하면서 '''11경기 111실점''' 및 9연패를 달성했다. 이로써 7월 불펜 방어율이 무려 '''11.23'''이 되었다. 그리고 kt와의 3연전도 우천취소 1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패배해 '''구단 최다 연패인 11연패'''와 함께 전반기 종료 기준 '''7월 전패'''를 달성했다. 연패는 7월 23일에 '''13연패'''까지 이어졌다. * [[LG 트윈스/2022년/7월/6일|3일 전]]에도 삼성은 대역전패를 당했다. 그때도 경기장이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였고 1회 6득점을 했지만, 7점차 역전패로 10-9로 졌다. ~~다시 말하지만 3년 전이 아니라 3일 전이다~~ == 여담 == * 전날에 이어 이날도 SSG를 포함한 1~5위가 모두 이겨 승차 변동은 없었다. * 한편, [[롯데 자이언츠/2012년/4월/24일|10년 전에 오승환이 블론세이브 저지른 경기]]도 개별 문서로 이미 생성되어 있었다. * 이날 경기까지 개별 문서가 생성됨으로써 일주일에만 개별 문서가 [[LG 트윈스/2022년/7월/6일|LG VS 삼성]], [[한화 이글스/2022년/7월/7일|한화 VS NC]]와 이 문서를 포함해 3개나 생성되는 일이 벌어졌다.[* 모두 5점차 이상 대역전승이다.] * 2023년 4월 13일에도 이와 비슷한 흐름으로 진행된 경기가 있었다. SSG의 선발을 공략하여 넉넉하게 삼성이 앞서 있었다가, 삼성 불펜의 방화로 SSG가 점수를 따라잡더니, 1사 만루 상황에 [[오승환]]이 싹쓸이를 맞고 동점을 허용해 블론세이브, 역전타를 맞고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이후 8회말에 삼성이 재역전에 성공하여 9:11로 이긴 것에서 차이가 있다. * 한편, [[삼성 라이온즈/2023년/6월#s-9.2|거의 1년 후에]] 요일도 똑같고, 스코어도 똑같으며, 5점차를 뒤집고 역전한 것도 똑같고, 중간에 동점까지 따라온 것도 같은 경기가 진행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성 라이온즈/2022년/7월, version=408, paragraph=4.2)] [[분류:KBO 리그/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2022년]][[분류:SSG 랜더스/2022년]][[분류:삼성 라이온즈/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