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ASA의 우주왕복선 임무)] >'''우주왕복선의 역사적인 첫 임무, 30년 역사의 시작''' ||<-2> '''{{{#fff STS-1}}}''' || |||| [[파일:sts-1.png|width=300]] || |||| '''STS-1 미션 패치''' || || '''임무 이름''' ||<(> STS-1(Space Transportation System-1) || || '''승무원 수''' ||<(> 2 명 || || '''발사일''' ||<(> 1981년 4월 12일 12:00:03 UTC || || '''발사대''' ||<(> [[케네디 우주센터]] LC-39A || || '''귀환일''' ||<(> 1981년 4월 14일 18:20:57 UTC || || '''미션 기간''' ||<(> 2일 6시간 20분 53초 || || '''우주선''' ||<(> [[컬럼비아 우주왕복선|OV-102 컬럼비아(Columbia)]] || || '''사령관(CDR)''' ||<(> [[존 영]][* 백업 [[조 엥글]].] || || '''사령선 조종사(CMP)''' ||<(> [[로버트 크리펜]][* 백업 리처드 로런스] || || '''궤도를 돈 횟수''' ||<(> 37번 || || '''궤도 주기''' ||<(> 89.4분 || || '''궤도 높이''' ||<(> 307km (166해리) || || '''궤도 기울기''' ||<(> 40.3도 || || '''이동 거리''' ||<(> 172.8만 km || ||[[파일:STS-1 조종사 사진.jpg|width=450]]|| ||STS-1의 승무원들 왼쪽에 서있는 사람이 존 영, 오른쪽에 서있는 사람이 로버트 크리펜이다.||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Oe8t-vZt0k)]}}} || || {{{#e1e1e1 '''내셔널지오그래픽'''}}} || [[NASA]]의 첫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다. [[1981년]] [[4월 12일]][* 원래 이틀전에 발사 예정이였지만 이런저런 문제로 미뤄졌다.][* 이 날은 최초의 우주인인 [[유리 가가린]]이 우주비행을 한지 20년이 되는 날이였다. 미뤄진 발사 날짜가 우연히 겹친것이다.]에 발사되어 동년 [[4월 14일]]에 에드워드 공군기지로 귀환한 임무다. == 임무 계획 == [[NASA]]가 초기 임무를 계획하는 동안 첫 번째 궤도 비행에 앞서 시스템의 초기 테스트를 수행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를 위해 월터 F 부통령에게 궤도 비행이 아닌 RTLS[* 우주 비행선이 점화된 이후 중단하는 시스템]의 시험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발사 후 처음 몇 분 안에 중단 명령이 떨어지게 되고, SRB가[* 우주왕복선 양 옆에 붙어있는 고체 부스터]가 폐기된 후에 궤도선의 주 엔진의 동력만으로 비상착륙을 하는 훈련이였지만 높은 위험성 때문에 기각되었다. 그리하여 STS-1의 궤도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 임무 수행 == ||[youtube(kdKltNx42AQ)]|| ||'''발사장면'''|| ||[youtube(CJ3pqvHjFP8)]|| ||'''에드워드 공군기지에 착륙하여 귀환하는 장면'''|| STS-1은 우주왕복선의 첫 발사일 뿐만 아니라, NASA 유인 우주선 발사에 고체연료 로켓이 사용된 첫번째 임무였다. 미션 목표는 궤도로 안전하게 올라가 오비터와 승무원의 안전한 착륙을 위해 지구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이 임무에 탑재된 탑재물은 개발 비행 계기(DFI) 패키지로, 이 패키지는 궤도 비행의 성능과 발사, 발사각, 비행 궤도, 하강 및 착륙 중 발생한 선체에 가해지는 압박을 기록하는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있었다. NASA에서 계획한 113개의 비행시험 목표가 모두 달성되었고, 궤도선의 안정성이 검증되었다. == 사건 사고 == 비행중 대략 70여개의 이상 징후가 관찰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STS-1_Columbia_Cargo_Bay.jpg|width=90%]] 발사 후 수직미익 주변에 타일이 16개 가량 떨어져 나갔다. 이 때 당시는 별 문제 없었으나, 이 사소한 문제가 '''[[STS-107|어떤 참사를 낳게 될 지는]] 아무도 몰랐다.''' * 1967년 첫 [[새턴 V]] 발사 때와 마찬가지로 [[NASA]]엔지니어들은 우주왕복선이 만들어내는 소음과 진동의 양을 과소평가했다.예상치보다 훨씬 뛰어넘는 충격파가 궤도선 꼬리 부분까지 굴절돼 전방 반응 제어 시스템(RCS) 산화제 스트럿이 고장 나면서 궤도선의 열 차폐가 손상되었다. * 대기권 재진입 시 압력 중심 위치를 잘못 표시하여 컴퓨터가 예상된 8, 9도보다 16도 정도 차체 플랩을 연장해야 했다. * 승무원들이 SRB 분리까지 발사 1단계 내내 외부 탱크에서 "흰색 물체"가 떨어져 나와 유리창에서 산산조각 나는 것을 보았는데, 그것은 아마 외부 탱크의 열성 거품을 덮은 흰색 페인트였을것으로 추정된다. * 컬럼비아호 외부 탱크 도어에 위치한 스트라이크 플레이트가 재진입 중 과열된 열 노출로 인해 용해되고 왜곡되었다. == 여담 == 원래 [[컬럼비아호|컬럼비아]]는 1978년 발사 예정이였다. 하지만 셔틀을 [[보잉 747-100|전용 캐리어기]]로 운반하는 도중 100개가 넘는 단열 타일이 '''상공에서 벗겨져버린 것이다.''' 이때 유실된 부위를 보수하는 데만 '''3년'''을 소모하였고 그 사이 컬럼비아를 기다리던 우주정거장 [[스카이랩(우주정거장)|스카이랩]]은 결국 1979년 수명이 다해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했다.[* 당시 계속해서 고도가 떨어지던 스카이랩에 컬럼비아가 도킹하여 고도를 회복시키는 복안이 존재했다.]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우주왕복선 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