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V 베르더 브레멘)] ||<-5> [[SV 베르더 브레멘|[[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height=50]]]] [br] [[SV 베르더 브레멘|,,{{{#ffffff SV 베르더 브레멘 정규 시즌 }}},, ]] || || [[SV 베르더 브레멘/역사#s-3.5|2014-15 시즌]] || {{{+1 →}}} || '''{{{#034694 2015-16 시즌}}}''' || {{{+1 →}}} || [[SV 베르더 브레멘/2016-17 시즌|2016-17 시즌]] || ||<-2> '''{{{#ffffff SV 베르더 브레멘 2015-16 시즌}}}''' || ||<-2> 감독: 빅토르 스크리프닉(Viktor Skripnik) || ||<-10>
'''{{{#ffffff 2015-2016 1. 분데스리가}}}''' [br] {{{#ffffff (최종 결과) }}} || ||<-2> {{{#00a665 '''순위'''}}} || {{{#00a665 '''경기수'''}}} || {{{#00a665 '''승'''}}} || {{{#00a665 '''무'''}}} || {{{#00a665 '''패'''}}} || {{{#00a665 '''승점'''}}} || {{{#00a665 '''득점'''}}} || {{{#00a665 '''실점'''}}} || {{{#00a665 '''득실차'''}}} || ||<-2> {{{+3 '''13'''}}}{{{+1 / 18}}} || 34 || 10 || 8 || 16 || 38 || 50 || 65 || -13 || [목차] == 시즌 스쿼드 == ||<-10> '''{{{#ffffff SV 베르더 브레멘 2015-16시즌 스쿼드}}}''' || || '''{{{#00a665 등번호}}}''' || '''{{{#00a665 국적}}}''' || '''{{{#00a665 포지션}}}''' || '''{{{#00a665 한글 성명}}}''' || '''{{{#00a665 로마자 성명}}}''' || '''{{{#00a665 생년월일}}}''' || '''{{{#00a665 출전}}}''' || '''{{{#00a665 골}}}''' || '''{{{#00a665 어시스트}}}''' || '''{{{#00a665 비고}}}''' || || 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GK || 라파엘 볼프 || Raphael '''WOLF''' || 1988년 6월 6일 || 0 || 0 || 0 || || || 2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DF || 산티아고 가르시아 || Santiago '''S.GARCIA''' || 1988년 7월 8일 || 29 || 0 || 4 || || || 3 ||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 DF || [[파피 질로보지]] || Papy '''DJILOBODJI''' || 1988년 12월 1일 || 14 || 2 || 1 || || || 4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DF || 알레한드로 갈베즈 || Alejandro '''GÁLVEZ''' || 1989년 6월 6일 || 21 || 1 || 0 || || || 5 || [[파일:말리 국기.svg|width=30]] || MF || 삼부 야타바레 || Sambou '''YATABARE''' || 1989년 3월 2일 || 8 || 1 || 2 || || || 7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DF || 야닉 베스테르고르 || Jannik '''VESTERGAARD''' || 1992년 8월 3일 || 33 || 2 || 0 || || || 8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클레멘스 프리츠]] || Clemens '''FRITZ''' || 1980년 12월 7일 || 7 || 0 || 0 || 부주장 || || 9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FW || 아론 요한슨 || Aron '''JÓHANNSSON''' || 1990년 11월 10일 || 6 || 2 || 0 || || || 1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레벤트 아이치체크 || Levent '''AYCICEK''' || 1994년 2월 14일 || 0 || 0 || 0 || || || 11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W || [[레빈 외츠투날리]] || Levin '''ÖZTUNALI''' || 1996년 3월 15일 || 5 || 0 || 0 || || || 14 || [[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FW || [[클라우디오 피사로]] || Claudio '''PIZARRO''' || 1978년 10월 3일 || 28 || 14 || 3 || 주장 || || 15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DF || 마테오 파블로비치 || Mateo '''PAVLOVIC''' || 1990년 6월 9일 || 0 || 0 || 0 || || || 16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MF || 즐라트코 유누조비치 || Zlatko '''JUNUZOVIC''' || 1987년 9월 26일 || 30 || 4 || 12 || || || 17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외츠칸 일디림 || Özkan '''YILDIRIM''' || 1993년 4월 10일 || 0 || 0 || 0 || || || 18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펠릭스 크로스]] || Felix '''KROOS''' || 1991년 3월 12일 || 4 || 0 || 0 || || || 19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DF || 루카-밀란 찬더 || Luca-Milan '''ZANDER''' || 1995년 8월 9일 || 1 || 0 || 0 || || || 20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 DF || 울리세스 가르시아 || Ulisses '''U.GARCIA''' || 1996년 1월 11일 || 6 || 0 || 1 || || || 21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 FW || 안토니 우자 || Anthony '''UJAH''' || 1990년 10월 14일 || 32 || 11 || 4 || || || 2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W || 핀 바르텔스 || Fin '''BARTELS''' || 1987년 2월 7일 || 30 || 8 || 1 || || || 23 || [[파일:체코 국기.svg|width=30]] || DF || 테오도르 게브레 셀라시에 || Theodor '''GEBRE SELASSIE''' || 1986년 12월 24일 || 33 || 1[* 1자책골 제외] || 2 || || || 25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DF || 올리버 휘징 || Oliver '''HÜSING''' || 1993년 2월 17일 || 0 || 0 || 0 || || || 26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율리안 폰 하케 || Julian '''VON HAACKE''' || 1994년 2월 14일 || 0 || 0 || 0 || || || 27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MF || 플로리안 그릴리치 || Florian '''GRILLITSCH''' || 1995년 8월 7일 || 2 || 0 || 1 || || || 28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FW || 멜빈 로렌첸 || Melvyn '''LORENZEN''' || 1994년 11월 26일 || 0 || 0 || 0 || || || 3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GK || 미하엘 체테러 || Michael '''ZETTERER''' || 1995년 7월 12일 || 0 || 0 || 0 || || || 33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마르첼 힐스너 || Marcel '''HILßNER''' || 1995년 1월 30일 || 1 || 0 || 0 || || 35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막시밀리안 에게슈타인 || Maximilian '''EGGESTEIN''' || 1996년 12월 8일 || 2 || 0 || 0 || || 37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DF || 야넥 슈테른베르크 || Janek '''STERNBERG''' || 1992년 10월 19일 || 3 || 0 || 0 || || 38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DF || 마논 부슈 || Marnon '''BUSCH''' || 1994년 12월 8일 || 0 || 0 || 0 || || 39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루카스 프뢰데 || Lukas '''FRÖDE''' || 1995년 1월 23일 || 1 || 0 || 0 || || 40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GK || 라이프 후시치 || Raif '''HUSIC''' || 1996년 2월 5일 || 0 || 0 || 0 || || 42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GK || [[펠릭스 비드발트]] || Felix '''WIEDWALD''' || 1990년 3월 15일 || 8 || 0 || 0 || || 44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 MF || 필리프 바크프리데 || Philipp '''BARGFREDE''' || 1989년 3월 3일 || 5 || 0 || 0 || == 프리시즌 == 7월 4일 치러진 MSV 노이루핀과의 경기는 11:0, 무난한 승리를 거뒀다. 안토니 우자가 데뷔했으며 데뷔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7월 7일에는 FC 한자 로스토크와 경기를 가져 1:1로 비겼다. 펠릭스 비드발트가 데뷔, 여러 차례의 선방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7월 11일에는 잘츠부르크로 이동하여 RB 잘츠부르크, 사우샘프턴, 발렌시아, 베르더 브레멘 등 4개 팀이 참가하는 미니 대회인 아우디 콰트로 컵 2015에 출전하였다. 1차전에서 호스팅 팀 RB 잘츠부르크를 4대 0으로 이기고, 곧바로 진행된 결승전에서 발렌시아와 승부차기 끝에 이기면서 아우디 콰트로 컵 2015를 우승하였다. 7월 15일에는 TSV 1860 뮌헨과 경기를 가졌으며, 3대 1로 승리하였다. 곧바로 티롤-아우스발과 경기를 가져 4대 0으로 승리하였다. 티롤-아우스발과의 경기는 2진급 멤버들이 출전하였다. 7월 18일에는 FC ZBROJOVKA BRÜNN과 경기를 가져 2대 0으로 승리하였다. 7월 22일에 열린 블루멘탈러 SV와의 경기에서는 레빈 외츠투날리가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맹활약하며 9:0 승리를 이끌었다. 7월 25일, 팬들의 날 행사에서 프랑코 디 산토의 이적 소식이 발표됨과 동시에 세비야 FC와 베저슈타디온에서 경기를 가졌다. 선수들은 디 산토의 이적으로 상심한 팬들을 위로해주려는 듯 열심히 그라운드를 누볐고, 3:1로 베르더가 이겼다. 7월 28일, SV 빌헬름스하펜과의 경기에서 유망주 마네의 4골 활약에 힘입어 7:0으로 이겼다. 8월 2일, 웨스트햄 유나이티드와 경기를 펼쳤다. 먼저 1실점했지만 우자가 뒤이어 2골을 넣으면서 2:1, 역전승을 거뒀다. 프리시즌 일정은 10승 1무의 호성적으로 마감하였다. == IN & OUT == * IN • FW '''안토니 우자''' (나이지리아) - [[1.FC 쾰른]] • GK '''펠릭스 비드발트''' (독일)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DF '''울리세스 가르시아''' (스위스)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FW '''아론 요한슨''' (미국) - [[AZ 알크마르]] • FW '''[[클라우디오 피사로]]''' (페루) - 자유계약 • DF '''[[파피 질로보지]]''' (세네갈) - [[첼시 FC]] (임대영입) * OUT • FW '''다비 젤케''' (독일) - [[RB 라이프치히]] • GK '''코엔 카스틸스''' (벨기에) - [[VfL 볼프스부르크]] (임대 복귀) • DF '''제바스티안 프뢰들''' (오스트리아) - [[왓포드 FC]] • FW '''닐스 페테르센''' (독일) - [[SC 프라이부르크]] • GK '''리하르트 슈트레빙어''' (오스트리아) - [[SK 라피트 빈]] • DF '''[[루카 칼디롤라]]''' (이탈리아) - [[SV 다름슈타트 98]] (임대) • FW '''[[프랑코 디 산토]]''' (아르헨티나) - [[FC 샬케 04]] • MF '''세드릭 마키아디''' (콩고 민주 공화국) -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 FW '''엘예로 엘리아''' (네덜란드) - [[페예노르트]] • MF '''루도비닉 오브라니악''' (폴란드) - [[마차비 하이파]] • FW '''[[이제트 하이로비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SD 아이바르]] (임대) ~~우리는 호구딜을 할 것이다. 늘 그랬듯이~~ == 2015-2016 정규 시즌 == 1라운드 샬케전에서 0-3으로 대패하며 불안하게 시작하였으나, 이후 2승1무를 기록하며 4라운드까지 잠시 선전하더니, 5연패의 늪에 빠지며 16위로 추락하였다. 불안한 수비로 인하여 매 경기 실점을 반복하였으며, 특히 홈에서 극도의 부진한 성적을 보이며 단 1승에 그치는 등 4승3무10패의 성적으로 전반기를 16위로 마무리하였다. 후반기에는 [[클라우디오 피사로]]의 폭풍 활약으로 공격력은 향상되었으나, 수비 불안은 여전하여 매 경기 실점하는 패턴이 개선되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순위 상승에 필수적인 라이벌 팀들과의 경기를 잡지 못하면서 33라운드까지 16위에 머물렀다. 게다가 최종전 상대는 15위 프랑크푸르트로, 반드시 승리하여야 잔류가 확정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최종전에서, 브레멘은 승리를 위해 주도적인 공격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무승부만 거두어도 잔류가 확정되는 프랑크푸르트의 거센 수비에 고전하며 0-0의 팽팽한 접전이 이어지다가, 경기 종료 직전 프리킥 상황에서 [[파피 질로보지]]의 극적인 동점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를 거두면서 잔류에 성공하였다. == DFB 포칼 == 리가에서의 극심한 부진과는 대조적으로, [[DFB 포칼]]에서는 4강까지 진출하며 선전하였다. 그것도 1부리가 팀들을 원정에서 연속으로 만나는 불리한 일정에도 불구하고 이뤄낸 결과이다. 비록 결승 진출은 좌절됐으나 준결승 상대는 [[바이에른 뮌헨]]에 그마저도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원정 경기로 치러졌음을 감안하면 꽤나 선전한 결과다. === 1라운드 : SV 베르더 브레멘 2 vs 0 뷔르츠부르거 키커스 (AWAY) - 2015.08.08 === ||<-12>
'''{{{#ffffff SV 베르더 브레멘 (4-1-2-1-2)}}}''' || ||<-6> FW [br] 안토니 우자 ⚽ ||<-6> FW [br] 핀 바르텔스 ⚽ || ||<-12> MF [br] 막시밀리안 에게슈타인 [br] (56' [[레빈 외츠투날리]]) || ||<-6> MF [br] 즐라트코 유누조비치 ||<-6> MF [br] 플로리안 그릴리치 || ||<-12> MF [br] 필리프 바크프리데 [br] (90' 알레한드로 갈베즈) || ||<-3> DF [br] 울리세스 가르시아 [br] (94' 야넥 슈테른베르크) ||<-3> DF [br] 야닉 베스테르고르 ||<-3> DF [br] 아사니 루키먀 ||<-3> DF [br] 테오도르 게브레 셀라시에 || ||<-12> GK [br] 펠릭스 비드발트 || '''{{{#00a665 1:0 안토니 우자 (102' - 플로리안 그릴리치)}}}''' '''{{{#00a665 2:0 핀 바르텔스 (108' - 즐라트코 유누조비치)}}}''' === 2라운드 : vs 1. FC 쾰른 (HOME) - 2015.10.27 === 2라운드 대진 추첨 결과, 베르더는 쾰른을 상대로 홈경기를 갖게 되었다. 전반 23분 우자의 골로 1 : 0 으로 승리하였다. === 16강 : vs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AWAY) - 2015.12.15 === 강적인 묀헨글라트바흐를 만났으나 4 : 3으로 승리하였다. === 8강 : vs 바이어 레버쿠젠 (AWAY) - 2016.02.09 === 리가 3위에 빛나는 레버쿠젠을 상대로 치차리토에게 페널티킥 골을 내줬으나 산티아고 가르시아, 클라우디오 피사로, 플로리안 그릴리쉬의 연속 골에 힘입어 3 : 1 역전승을 거두고 4강에 진출하였다. === 4강 : vs 바이에른 뮌헨 (AWAY) - 2016.04.19 === 최강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토마스 뮐러에 2골을 내주며 0 : 2 로 패배,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하지만 바이에른 뮌헨과의 최근 수 년간의 경기 결과를 감안할 때, 상당히 선전한 편.[* 특히 바이에른 원정에서는 5골은 기본으로 실점하던 상황이었다. 2015-16시즌에도 바이에른 원정에서 0-5로 패배하였다. 다만 리가 원정경기에서 브레멘은 주전 선수들의 부상과 징계로 대거 빠진 상황에서 치러진 경기여서 불가피한 결과였고, 주전들이 복귀한 포칼 경기에서는 브레멘의 경기력 또한 나쁘지 않았다. 브레멘이 0-2로 패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브레멘 선수들의 평점은 최하가 4점이었으며, 수비 쪽에서는 2점대 선수들도 3명이나 나왔다.] [[분류:SV 베르더 브레멘/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