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Geometry Dash/역대 포럼 순위 1위)] [목차] == 개요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0deg, #610000, #EE0000); border-bottom: 1px solid #FFFFFF; border-left: 1px solid #FFFFFF; border-radius: 10px; border-right: 1px solid #FFFFFF; border-top: 1px solid #FFFFFF; padding-top: 10px; text-align: center; width: 100%" [[Geometry Dash/포럼 순위/역대 포럼 순위 1위|[[파일:Leaderboard_Top1.webp|width=60]] [[파일:ExtremeDemonGMD.png|width=60]][br]{{{-1 {{{#ffffff '''역대 포럼 순위 1위'''}}}}}}]]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F0A0B, #351112, #B22222, #B22222, #351112, #1F0A0B)" {{{+1 {{{#ffffff '''Sakupen Hell'''}}}}}}[br]{{{#ffffff '''Sakupen Hell - Published by TrusTa, Created by Noobas'''}}}}}}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영상 정렬, url=svyOjwLCErg)]}}} || ||<-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akupen Hell by Noobas! Verified by me in 22 199 attempts! :D''' }}} || ||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및 버전''' || || 895562 || 23262780 || 0분 50초 || 20251 || - (1.9) || ||<-5> {{{#!wiki style="margin: -16px -11px;" ||<:> {{{#fff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1'''(Hardest Demon) || || {{{#fff '''공식 포럼 현재 순위'''}}} || '''#339'''(Legacy Demon) || || {{{#fff '''난이도'''}}} || '''Extreme Demon''' || }}} || || {{{#fff '''공식 포럼'''}}} ||<-2> {{{#fff '''데몬리스트 점수(100%)'''}}} ||<-2> 없음 || || {{{#fff '''한국 포럼'''}}} ||<-2> {{{#fff '''데몬리스트 점수(100%)'''}}} ||<-2> 8.149 || ||<-5> '''{{{#!foldin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5px ||<|2>
'''공식포럼'''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 이상이 필요합니다.''' || || 42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05개가 100%입니다. || ||<|2> '''한국포럼'''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 이상이 필요합니다.''' || ||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5개가 100%입니다. || ||
'''유저명''' || '''퍼센티지''' || '''영상''' || }}}}}}''' || }}} - 1.9 시절 Noobas가 업로드한 데몬. 당시 기준 사실상 불가능한 난이도로 평가받았으며, 2015년에는 Bloodbath를 넘어 Silent clubstep 수준의 완전히 불가능 맵 판정을 받았다. Cataclysm과 Ice Carbon Diablo X가 계속 가장 어려운 데몬 자리를 차지하는거에 대해 Noobas가 고깝게 생각하여 만든 맵으로 자신이 베리파이한 영상을 올렸으나 핵으로 판명되었고, 그 뒤로 Noobas는 최고의 크리에이터와 실력자라는 명예를 잃었다. 그 후 맨 마지막 일자비행을 불가능에 가까운 히터클릭 듀얼 웨이브[* 심지어 2player 모드이다...]로 바꾼 두번째 버전으로 업데이트했다가 얼마 뒤 맵을 서버에서 삭제하였다. Combined, Riot[* 39~100을 갔었다]등의 유저가 계속 시도했으나 마침내 스웨덴 유저 TrusTa[* 당시 TrusTa는 비교적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Bloodbath를 겨우 13,000대 어템 끝에 클리어한 유망한 플레이어였다. 참고로 그의 13,000회가 당시 '''Bloodbath의 최소 어템 기록이었다!''']가 22,199 어템을 소비해 베리파이해서 다시 올렸다.[* 다만 불가능에 가까운 두번째 버전이 아닌 일자비행이 있는 첫번째 버전으로 클리어했다.] 익데답지 않게 초반 16%까지와 '''볼 파트'''는 비교적 할 만하다. 웬만한 고수라면 초반 짧은 소형웨이브를 운으로 통과하고 싸이클 구간을 지나 16%까진 갈 수 있다. 그러나 이 맵의 백미이자 난이도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3배속 미니웨이브로 0.5칸[* 판정이 좋아서 실제 체감으로는 0.7칸 정도 된다.], 그것도 가시로 뒤덮인 통로를 통과해야 된다'''. 심지어 저 구간은 이 맵에서 '''세 번''' 나온다. 이러한 점 때문에 50초의 길이에도 불구하고 길이가 2배에 달하는 당대 최고난이도 맵인 Bloodbath에 필적하거나,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Riot이나 spaceuk 등 이 맵이 Bloodbath보다 쉽다고 하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다. Riot은 이 맵이 1위에 올랐을 때 멍청한 짓을 한다고 욕했고, spaceuk는 이 맵의 설명창에 Bloodbath보다 쉽다는 내용밖에 적어두지 않았다. 그가 해커라고는 하지만 이 정도 수준의 맵은 쉽게 깰 수 있는 실력임을 감안하면 아예 무시할 만한 의견은 아니다. 현재는 블베와 거의 엇비슷한 난이도로, 익데 전체 중하위권(...)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2.0 초기 당시에는 이 맵을 깨는 데에 평균적으로 약 10000어템 정도가 소요되었었다. Bloodbath를 뛰어넘는 맵이라고 여겨졌지만 그 아래인 2위를 차지했었다. 이 때 대부분의 유저들은 Sakupen Hell이 더 어렵다고 판단했으나 [[홍진호|콩신]]이 내린건지 2등을 긴 시간동안 유지했다.[* 그 덕분에 Bloodbath는 오랜 기간동안 1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러 번의 난이도 재평가를 받아 Bloodbath를 뛰어넘고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나흘도 채 되지 않아 Aurorus가 베리파이한 [[Athanatos]]에게 자리를 빼앗기고, [[Sonic Wave]], [[Yatagarasu]] 등이 나오고 후에 [[Digital Descent]]가 등장하여 '''이 맵마저 10위권에서 퇴출되었다.''' 업로드된지 2달 반 만에, Superex라는 실력자가 Sakupen Hell을 클리어 하였다.[* 그 전에 Combined가 클리어 했다고 나오지만, 비공식이라서 정확하진 않다.] 또 '''하루 뒤''' ChiefFlurry가 Sakupen Hell을 클리어하였다. 그 후로부터 2주 뒤에는 [[Sonic Blaster#s-2|Sonic Wave]]를 클리어한 멕시코의 실력파 유저인 [[Sunix]]가 클리어했다.[* 다만 클리어 당시 기준으론 [[Sonic Wave]] 베리파이 전이다.] 일반적으로는 Bloodbath와 거의 동등한 난이도로 평가되며, BoJ나 Athanatos보다는 한 티어 정도 더 쉬운 맵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난이도 차이가 엄청 갈리는 웨이브가 주 모드이기 때문에 모든 모드가 적당하게 나오는 [[At the Speed of Light#s-2.3|Bloodbath]]와 달리 개인차가 판이하게 갈려 못 깨는 사람들은 오래 해도 깨기 힘들다. 물론 Bloodbath급 난이도를 가진 맵이므로 어지간한 유저들은 도전이 불가능하고, 최상위권 실력자가 아닌 이상 웨이브를 잘한다 해도 꽤 오래 연습해야 깰 수 있다. 한국 유저 Rainstorm이 차례차례 [[https://youtu.be/Zz5jPj4i-R0|29~95%]], [[https://youtu.be/M8s8pUw1FX4|80%]]를 기록했다. 그리고 7월17일자로 '''[[https://youtu.be/XMTo3qxWEH0|Rainstorm이 클리어했다!]]''' 한국유저 Kainite[* GD Chara]가 82%를 갔다가 마침내 [[https://youtu.be/F7miMvIdXz4|클리어했다!]] 한국유저 GD TIME가 81,82,85,87에서 죽은 끝에 [[https://youtu.be/oyTP4asFnPc|클리어했다!]] 현재 또다른 한국 유저인 gusxo가 [[https://youtu.be/Reumfgr02Es|84%]]를 갔다고 한다. 그렇게 계속해서 상향평준화에 의한 순위 하락 때문에 점점 연장포럼으로 추락할 기미가 보였고.... 결국에는 Zodiac이 포럼 1위로 등재됨에 따라 Bloodbath에 이어서 이 맵 또한 '''연장포럼으로 추락하게 되었다.''' 2020년 3월 26일 결국 Balengu Vortex에 밀려나서 포럼 순위 '''100위'''로 내려앉았다! 2021년 4월 28일 기준 포럼 147위로, 곧 [[Bloodbath]]처럼 Legacy로 내려갈 확률이 높다. 2021년 5월 8일 결국 Legacy로 내려갔다(!). Cursed가 최초로 60Hz로 [[https://www.youtube.com/watch?v=CBThTYohHjQ|클리어했다]](...) 그것도 거의 어템을 쓰지 않고. == 구간 == *스테이지를 구간별로 나누어서 서술합니다. ||'''1구간'''|| 0~15% [[https://youtu.be/KFMgMwMIHAE&t=84s|링크.]] 우선 7%까지는 맵 전체에 비해서는 쉬운 난이도의 큐브구간이 진행된다. 하지만 그냥 연타를 하면 되는것이 아니라 까다로운 타이밍을 맞추며 연타해야 한다. 그 후 7~8%는 0.5칸보다 약간 큰 틈으로 지나가는 소형 웨이브이다.[* 이 구간은 [[https://www.youtube.com/watch?v=qlj8fjpZAy4|원본 Sakupen Hell(L Legend의 핵 영상)]]에서 유일하게 너프를 먹은 구간이다. 해당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원래 이 구간은 거의 인간적으로 불가능한, '''소형 웨이브가 간신히 통과할 만큼의 너비'''를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이 영상을 볼 수 없는 상태다.] 보통 유저들은 이 부분에서 죽는 일이 다반사. 어렵지만 이 구간은 매우 짧다. 통과하고 나면은 9~15%까지 볼 파트인데, 딱히 어려운 건 없다. 그래도 타이밍을 잘 맞춰야 된다. ||'''2구간'''|| 15~29% [[https://youtu.be/lukprscPddU|링크.]] '''드롭파트'''로 Fexty마냥 직관적이지 않은 길+어두운 디자인+좁은 간격+간간히 박힌 가지 가시밭[* 일반 가시밭에 비해 가지 가시밭의 판정이 근소하게 크다.]으로 인하여 보이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특히나 17~18%의 간격이 헛웃음이 나올 정도로 좁은데, 이걸 3배속으로 통과해야 하므로 이 맵을 통틀어 가장 어려운 파트 중 하나로 꼽힌다. 실제로 실전에서 상당수의 어템이 15-18%에서 나간다. ||'''3구간'''|| 29~40% [[https://youtu.be/yr9lNFRMx_E&t=14s|링크.]] 우선 29~32%까지는 일반 큐브 모드로, 약간 빨리 눌러줘야되는 타이밍을 제외하곤 짧고 쉽다. 그 후에 32%부터는, '''이 맵의 하이라이트이자 난이도를 엄청나게 차지하는 구간이 온다.''' 무려 3배속 소형웨이브인데, '''가시로 뒤덮인 0.5칸의 틈으로 길을 지나가야 한다!!''' 이는 [[Sonic Blaster#s-2|Sonic Wave]]에서도 한두군데 간간이 등장하는 난이도이다. 이게 얼마나 어렵나면, 50초의 짧은 길이에 아주 쉬운 듀얼 구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Bloodbath급으로 난이도를 올려버렸다. ||'''4구간'''|| 40~74% 40%부터는 UFO 구간으로, 외우면 클리어할 수 있지만 이 맵이 만들어질 당시에는 굉장히 쉬운 파트였는데 '''RobTop이 UFO의 점프 높이를 높이는 업데이트를 자행하여서 굉장히 어려워졌다.''' 특히나 첫 번째 점프는 버그성으로, 매우 어렵다. 그 후로부터 50% 이후는 비행기 구간이다. 61%까지는 2배속으로 1칸보다 약간 넓은 길이 꺾여있다. 그 후 3배속 소형 비행기가 되는데, 공점을 잘 눌러야 된다. '''특히 70%부근은 연속적으로 5번 공점을 눌러서 비행해야 한다!!''' 3배속이다 보니 조금 엇나가면 가차없이 죽는다. ||'''5구간'''|| 74~81% [[https://youtu.be/gxw23JB4X94|링크.]] UFO와 볼 모드로 이루어진 듀얼. 연타만 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쉽지만, 연타를 느리게 하거나 삐끗 잘못 하면 죽을 수도 있다. 실제로 이 맵을 베리파이한 Trusta도 듀얼 부분에서 한 번 죽은 적이 있었다. 다른 부분에 비해서 완전 대놓고 쉽기 때문에, 여기서 죽으면 더 깊은 빡☆침을 느낄 수 있다. 또 80%에 웨이브로 짧은 1칸 넓이의 가시를 통과해야 한다.[* Rainstorm이 이 부분에서 죽었다.] ||'''6구간'''|| 81~100% [[https://youtu.be/XMTo3qxWEH0&t=53s|링크.]] 81~89%까지 32%대에 있었던 소형웨이브가 다시 반복된다. 3배속 소형웨이브로 가시로 뒤덮인 '''0.5칸의 틈으로 길을 지나가는 것은 정말 극악 그 자체로, 전체 웨이브에서 가장 어렵다는 평가를 받지만 짧다.''' 그 후 90%대부터는 소형 비행기로 1칸비행을 하면 끝이다.[* 그런데... Nordwing이라는 유저가 [[https://youtu.be/nMYATCo1fWo|마지막 가시에서 죽어]] 95%를 찍었다!!!] == 여담 == *오래된 버전은 (Noobas가 2.0이 되면서 바꾼 부분) 맵의 엔딩이 현재와 다른데 1칸 비행 대신 '''2p 모드로 3배속 듀얼 미니웨이브를 타이밍+광클'''해야 돼서 불가능에 가깝다. [[https://youtu.be/hJ5O-TENiQE|오토 버전]] 이후 유저층의 상향평준화로 연타 속도가 말도 안 되게 빠른 유저들이 등장하며 이 구간만 클리어하는 데는 성공한 유저가 나왔다. [[https://youtu.be/Bleruo4m65U|#]] *여담으로 투명도 10% 버전(...)[* 사실상 거의 안 보이는 수준이다.]인 [[https://youtu.be/pxZxFLpp17w|Invisihell]]이 존재한다. 올린 사람은 클리어한 사람 중 한 명인 ChiefFlurry. 베리파이어인 TrusTa와 초고수 유저인 Sunix마저 WTF을 외쳤으니... *여지껏 포럼 1등을 먹었던 데몬 중 가장 1위에 짧게 머물렀었는데, 머무른 기간은 '''단 3일이었다.''' 그러니 3일 만에 [[Athanatos]]에게 자리를 빼앗긴 것이다. 이후 [[Crimson Planet]]이 '''14시간'''으로 기록을 갱신했다. CP는 해커로 밝혀진 [[Zodiac(Geometry Dash)|Zodiac]]의 베리파이어 xander가 의도적으로 별이 떨어지도록 이상한 업데이트를 했고 그 동안 CP가 1위로 올라온 것이기 때문에, 여전히 외부적 이슈 없이 순수하게 업로드된 맵에게 치인 건 Sakupen Hell이 최단 기록이다.[* 그 뒤에는 클리어자가 나오며 재평가로 4일 만에 자리를 빼앗긴 [[Stalemate Redux]]가 있다.] *역시나 여느 어려운 데몬이 그렇듯 쉬운 버전이 존재한다. 일명 [[https://youtu.be/gzuA2ILRDyc|Sakupen Heaven.]] -- 댓글에 자신에겐 천국처럼 보이진 않는다 라는 반응이 있다 -- *Sakupen은 그냥 원곡 제작자의 닉네임이다. 그런데 리믹스 버전의 제작자가 원곡자와 노래이름[* Hell Yes! ~~해석하면 [[존나좋군?]]~~]를 붙여 노래를 내놨다. *여담으로 이 맵의 리메이크인 Kenos가 제작되었다. '''맵이 XL 길이로 연장되고 대부분의 파트가 상향되었으며 쉽던 파트들도 모조리 사라졌다!''' 베리파이어는 crazen과 Combined[* 유튜브채널 이름은 combi다.]였는데 Combined가 '''97%를 두 번씩이나''' 갔다. 이후 crazen과 Combined 둘 다 포기하였으며, 베리파이 권한을 받은 npesta가 '''13만 어템'''끝에 [[https://youtu.be/Bs1kVySdUtI&t|베리파이했다]]! Knobbelboy의 Bloodlust 리액션을 능가하는 미친 사람처럼 웃어대는 듯한 리액션으로 npesta가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심지어 [[https://youtu.be/Lq8QxKnN_5I=92s|퓨디파이(!!!)의 밈 리뷰 영상]]에까지 그가 등장했다] 이후 데몬리스트 최상위권[* 당시 Zodiac 바로 아래인 2위에 배치되었다!]에 배치되었다. [[분류:Geometry Dash/온라인 레벨]][[분류:Geometry Dash/역대 포럼 순위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