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사쿠라 후부키, other1=붕괴3rd에 등장하는 무기, rd1=영도·사쿠라 후부키)] [목차] [youtube(0keUnlH_0IY)] == 개요 == [[BOF|BOFU2015]] 참가곡. 작곡가는 Street, BGA 제작자는 アーモンド王子とプリン姫. ほいほい~(호이호이~)[* Diverse System에 주로 곡을 투고해오던 아티스트로 구성된 팀.]팀의 곡이다. 곡명의 뜻은 [[벚꽃]] [[눈보라]]. 일본풍 사운드와 전자음의 조화가 인상적인 곡으로 4위라는 매우 높은 순위를 달성했다. 이미 Diverse System에서는 유명한 인물들이었기 때문이긴 해도, 이 팀 또한 BOF 첫 출전에 높은 순위를 기록하게 된다. 2015년 당시 이 곡은 한 작곡가의 BOF 첫 출전곡으로는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었다. 개인 순위 기록은 갈아치우지 못했는데, 이 부문에서는 초기 BOF 대회를 제외하면 Grand Thaw의 [[ERIS]]가 3위로 첫 출전곡으로는 가장 높은 순위였으며, 2017년에는 [[Berry Go!!]]가 순위와 총점을 갈아치웠지만, 2020년에는 완벽한 상위호환인 [[NightTheater]]이 나와버렸다. == 대회 결과 == 총점 : '''184861''' (168 임프레션) [* 에이스 적용시 231076.25] 중앙값 : '''1000.00''' / 1000.00 평점 : '''972.95''' / 1000.00 개인전 스코어 순위 : '''4위''' 개인전 중앙값 순위 : '''6위''' 개인전 평균값 순위 : '''10위''' == [[Groundbreaking]] 2015 == [youtube(EiezSMn5Nqs)] '''Sakura Fubuki (Arrange ver.)''' Groundbreaking 2015의 DISC 4에 수록되었다. 이 곡이 속한 ほいほい~팀은 Sakura Fubuki, LOSTAIR, INSERT COIN 3곡이 모두 Groundbreaking에 수록되는 기염을 토했다. 앨범판으로 어레인지되면서, 앞부분에 BMS판에는 없던 조금 더 잔잔한 부분이 추가되었다. === 곡 코멘트 === > '''いや~有名な曲になりました。''' > 이야~ 유명한 곡이 되었습니다. == [[Be-Music Script|BMS]] == === 개요 === ||<#FFA,gold><:> '''곡명''' ||<:> '''Sakura Fubuki''' || ||<#faf,#9400d3><:> '''[[장르|{{{#373a3c,#ddd 장르}}}]]''' ||<:> '''Drumstep''' || ||<#afa,#228b22><:> '''[[BPM|{{{#373a3c,#ddd BPM}}}]]''' ||<:> '''175''' || ||<#faa,brown><:> '''[[작곡가|{{{#373a3c,#ddd 작곡가}}}]]''' ||<:> '''Street''' || ||<#aff,#191970><:> '''[[BGA|{{{#373a3c,#ddd BGA}}}]]''' ||<:> '''アーモンド王子''' || ||<#aaf,#4169e1><:> '''BGA 형식''' ||<:> '''MPEG-BGA''' || ||<#aaa,dimgray><:> '''Extended''' ||<:> '''Groundbreaking''' (02:58) || [youtube(gXsGoHmiO1c)] ||<-7> [[Be-Music Script]] 난이도 체계 || || |||| 노멀 |||| 하이퍼 |||| 어나더 || || 7K || {{{#blue,#6495ed ☆4}}} || {{{#blue,#6495ed 257}}} || {{{#orange ☆9}}} || {{{#orange 556}}} || {{{#red ☆12}}} || {{{#red 969}}} || === 차분 === ||<-6>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 二度咲き || ▼20 || 2815 || {{{#green,#0c0 EASY}}} || UnK-now/37X || 제2발광 || || 桜、夢。 || sl1 || 1121 || {{{#green,#0c0 EASY}}} || Triforce ||<|2> 새틀라이트 || || ZOI || sl6 || 1413 || {{{#green,#0c0 EASY}}} || SUZUKAZEΛ || [youtube(CJalMedcYjQ)] 二度咲き 차분 영상 == [[Zyon]] == [[DataErr0r]]와 같이 수록되었다. [[https://twitter.com/Zyon_RhythmGame/status/709195206977949697|트위터]] 최초의 싱글 레벨 11이 나왔으며, 고속의 폭타가 나온다. 특히 듀얼모드 HARD 보면이 말이 많은데, 보통 속도로 진행되다 갑자기 초견플레이 불가능 수준으로 속도가 매우 빠르게 바뀌더니 그대로 폭타가 쏟아진다. 이에 대해 시스템상 16분음표를 못 넣어서 변속으로 대체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한 유저들도 있다. == [[CHUNITHM]] == 12월 1일에 [[Kronos]], [[JULIAN]]과 함께 이식됐다. == [[Dynamix]] == === 정보 === ||||||||||||
[[Dynamix]]의 이벤트 곡 || ||<|2><:>2016 12/30[br]~[br]2017 01/08|| 9번째 ||<|2> → || 10번째 ||<|2> →|| 11번째 || ||<:>[[Persephone#s-2]]||<:>'''[[Sakura Fubuki#s-6]]'''||<:>[[AKI-ZAKURA]]|| ||<:>re open||||||||||<:>[[Chrysoberyl]]|| ||<-7> {{{#!folding [Sakura Fubuki의 re-open 기록 보기]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2><:>2016 01/13[br]~[br]2017 01/22|| 15번째 ||<|2> → || 16번째 ||<|2> →|| 17번째 || ||<:>[[Cervelle Connexion]]||<:>[[Soul Army]]||<:>[[Theme of Rabi-Ribi]]|| ||<:>re open||||||||||<:>[[Go Escape]], [[Sakura Fubuki]]|| ||<|2><:>2017 08/25[br]~[br]2017 09/03|| 41번째 ||<|2> → [* 이전 주에는 신곡 대신 [[Chrysoberyl]], [[Before Sunrise]]가 복귀했다.] || 42번째 ||<|2> →|| 43번째 || ||<:>[[天泣 -fracture-]]||<:>[[Arcana Idola]]||<:>[[Justice Justice]]|| ||<:>re open||||||||||<:>[[Sakura Fubuki#s-6]], [[αterlβus]], [[Offshore#s-4]], [[春菊]], [[Perspicuus_Aestus]]|| ||||||||||||
[[Dynamix]]의 이벤트 곡 || ||<|2><:>18.02.18[br]~[br]18.02.25|| 64번째 ||<|2> → || 65번째 ||<|2> →|| 66번째 || ||<:>[[Emulisy]]||<:>[[Own The Night]]||<:>[[曇る鑑《かがみ》の霧を含みて]]|| ||<:>re open||||||||||<:>[[Arcana Idola]], [[Sakura Fubuki]] [br] [[Dynamix/Wave Test|모든 Wave Test(1~11) 레벨이 열림]] || ||<|2><:>18.07.27[br]~[br]18.08.05|| 86번째 ||<|2> → || - ||<|2> →|| 87번째 || ||<:>[[Startail]]||<:>복각 이벤트||<:>[[夏色メランコリー]]|| ||<:>re open||||||||||<:>[[Sakura Fubuki]], [[Persephone]], [[紅]], [[Cryonix]]|| ||<|2><:>2019.08.09[br]~[br]2019.08.18|| 134번째 ||<|2> → || 135번째 ||<|2> →|| 136번째 || ||<:>[[オレンジ(Dynamix)| オレンジ]]||<:>[[Destruction(Dynamix)|Destruction]]||<:>[[The Path(Dynamix)|The Path]]|| ||<:>re open||||||||||<:>[[紅(Dynamix)|紅]][* 예고 사진에 紅이 원래 난이도와는 다른 메가 15로 출시된다고 하여 논란이 있었다가 원래대로 고쳐졌다.], [[Sakura Fubuki]][* 이 복각으로 기가 15레벨 채보가 추가되었다.] || }}}}}} || ||||||||
'''Sakura Fubuki''' || |||||||| [[파일:SakuraFubukiDynamix.png|width=240]] || ||<:>작곡가||||||||||||||||||||<:>Street|| ||<:>BPM||||||||||||||||||||<:>175|| ||<:>난이도||||<:>레벨||||<:>노트수|| ||<:>{{{#green CASUAL}}}||||<:>{{{#green 4}}}||||<:>{{{#green 355}}}|| ||<:>{{{#00bfff NORMAL}}}||||<:>{{{#00bfff 7}}}||||<:>{{{#00bfff 444}}}|| ||<:>{{{#red HARD}}}||||<:>{{{#red 10--11--}}}||||<:>{{{#red 802}}}|| ||<:>{{{#purple MEGA}}}||||<:>{{{#purple 14}}}||||<:>{{{#purple 1078}}}|| ||<:>{{{#gray GIGA}}}||||<:>{{{#gray '''15'''}}}||||<:>{{{#gray 1424}}}|| ||||<:>좌측라인||||<:>우측라인|||| ||||<:>슬라이드||||<:>일반&홀드|||| [youtube(fdPmXwSFCXc,width=640)] 기가 난이도 오토플레이 영상. 10번째 이벤트 곡이며, BGA는 없다. 전 난이도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Narrow 옵션을 건 것 마냥 크기가 작은 노트가 일상처럼 나온다.''' 따라서 플레이할 때 어느 정도의 정확도를 요구한다. --그리고 여기서 25% 내로우를 걸면 가관이다-- ==== 캐주얼 ==== 캐주얼 4레벨 답게 노말 정도의 난이도를 요구한다. 굿이 뜰 수 있는 패턴이 많아 오메가 난이도는 더 올라간다. ==== 노말 ==== 캐주얼과 마찬가지로 굿이 뜰 수 있는 패턴이 많다. ==== 하드 ==== [youtube(HIQpW0sJbr8,width=560,height=315)] 하드 난이도 오메가 영상. 플레이어는 nanoflower. 하드인데도 불구하고 사실상 '''네 손가락'''을 요구하는 패턴이 덥스텝 구간에서 나온다. ==== 메가 ==== [include(틀:Dynamix/Wave Test/Class10-XRay-1)] [youtube(n2Q18SzoWfk,width=560,height=315)] 메가 난이도 채보 영상. 플레이어는 nanoflower. 전체적으로 홀드노트와 슬라이드노트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초반과 덥스텝 구간 그리고 후반부에 홀드노트를 이용한 트릴이 많이 나온다. 초중반에 나오는 3동 홀드 트릴은 양손 세 손가락으로 할 경우 뻘밋이 자주 나므로 세 손가락보단 두 손가락을 이용해 노트들의 사이를 치는 방법으로 처리하자.[* 비슷한 예시로 [[Variance]] GIGA의 3동시타 노트를 2손가락으로 처리하는 예가 있다.] ==== 기가 ==== [youtube(ztgosmdKxtY)] GIGA '''오메가'''영상. 플레이어는 '''adashi'''. '''Dynamix 채보 암흑기의 시작''' 2019년 8월 9일, 복각과 함께 '''기가 채보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채보 퀄리티 면에서 심각한 악평을 듣고 있다. 첫째는 손배치를 전혀 고려 하지 않은 양 사이드와 센터가 각각 따로 노는 듯한 채보, 그리고 둘째는 Homeee가 Sakura fubuki 기가 채보가 추가됐을 때 나온 신곡인 [[Destruction(Dynamix)|Destruction]]이 나쁘지 않은 퀄리티를 뽑아냈다는 점에서 유저들의 실망과 비난은 더욱 커졌다. 채보 제작자인 Homeee 본인도 이 보면을 낸걸 후회한다는 [[https://twitter.com/HomeeeDNX/status/1160063386195025920|트윗을 올렸지만]] 유저들의 반응은 오히려 악화됐다. 심지어 이 곡은 질 낮은 채보의 시작일 뿐이였고, 이후 [[The Path(Dynamix)|The Path]], [[Youth(Dynamix)|Youth]]와 같은 질 낮은 채보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생각보다 괜찮다는 의견도 있지만 소수. 메가의 채보를 대폭 강화한--갈아엎은-- 형태로, 초반에는 좌슬라이드[* 메가와 똑같이 위에서부터 천천히 내려온다.]+트릴+우사이드 홀드로 이어 나가다가, 초중반 쯤 드랍 파트가 시작될 때부터 '''좌슬라이드가 끔찍하게 돌아가기 시작한다.''' 끝과 끝을 횡단해야하는 슬라이드가 계속해서 나오며,[* 영상 기준 27초 부터] 슬라이드 노트의 크기도 매우 작아 슬라이더를 일일이 움직여 주어야 한다. 가독성이 심하게 떨어지는 센터의 슬라이드 노트는 덤. 움직임이 큰 좌슬라와 센터트릴이 나오는 파트는 센터 트릴을 한 손으로 처리 해야 좌슬라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 후 센터에서 변형 트릴이 나오며, 마지막은 홀드+트릴이 나오며 끝난다. 손배치를 잘 못 짜면 손이 꼬이기 쉬운 채보라 바로 [[폭사|골로 간다.]] 탑랭커 Yuu가 [[https://twitter.com/Mariomaker__Yuu/status/1159694237471895552?s=19|73분만에 오메가를 달성했다.]][* 공교롭게도 [[The Endless for Traveler]] MEGA 채보의 첫 오메가가 뚫리기까지 걸린 시간하고 '''똑같다.'''] 채보가 공개 된지 하루 뒤인 8월 10일에 한국의 탑랭커 Bridge도 [[https://twitter.com/Bridge_XD/status/1160022498546634752?s=19|오메가를 달성했다.]] --좋지 않은 채보라는 말과 함께-- == [[MUSYNC]] == [youtube(JKHgI-L7Yn8)] 하드 보면 오토플레이 영상. == [[maimai]] ==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Arcaea/Sakura Fubuki.jpg|width=150]] || [[파일:Arcaea/Sakura Fubuki.jpg|width=150]] || [[파일:Arcaea/Sakura Fubuki.jpg|width=150]] || [[파일:Arcaea/Sakura Fubuki.jpg|width=150]] || || 레벨 || 5 || 12 || 15 || 17 || || 체인 수 || 641 || 1497 || 1715 || 2504 || || 일러스트 담당 ||<-4> アーモンド王子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からあげブラザーズ || || 수록 시기 ||<-4> VI 01 (2021/02/17) || || [[BPM]] ||<-4> 175 || [youtube(GHGYridSLDA)] MXM 채보 PUC 영상. 익시드 기어의 신요소인 완전한 곡선 형태의 노브를 적극 사용한 패턴. 노브가 꺾이는 타이밍을 예측하기 힘들어 탈선이 잘 일어나고, 덥스텝 구간에서 나오는 꼬인 노브와 손교차 패턴으로 인해 초견 난이도가 꽤 있으니 미리 채보 숙지를 해놓는 것이 좋다. == [[Arcaea]] == === 채보 === [include(틀:Arcaea/채보/빛, 곡명=Sakura Fubuki, 작곡=Street, BPM=175, 단독제작=én, PST레벨=3, PRS레벨=5, FTR레벨=9, PST세부레벨=3.5, PRS세부레벨=5.5, FTR세부레벨=9.3, PST노트=526, PRS노트=571, FTR노트=837, 배경=Divided Heart, short스토리=, 특이사항=처음부터 플레이 가능한 레벨 9 채보, 확장자=)] [include(틀:Arcaea/Arcaea)] 정말 오랜만에 추가된 기본 해금곡. ==== Past ==== [youtube(JlX9Nl7Hac0)] MAX SCORE (이론치) 영상 ==== Present ==== 난이도가 5로 책정되었으나, 8비트 동타에 16비트 트릴까지 나온다. 따라서 패턴밀집곡이며, 사람에 따라 불렙까지 갈 수도 있다. ==== Future ==== [youtube(PEXpk0EPU9g)] '''MAX SCORE(이론치)''' 영상. 플레이어는 melankuma. [youtube(c8E8Tp0KzEI)] 차트 뷰 영상. 유일하게 해금 조건이 없는 9레벨 곡이다. 전체적으로 무난한 9 중위권이나, 초중반의 아크 패턴과 후살로 인해 개인차가 갈릴 수 있다. == [[Rizline]] == [[분류:BOF/수록곡]][[분류:Dynamix의 수록곡]][[분류:Muse Dash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분류:Arcaea의 수록곡]][[분류:Rizline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