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클 잭슨)] ||<-5> '''{{{+1 [[Michael Jackson]] {{{#b2a529 역대 싱글}}}}}}''' || || ''[[Gone Too Soon]]''[br](1993) || {{{+1 →}}} || ''' ''Scream'' / ''[[Childhood]]''[br](1995)''' || {{{+1 →}}} || ''[[You Are Not Alone]]'' (1995) || ||<-5> '''{{{+1 [[Janet Jackson]] {{{#b2a529 역대 싱글}}}}}}''' || || ''[[Whoops Now/What'll I Do]]''[br](1995) || {{{+1 →}}} || ''' ''Scream''[br](1995)''' || {{{+1 →}}} || ''[[Runaway(자넷 잭슨)|Runaway]]'' (1995) || ||<#ffffff><-5><:> {{{+2 '''Scream''' }}} || ||<-5><:><#ffffff> [[파일:Scream.jpg|width=100%]] || ||<:><#ffffff>'''아티스트'''||'''[[Michael Jackson]] and [[Janet Jackson]]''' || ||<:><#ffffff>'''수록 음반'''||<-4><#ffffff>'''[[HIStory: Past, Present and Future, Book I]]''' || ||<:><#ffffff>'''A-side'''||<-4><#ffffff>'''"Childhood"''' || ||<:><#ffffff>'''발매일'''||<-4><#ffffff>'''1995년 5월 31일''' || ||<:><#ffffff>'''녹음 기간'''||<-4><#ffffff>'''1994년 10월[br]1994년 12월''' || ||<:><#ffffff>'''스튜디오'''||<-4><#ffffff>'''The Hit Factory ([[뉴욕 주]] [[뉴욕]])''' [br] '''Flyte Tyme Studios ([[미네소타 주]] 에디나)''' || ||<:><#ffffff>'''장르'''||<-4><#ffffff>'''[[댄스 팝]], [[컨템퍼러리 R&B|R&B]], [[뉴 잭 스윙]]''' || ||<:><#ffffff>'''길이'''||<-4><#ffffff>'''4:38''' || ||<:><#ffffff>'''레이블'''||<-4><#ffffff>'''[[에픽 레코드|Epic]]''' || ||<:><#ffffff>'''송라이터'''||<-4><#ffffff>'''[[Michael Jackson]], [[Janet Jackson]], [[Jimmy Jam and Terry Lewis]]''' || ||<:><#ffffff>'''프로듀서'''||<-4><#ffffff>'''[[Jimmy Jam and Terry Lewis]], [[Michael Jackson]], [[Janet Jackson]]''' || [목차][clearfix] == 개요 == [[마이클 잭슨]]과 [[자넷 잭슨]]의 1995년 노래. 마이클 잭슨의 앨범 [[HIStory: Past, Present and Future, Book I]]에 수록되었다. 이 곡은 〈Childhood〉와 함께 싱글컷됐는데 [[호주]]와 [[벨기에]], [[스페인]]에서 1위를 했고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영국]]에서 3위, [[아일랜드]]에서 6위를 기록하는 등 유럽 내에서는 흥했으며 [[빌보드 핫 100]]에서도 5위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다만 당시 마이클과 자넷의 입지를 생각하면 조금 낮은 성적이기는 하다.] 마이클이 노래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fuck|직설적인 욕설]]을 사용한 노래이다. 2번째 후렴구에서 매우 정직한 발음으로 "Stop '''fuckin' ''' with me"라고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뮤직 비디오에서는 이 부분에 자넷이 카메라를 향해 [[뻐큐|가운뎃손가락]]을 날린다. == 배경 == [youtube(eVI8RJnLWGM)] == 뮤직비디오 == [youtube(0P4A1K4lXDo)] 뮤직비디오 제작에만 700만 달러가 투입돼 '''역사상 가장 많은 돈을 들여 제작한 뮤직 비디오'''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기네스 공인이 그렇다는 것이고, 메이킹 필름에 의하면 실제로 이것보다 더 많은 제작비가 들어간 뮤직비디오가 있다고 한다.] 참고로 뮤직비디오에서 나오는 애니메이션은 [[바벨 2세]]의 1992년판. 뮤직비디오에서 자넷의 헤어와 메이크업 역시 바벨 2세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우주를 테마로 한 SF 컨셉 뮤직비디오의 시초이기도 하다. 이 뮤직비디오 이후 90년대에 같은 컨셉의 MV가 우후죽순 나온다. 대표적인 예가 [[TLC]]의 [[No Scrubs]], [[Unpretty]] 등. == 라이브 영상 == '''아쉽게도 마이클과 자넷이 이 곡을 함께 공연한 적은 없다.''' 마이클은 History 투어에서 이 곡을 솔로버전으로 공연했고, 자넷의 부분들은 자신이 직접 불렀다. 자넷은 마이클 사후 추모 트리뷰트 및 2015년 투어에서 이 곡을 불렀다. [youtube(7wI6h0J5v2M)] 1997년 [[코펜하겐]] 공연 [youtube(Z_mIw_530sw)] 2009년 [[vma]] 마이클 잭슨 트리뷰트 공연 [youtube(-ueHgKdixJU)] 2017년 State of the World 투어 공연 ==# 가사&해석 #== ||[Michael:] Tired of injustice 불의에 지치고 Tired of the schemes 계획들에 싫증이 나 The lies are disgusting 역겨운 거짓말들 So what does it mean? 대체 무슨 의미인지 Damn it 젠장 Kicking me down 날 쓰러뜨리지만 I got to get up 난 일어나야 해 As jacked as it sounds 농담처럼 들리겠지만 The whole system sucks 시스템 자체가 엉망이야 Damn it 젠장 [Janet:] Peek in the shadow 그림자를 보다 보면 Come into the light 빛이 들어와 You tell me I'm wrong 내가 틀렸다 말하지만 Then you better prove you're right 네가 옳다는 걸 증명해야 할 거야 You're sellin' out souls, 넌 영혼을 팔지만 But I care about mine 내건 좀 소중하거든 I've got to get stronger 더 강해져야겠어 And I won't give up the fight 절대 싸움을 포기하진 않을 거야 [Michael:] With such confusions don't it make you wanna scream? 이렇게 혼란스러운데 넌 비명도 나오지 않는지 [Janet:] Make you wanna scream 비명도 안 나오는지 [Michael:] Your bash abusin' victimize within the scheme 계획에서 이루어지는 너의 공격과 학대들 [Janet:] You try to cope with every lie they scrutinize 넌 그들이 만들어낸 거짓에 집중하지 [Both:] Somebody, please have mercy 제발, 자비를 베풀어줘 'Cause I just can't take it 더 참을 수가 없어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압박하지마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Make me wanna scream 소리지르고 싶어져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그만 밀어붙여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Make you just wanna scream 소리지르고 싶어져 [Michael:] Tired of you tellin' 네가 말하는 것과 The story your way 네 방식의 이야기에 싫증이 나 It's causin' confusion 점점 헷갈리는데 You think it's OK 넌 그게 괜찮다 생각하네 Damn it 젠장 [Janet:] You keep changin' the rules 왜 계속 게임 도중 While I keep playin' the game 룰을 바꿔대는 건지 I can't take it much longer 더 버틸 수가 없어 I think I might go insane 곧 미칠 것만 같아 [Michael:] With such confusion don't it make you wanna scream? 이렇게 혼란스러운데 넌 비명도 나오지 않는지 [Janet:] Make you wanna scream 비명도 안 나오는지 [Michael:] Your bash abusin' victimize within the scheme 계획에서 이루어지는 너의 공격과 학대들 [Janet:] You find your pleasure scandalizin' every lie 넌 거짓으로 화를 돋구며 기뻐하지 [Both:] Oh, Father, please have mercy 오, 아버지 제발 도와줘요 'Cause I just can't take it 더이상 버틸수 없어요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압박하지 마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Make me wanna scream 소리 지르고 싶어져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그만 밀어붙여 Stop fucking with me 나에 대해 씨부리지좀 마 Make me wanna scream 소리 지르고 싶어져 [Janet:] "Oh, my God, can't believe what I saw as I turned on the TV this evening I was disgusted by all the injustice, all the injustice" "신이시여, 내가 오후에 TV에서 본게 믿겨지지 않아 모든 불의에 구역질이 나더라, 모든 불의에" [Michael:] "All the injustice" "모든 불의에" [News Man:] "A man has been brutally beaten to death by police after being wrongly identified as a robbery suspect. The man was an 18 year old black male..." "한 남자가 절도 용의자로 오인받아 출동한 경찰에 의해 끔찍하게 사살되었습니다. 피해자는 18세 흑인 남성으로..." [Michael:] With such collusions don't it make you wanna scream? 이 비리 속에서 절로 비명이 나오지 않는지 [Janet:] Make you wanna scream 비명도 안 나오는지 [Michael:] Your bash abusin' victimize within the scheme 음모 속에서 이루어지는 너의 공격과 학대들 [Janet:] You try to cope with every lie they scrutinize 넌 그들이 만들어낸 거짓들에 집중하지 [Both:] Oh, brother, please have mercy 오 형제여, 제발 도와줘 'Cause I just can't take it 더는 참을 수가 없어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압박하지 마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Make me wanna scream 소리 지르고 싶어져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그만 밀어붙여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Make me wanna scream 소리 지르고 싶어져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압박하지 마 Stop pressurin' me 날 압박하지 마 Make me wanna scream 소리 지르고 싶어져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Just stop pressurin' me 제발 날 그만 밀어붙여 Stop pressurin' me 날 그만 밀어붙여 Make me wanna scream 소리 지르고 싶어져 ||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2위, [[빌보드 핫 100]]에서 5위를 기록했다.[* 당대 팝의 아이콘이었던 마이클과 연이은 앨범의 성공으로 최고 주가를 달리던 자넷의 합작임을 감안하면 그렇게 높은 성적은 아니다.] [[1995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56위, 1995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선 62위에 올랐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IStory: Past\, Present and Future\, Book I , version=238, paragraph=2.2)] [[분류:마이클 잭슨/디스코그래피]][[분류:자넷 잭슨]][[분류:빌보드 핫 100 5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2위 노래]][[분류:1995년 노래]][[분류:1995년 싱글]][[분류:댄스 팝]][[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뉴 잭 스윙]][[분류:Jimmy Jam and Terry Lew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