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 [include(틀: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역대 시즌)] ||<-5> '''{{{#E9C774 Snake Esports의 역대 시즌}}}''' || || 창단 ||<:> ← || {{{#1E1E1E '''2014 시즌'''}}} || → || [[Snake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2015 시즌|2015 시즌]] || [목차] [clearfix] == 개요 == [[Snake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Snake Esports]]의 2014년에 대해 서술한 문서. === 2014 시즌 === 2015 LPL 스프링에 정규시즌 2위를 차지한 돌풍의 팀. 시즌 시작 직전 중국 현지에서는 '''12팀 중 12위'''로 예상했다. 즉 시즌 중반까지 3약을 형성하던 WE, GT, EP나 시즌 후반 하락세로 멸망한 M3, Royal Club보다도 훨씬 낮은 평가를 받았다는 뜻이다. '''하지만 꾸준히 1~3위권'''을 맴돌다 OMG가 미친듯한 무승부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을 틈타 2위까지 차지했다. 그런데 위키에는 정규시즌이 끝나고 다음 시즌이 개막하고도 문서가 분리되지 않고 있었던 비운의 팀이다(...)~~팀 코스트에 오리겐에 팀 8까지 별의별 팀 문서가 다 있는데 스네이크가 없다니 이게 무슨 소리요? 무슨 소리긴 LPL 한국인 시청자는 전부 구 삼성 팬인거지(...)~~ 2013년 11월에 결성된 역사가 짧지 않은 팀이며, 2014 LSPL 서머시즌에 2위를 기록했다.~~근데 왜 순위예상이 GT랑 EP 아래였던거지?~~[* GT나 EP의 몇몇 포지션에 스네이크보다 뛰어난 선수들이 있기는 했지만 그보다는 아마도 한국 '''무명''' 선수 영입으로 인한 반감이 원인으로 추정된다.~~근데 결과적으로 한국 무명 선수 영입해서 망한건 EP다. [[강퀴]]가 말하길 중국인선수들과 한국인선수들 사이가 나빴다고 한다. 시즌이 끝나고 아멜은 팀에 남았고 라파엘은 팀을 나갔는데 실력이 나빴던건 아닌지 hyper youth gaming 소속으로 lspl 준우승을 달성하며 lpl로 돌아오게 된다.~~ 덤으로 서머시즌 2위긴했으나 3위였던 EP하고 승점차이가 1점차이였다.] [[분류:L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