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U+00AD, SOFT HYPHEN, 줄여서 SHY. HTML 엔티티는 ­이다. UTF-8에서는 %C2%AD가 된다. == 상세 == [[유니코드]] 문자의 하나로, 줄 바꿈(line breaking)과 관련이 있다. [[영어]]나 [[독일어]] 등의 서양 언어에는 긴 단어들이 많이 있고, 긴 단어의 중간에서 줄을 나누고자 할 때는 단어가 나뉘는 부분에 하이픈을 넣고 단어를 두 줄에 나눠 적는다. 이 soft hyphen은 줄을 어디서 나눠야 하는지 힌트를 주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쓰는 하이픈은 언제나 출력되는 문자이지만, 이 soft hyphen은 일반적으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자동 개행이 적용된 줄의 끝에서만 모습을 드러내는 문자이다. == 사용 예시 == {{{#!wiki style="text-align: justify; text-justify: distribute; word-break: normal;" 예를 들어 이런 문장이 있다고 해 보자. {{{#!wiki style="border:2px solid #77777777; padding: 0 10px; max-width:50em" {{{+3 The longest word in major English dictionaries is pneumonoultramicroscopicsilicovolcanoconiosis, which consists of 45 letters.}}}}}} 워드 랩을 적용하면 [[진폐증|pneumonoultramicroscopicsilicovolcanoconiosis]]가 통째로 다음 줄로 넘어가서 각 단어 사이에 공간이 너무 많이 비게 되거나(양쪽 정렬인 경우), is 다음에 공간이 너무 많이 비게 된다(왼쪽 정렬인 경우). 이 경우 적절한 위치에 soft hyphen을 넣으면, soft hyphen이 삽입된 위치에서 하이픈을 출력하면서 줄을 바꾼다. {{{#!wiki style="border:2px solid #77777777; padding: 0 10px; max-width:50em" {{{+3 The longest word in major English dictionaries is pneumono­ultra­micro­scopic­silico­volcano­coniosis, which consists of 45 letters.}}}}}}}}} 이 예에서는 pneumono, ultra, micro, scopic, silico, volcano, coniosis 사이에 soft hyphen을 넣었다. 웹 브라우저의 창 크기를 조절하거나 글자 크기를 조절하면 하이픈이 삽입되는 위치가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안 보인다는 특징 때문인지 각종 욕설 및 비속어 필터링 우회용으로도 많이 쓰이는 글자이다 여담으로 이것을 복사 후 윈도우의 파일/폴더명에 붙여 넣으면 '-'으로 보인다. 위 문장을 [[복붙]]해보자. 공백 버전으로 U+200B ZERO WIDTH SPACE가 있다. 영문의 경우 단어 중간에서 줄바꿈이 될 때 줄바꿈 전에 하이픈을 삽입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이 ZWSP를 대신 쓸 수 있다. == 관련 문서 == 나무위키에 등록된 문서 중 이 문서처럼 문자가 보이지 않는 문서들이다. * [[한글 초성 채움 문자]] * [[한글 채움 문자]] * [[RLO]] [[분류:특수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