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onic.exe)]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닉 시리즈]]의 2차 창작인 [[Sonic.exe]]의 괴담을 게임화한 3차 창작 이후에 나온 작품들. 대부분 원작처럼 잔인한 장면, [[점프 스케어]]는 있다고 봐도 되며, 선량한 [[소닉]]의 캐릭터성과는 대비되는 비정하고 잔인한 모습으로 나오기 때문인지 일부 작품에서는 욕설도 나온다. 원작에 나오는 주역 3인의 생존 분기 없이 전부 끔찍하게 죽는 내용이여서 그런지, 대부분의 팬게임은 이 3명을 살릴 수 있으며 누굴 죽이고 누굴 살리냐에 따라 루트가 갈리는 전개가 대부분이다.[* 모두 죽는 엔딩은 최악의 엔딩(Worst ending), 모두 사는 엔딩은 최고 엔딩(Best ending)으로 두는 편.] 죽은 캐릭터라도 비중이 그냥 거기에서 끝나는 게 아니고 원작에서 왜곡되어버린 형태로 나타나[* 'Exe화 했다' 또는 '데몬화했다'가 용어로 쓰인다. EoT의 등장 이후 후자가 더 자주 쓰이는 편.] [[적이 된 아군|그 캐릭터와 싸우게 되는 전개로 흘러간다.]][* 이때 모습을 부르는 통칭이 딱히 없어 팬들 대부분은 캐릭터의 이름에 소닉.exe처럼 .exe를 접미사처럼 붙여 부르는 편이다. 예를 들어 테일즈라면 테일즈.exe가 되는 식.][* 싸우는 이유는 보통 소닉.exe의 꼭두각시가 되어 어쩔 수 없이 싸운다는 묘사로 표현된다.] 소닉.exe의 꼭두각시로 이용된다는 설정 때문인지 독자적으로 생각하지 못한다거나 생각이 방해되는 인원들을 죽이고 소닉.exe를 위해 영혼을 취하는 데에만 치중되어있다는 설정이 붙는건 덤.[* 예외적은 경우는 NB,CB의 데몬화한 캐릭터나 SOH의 테일즈.exe가 있다. 전자의 경우 아예 지낼 방이나 의식주 등등의 복지를 누리는 등 복지 누리는 부하로 잘 지내는 편이고,[* 심지어 이렇게 편안한 삶을 죽어도 누릴 수 있다는 것 때문인지 몇몇 장면에는 아예 '''Exe화한 캐릭터가 정상인 캐릭터에게 제정신으로 Exe화를 권유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데몬화할 경우 성격이 완전히 바뀌는 사례도 있고 또 죽을 수 있는건 마찬가지라 완전히 편한 삶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후자의 경우 원래 조종당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의지로 주도권을 잠시동안 찾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생존물 파생게임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Sonic.exe]] Nightmare beginning. 사실상 이 생존물의 본좌라고 벌 수 있다. 물론 위의 생존물을 본딴게 아닌 독자적인 오리지널 호러 게임으로 제작되기도 하며(Sonic.EYX 또는 PC Port 같은), 개중에는 아예 소닉.exe가 등장하지 않는(exe 파생이 아닌) 소닉 오리지널 호러 게임도 존재한다. 보통 이 경우는 살릴 수 있는 분기 자체가 없고 주역이 모두 사망하는 전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인기 덕분에 [[Sonic.exe]]의 파생형 및 변종을 다루는 [[FANDOM]] 기반 [[https://cult-of-x.fandom.com/wiki/Sonic.EXE_Wiki|위키 사이트]]가 나와있다. == [[Sonic.exe/4차 창작/팬 게임|팬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onic.exe/4차 창작/팬 게임)] === [[Sonic.exe/4차 창작/팬 게임/생존물|생존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onic.exe/4차 창작/팬 게임/생존물)] == 애니메이션 == === [[Sonic.exe]] Trilogy === Bratwurst[* 주로 팬아트 그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을 투고한다.]라는 유튜브 유저가 제작한 총 3편으로 이루어진 자작 플래시 애니메이션이다. 원래 3편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이후 3편 합본판이 나왔다.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징을 살려서 원작에는 없는 장면이나 새로운 요소들도 꽤 충실한 편. 그런만큼 당연히 원작 게임보다 더 잔인한 장면들이 있으니[* 특히 이런 고어함은 2편과 3편에서 부각된다.] 원작을 고수하는 소닉팬들은 관람에 주의를 요한다. 그리고 1편의 0:21쯤 펑 소리에 놀랄수 있으니 주의. 이후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테일즈]]를 컨셉으로 잡은 유튜버가 이 영상을 보며 반응하는 영상이 나오면서 더 큰 주목을 받았다. [[https://youtu.be/5ivxGwJF1yQ|Tails Reacts to Sonic.exe Trilogy]] 테일즈가 초반까지만 해도 두려워하고 실망하다가, 너클즈가 죽을 때 '''"너클즈 [[무뇌|너 뇌 있었어?]]"'''하고 [[고인드립|드립]]을 시전하는 건 덤. ---[[너클즈 더 에키드나|???]]: 맞을래?--- 현재는 Sally.exe 애니메이션도 제작중이다. 2편까지 나온 상태다. [Sonic.exe 파트] Part 1: [[https://www.youtube.com/watch?v=bTlV2K9YgPo|Tails' Demise]] Part 2: [[https://www.youtube.com/watch?v=tJMr5xn0xlY|A Requiem for Knuckles]] Part 3: [[https://www.youtube.com/watch?v=seSkQVEqmIA|Dr. Eggman Checks Out]] [[https://www.youtube.com/watch?v=egtRmKippJc|합본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YYb6zkay6GQ|간단하게 요약한 영상]][* 시커먼 배경에 비추어지는 4개의 눈은 바로 Sonic.exe가 세 사람을 죽인 뒤에 영혼을 흡수하여 진화한 모습이다. 본편의 맨 마지막 장면에서 직접 확인 할 수 있다.] [Sally.exe 파트] Part 1: [[https://www.youtube.com/watch?v=HtyIvzqNeWc|Master of the puppet]] Part 2: [[https://www.youtube.com/watch?v=TQXr7KGCSP0|Whiplash]] 조크성 애니메이션도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xUy6LYVihwA|SONIC.EXE BONUS FIGHT]] 제목만 봐선 진지할 것 같지만. 사실 '''소닉.exe vs 선키(...)'''의 대결이다. --고자킥 날리고 기선으로 소닉.exe 머리 터트리는 선키의 위엄. [[https://www.youtube.com/watch?v=-UjQlR6Qtj0|심지어 이후 또 쳐들어왔다]]-- === Tails' Halloween Series === 1편: [[https://youtu.be/l-ebz7agYkw|Tails' Halloween]] 2편: [[https://youtu.be/c2zBa6AFxt8|Knuckles' Night]] 3편: [[https://youtu.be/q97CicIzPEQ|Eggman's Chaos Emerald]] BoomBusterBB가 제작한 소닉.exe 자작 애니메이션...이기는 한데, 보통 소닉.exe의 창작물이라면 생각나는 소닉.exe가 3인을 살해하는 내용이 아닌 '''도리어 소닉.exe가 3인에게 [[역지사지|각양각색으로 털린다는]] 내용이다.'''(...) 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 * 할로윈을 맞이해 [[피카츄]] 코스프레를 한 테일즈는 문득 거리를 둘러보니 온통 피투성이인 도로에 서 있는것을 깨닫는다. 직후 등 뒤에는 소닉.exe가 뒤에 서 있었는데... 테일즈는 이를 '''고자킥으로 상쇄시킨다(!!)'''이후 소닉.exe가 고통스러워하는 틈을 타 도망치던 테일즈는 원작처럼 쫒기다 궁지에 몰리자 결국 될대로 되라 십자가를 들고 소닉.exe를 경계하며, 소닉.exe는 이런 테일즈를 비웃지만...'''테일즈가 소닉.exe의 눈깔에 십자가를 박아버린다!''' 이후 쓰러진 소닉.exe에게 테일즈가 십자가를 던지고는 갈 길 가는 것으로 끝. '''2편''' * 평소처럼 마스터 에메랄드를 수호하던 너클즈는 눈을 떠보니 온갖 동물들이 처참히 죽어있는 것을 보게 되고, 이에 경계하다 기척에 뒤를 돌아보니 소닉.exe가 있었으나 너클즈는 이를 소닉으로 착각해 비키라 말하지만 도통 들어먹지 않는다. 결국 참을성의 한계를 맞이한 너클즈는 소닉.exe에게 주먹을 갈기러 드나 소닉.exe는 너클즈의 주먹에 맞기도 전에 사라지고. 이후 소닉.exe가 너클즈를 공격해 둘의 혈전이 벌어진다. 전투중 소닉.exe에게 제압당한 너클즈는 주변에 무적 모니터가 있다는걸 알고 그것을 부숨[* 이때 소닉.exe에게 팔이 상쇄당하지만 상쇄당한 팔로 어떻게든 모니커에 손을 뻗다 상쇄당하지 않은 팔로 부드럽게 바꿔 부수는 너클즈가 장관(...)]으로써 소닉.exe를 제대로 역관광시키는 것에 성공하고 소닉.exe이는 이에 반격하러 드나...그만 중심을 잃고 절벽으로 떨어진다(...) 이후 너클즈는 다시 돌아가지만...'''사실 소닉.exe는 아직 살아있었으며''' 절벽 아래에서 겨우 몸을 지탱한 채 여유롭게 손가락을 흔드는 모습으로 2편은 끝난다.[* 이후 쿠키 영상이 있는데, '''진짜''' 소닉이 너클즈를 놀래키기 위해 소닉.exe 분장을 하지만 너클즈는 그 전에 겪은 일이 있어서인지라 이번에 문답무용으로 '''소닉에게 죽빵을 갈기는 것으로 끝난다(...)'''] '''3편''' * 소닉에게 항상 지기만 하는 것에 분노를 표출하던 에그맨과 데코, 보코가 서있는 창문 바로 앞에 소닉.exe가 나타난다. --그와중에 에그맨은 소닉이 자신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빼앗으러 왔다는 생각에 대성통곡을 한다--[* 이때 보코는 어떻게 소닉이 우주유영을 할 수 있냐 의심을 품는데, 소닉.exe에게 '''졔 눈에 뭔 일이 일어난거냐''' 의아해하던 데코 말을 듣자마자 얼굴이 뭉게지는 소닉.exe가 일품(...)] 소닉.exe는 순식간에 기지로 쳐들어와 에그맨을 본명인 이보라 부르고, 에그맨은 소닉은 지금까지 저렇게 들어온 적이 없다며 놀란다. 소닉.exe는 [[순순히 금을 넘기면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순순히 카오스 에메랄드를 넘기고 조용히 끝내자]] 제안하지만 에그맨은 당연히 거절한다. 하지만 자기가 신이라 자기소개를 하자 에그맨과 데코, 보코는 말 그대로 뿜어버리고 니가 신이라면 뭐 하늘을 나는 등의 전지전능한 일을 해보라는 등의 거의 도발이나 다름없는 말에 빡친 소닉.exe는 그럼 그렇게 해주겠다는 말과 함께 에그맨을 공격하며 치열한 카오스 에메랄드 쟁탈전이 시작된다. 이후 어찌저찌 카오스 에메랄드를 흭득한 에그맨은 말 그대로 소닉을 추월해 미친듯이 달려나가고, 결국 이를 쫒다 지친 소닉.exe는 '''"저 뚱뚱한 놈이 어떻게 나보다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는거야!?"'''[* 실제로 소닉 1과 2에서 에그맨을 쫒는 장면이 있는데 소닉이 아무리 해도 에그맨을 잡지 못하는 장면을 오마주한 것 같다.] 한탄하다 에그맨이 끌고 온 [[데스 에그 로봇]]에 짓밟힌다.[* 에그맨이 소닉.exe를 짓밟으며 이제서야 소닉을 처리하는 기쁨의 함성과 함께 '''이제 누가 신이지!?'''라 말하는 장면이 일품이다.] 허나 소닉.exe는 아직 살아있었고 자신은 아직 신이고 너를 죽여버린 뒤 소닉마저 이 세상에 남지 못하게 하겠다며 에그맨을 도발하지만 이내 마지막 공격에 저 하늘의 별이 된다(...) 하지만 소닉.exe는 --아직도--살아있었고 이내 눈을 뜨는 것으로 끝. 여담으로 소닉.exe는 원래 1~2편에는 케프카 웃음소리만 나왔지만 3편부터 본격적인 목소리가 생겼다.[* 다만 보통 소닉.exe물에서처럼 굵은 악마같은 목소리가 아닌 타락한 소닉이 말하는듯이 10대 청소년 또래의 목소리를 왜곡한 목소리다.]또란 디테일이 [[쓸데없이 고퀄리티|세부적인 부분]]도 있는데, 1편에서 테일즈에게 십자가 어택을 당해 쓰러졌는데 2편에는 그 찍힌 자리의 흉터가 그 자리 그대로 남아있고 눈을 감고 있으며, 3편에는 꽤나 아물었는지 눈을 제대로 뜨지만 여전히 흉터는 남아있는 상태다. === EoT/NB Animation === 주로 카오스 헌터의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1편:[[https://youtu.be/9Zn9XNCeKK8|All the pain of Tails is in this video...]] 2편:[[https://youtu.be/O2ApRE7RyqU|The torment continues...]] 3편:[[https://youtu.be/0oEkXWSsG1w|"You'II be punished for your insolence..."]] 보너스:[[https://youtu.be/SGZmYRbfX30|THE AFTERMATH IS FINALLY HERE! ]] '''1편''' * '''2편''' * '''3편''' * '''보너스''' * == 원작 게임 개조버전 ==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개조 롬#s-1|An ordinary sonic ROM hack]] === 이 게임을 모티브로 제작된 [[메가 드라이브]]용 개조 롬. 자세한 내용은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개조 롬#s-1|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 [[소닉 제너레이션즈]] === [[소닉 제너레이션즈]]의 [[MOD]]를 통한 개조가 있다. 구버전에는 색상과 사운드만 바뀌어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U_rUTIKBIc|링크]] 후에 똑같은 제작자가 새로 모드를 냈다. 이 모드는 모던 소닉만 있으며 맵은 그린 힐과 실버, 섀도우 라이벌 전 밖에 없지만 전작에 비해서 굉장히 퀄리티가 높아졌다. 그린힐은 맵 전체가 불타는 걸로 바뀌었으며 그린힐 맵 클리어 후 결과창에 '''소닉 옆에 테일즈의 시체가 놓여져 있다!''' 그 외에도 여러 상황의 글,글 폰트,효과음,클리어 후 결과창에서의 소닉의 모션 등등 모든 게 바뀌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JB7ltXneASM|링크]] == [[크로스오버]] == ===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 === 위의 Sonic PC PORT, 그리고 [[소닉 더 헤지혹 CD]]의 이스터 에그 요소를 집어넣어서 만든 Friday Night Funkin'의 공포 모드. 다만 업데이트로 몇몇 Sonic.exe 괴담과는 관련이 없는 캐릭터가 추가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해당 문서 참조.]] === Friday Night Funkin':Vs.No more Innocence ===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79928|설명 (혐짤 주의!)]] * [[https://www.dogdrip.net/434493682|후기 (혐짤 주의!)]] * [[https://t.co/RnjO8Sbyb0|다운로드 (바로 다운로드 됨)]] [[2022년]] [[9월 17일]] [[https://twitter.com/yesntisnotreal/status/1571344980991508480?s=46&t=9m2884Fo8D-a8KhPR4QxIQ|Yesnot]]과 [[https://twitter.com/DuhDumbie_|Dumbie]][* 원형으로 따지면 Dumbie가 먼저 제작해둔 것이다.]가 제작한 [[4chan]]의 리듬 게임 스레드에서 유행한 소닉 게임이자 Fnf의 한 모드로, 시작하면 소닉이 "provided by sinnesloschen." 단어를 미는 오프닝[* 옆에 있는 1up 모니터는 노이즈로 치직 거릴수록 뒤틀려져 가는 소닉을 볼 수 있는다. 일종에 [[복선]]인셈.]을 시작으로 한국어로 쓰여진 메뉴[* 메뉴에서 보여지는 게임은 [[소닉 1]], [[소닉 2]], [[소닉 스핀볼]]--그와중에 소닉 '''회전''' 볼로 직역한 것이 눈에 띈다--]에서 '''향수'''[* 물론 그 화장품 향수(香水, perfume)는 아니고,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을 뜻하는 향수(鄕愁, nostalgia)를 뜻하는 Nostalgia를 직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폰트 때문인지 항수라고 보인다.]를 선택하면 본격적인 게임으로 돌입하는데 플레이어블은 '''꼬리가 짤린''' 테일즈로 '''괴이하게 생겨먹은 소닉[* 이름은 [[https://continued-exe.fandom.com/wiki/No_More_Innocence|No More Innocence]]로, [[불쾌한 골짜기]]를 노리고 디자인된 캐릭터. 역시 소닉.exe의 파생 캐릭터다.]과 싸우게 된다.''' 게임 시작 2분 후, 갑자기 게임이 강제종료가 된 뒤 플레이어에게 '''오류창을 띄워 대화하는 기믹이 나온다.''' >'''LOOKING FOR YOUR WINDOW, (플레이어의 PC 사용자 이름)?''' >'''IT'S GONE NOW''' >'''I'M GOING TO CHANGE SOME STUFF HERE''' >'''WHAT IF WE START WITH YOUR WALLPAPER?''' >'''AND I'M GOING TO TAKE YOUR TASKBAR TOO''' >'''YOU CAN KEEP PLAYING NOW''' 그 후 양쪽에 이상한 사람 얼굴 형태가 하나씩 배치[* 이 얼굴은 게임 진행 도중 불행, 죽음, 고통을 끝내라, 자살 등의 부정적인 문구로 변하기도 한다.]되고, 게임 화면은 괴물 소닉이 플레이어를 정면으로 쳐다보는 형태의 1인칭 시점으로 변경되며, 배경화면과 마우스 커서가 강제로 바뀌고[* 커서는 괴물 소닉의 얼굴 형태가 되며, 배경화면은 총 2번 바뀌는데, 배경이 바뀐 직후에는 머리 부분이 보이지 않는 괴물 소닉이 서있는 그림으로 바뀌고, 게임 재개 후에는 두개골과 비슷한 형태의 그림으로 바뀐다.] 작업 표시줄도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마우스가 통제불능 상태가 되고 ALT F4와 작업 관리자가 먹히지 않는다.'''[* 이때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려하면 윈도우 알림으로 '''YOU CAN'T CLOSE ME, IDIOT.''' 이라는 조롱이 나온다.] [[게임 오버]] 시에는 '''YOU ARE DEAT MEAT(넌 이제 끝이다)''' 라는 오류창을 띄운뒤, '''컴퓨터를 강제로 재부팅시킨다.'''[* 이후 주기적으로 [[혐짤]]+[[비명]]소리가 나는 [[조크 바이러스]] 기믹을 넣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해당 현상이 발생했다는 '''녹화 영상과 증거 자료가 없어''' 불분명하고 허술한 소문이다.] 또한 게임 진행 도중 PC를 재부팅하면 '''강제로 게임을 다시 실행시킨다.''' 클리어할시 괴이한 사진들이 글리치가 뜬 것처럼 연속으로 뜨면서 '''GOODBYE''' 라는 오류창이 뜬 후 강제로 게임이 종료되며, 이후 다시 게임을 실행하려하면 '''DO YOU THINK IM GOING TO LET YOU PLAYING AGAIN? BYE BYE(내가 나랑 다시 놀도록 놔줄 것 같아? 잘 가.)''' 이라는 오류가 뜨면서 '''실행조차 되지 않는다.''' 다시 실행하려면 %appdata% 폴더에서 NMI 폴더를 찾아낸뒤 해당 폴더를 삭제해야한다. 한편 게임 시작 전에 OBS가 켜져있다면, 게임 창이 강제로 종료된 뒤에 다음과 같은 오류창이 뜨며, OBS를 강제로 종료시킨 뒤 게임 타이틀이 뜬다. >'''I CAN SEE THAT YOU HAVE OBS OPENED''' >'''SADLY FOR YOU, IT WILL BE GONE SHORTLY''' >'''NOW ITS GONE, LETS RESUME THE GAME''' 사실상 게임이라는 틀을 쓴 [[조크 바이러스]]로 WIndows의 테마/개인설정을 마음대로 조종한다는 점, 프로그램들을 막 끄거나 킨다는 점, 그리고 결론적으로 '''사람을 놀래키거나 프로그램을 관리할 권한을 막는다는 점'''에서 조크 바이러스랑 완전히 똑같은 짓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담으로 첫 시작시 한 번, 게임 재시작시 한 번, 총 두 번 [[https://youtu.be/xRCZtQdA7xc?si=F8rh-fvad-JUm6nu|해당 영상의 소리]]가 변조되어 나온다. === [[Five Nights at Sonic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Sonic 시리즈)] [[Sonic.exe|소닉.exe]]를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처럼 만든 Fnaf의 파생 팬게임. 다만 소닉 시리즈 또는 소닉.exe의 캐릭터뿐만 아니라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캐릭터 역시 등장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onic.exe, version=601)]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2차 창작]][[분류:호러 게임]][[분류:4차 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