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저스틴 비버]][[분류:2015년 노래]][[분류:2015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2위 노래]][[분류:오피셜 싱글 차트 1위]][[분류:RIAA 다이아몬드 인증 싱글]][[분류:저스트 댄스 수록곡]][[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과의 표현, rd1=사죄, other2=AOA의 노래, rd2=New Moon, paragraph2=2.2)]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Hello(Adele)|Hello]] [[Adele|{{{-2 {{{#8086a0 Adele}}}}}}]] || {{{+1 →}}} || ''' Sorry ''' '''[[저스틴 비버|{{{-2 {{{#8086a0 Justin Bieber}}}}}}]]''' [br]{{{-2 (3주 연속)}}} || {{{+1 →}}} || [[Love Yourself]] [[저스틴 비버|{{{-2 {{{#8086a0 Justin Bieber}}}}}}]] || || {{{#!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 '''[[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billboard-25-best-songs-critics-picks-6806155//|{{{#000000 빌보드 선정 2015년 최고의 곡}}}]][br]{{{#000000,#191919 {{{+5 9위}}}}}}''' || ||<-3><#f8f8f8> {{{#222222 {{{+2 '''Sorry''' }}} }}} || ||<-3><#f8f8f8>{{{#!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rry.jpg|width=100%]]}}} || || '''수록음반''' ||<-2>[[Purpos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8080, #A9A9A9, #D3D3D3, #DCDCDC)" {{{#222222 '''Purpose'''}}}}}}]]{{{-3 '''^^ 정규 4집 ^^'''}}} || || '''아티스트''' ||<-2>'''[[저스틴 비버|[[파일:저스틴 비버 로고.png|width=150]]]]''' || || '''발매''' ||<-2>2015년 10월 22일 || || '''장르''' ||<-2>[[댄스 팝|댄스홀 팝]], [[딥 하우스#s-3.2|트로피컬 하우스]], [[일렉트로 하우스#s-4.4|뭄바톤]]|| || '''작곡작사''' ||<-2>[[저스틴 비버|Justin Bieber]], Michael Tucker, Sonny Moore, Justin Tranter, Julia Michaels || || '''프로듀서''' ||<-2>BloodPop, [[Skrillex]] || || '''길이''' ||<-2>3:20 || || '''레이블''' ||<-2>[[데프 잼 레코딩스|[[파일:Def Jam Recordings.jpg|width=47px&bgcolor=#fff]]]] || ||<|2> '''차트기록''' ||{{{#!wiki style="margin: 3px"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70&bgcolor=#fff]]]]}}} ||'''{{{#red 1위}}} (3주)'''|| ||{{{#!wiki style="margin: 3px"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70&bgcolor=#fff]]]]}}} ||'''{{{#red 1위}}} (2주)'''|| || '''{{{#White [[스포티파이|[[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4>'''1,836,032,011회''' {{{-1 ^^2023년 7월 18일 기준^^}}}|| || '''{{{#white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 ||<-4>''' 3,683,543,091회''' {{{-1 ^^2023년 7월 18일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 출신의 팝 가수 [[저스틴 비버]]가 2015년 10월 23일 발표한 4집 ''Purpose''의 2번째 싱글. == 성적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공개 당시에는 [[Adele|아델]]의 [[Hello(Adele)|Hello]]라는 엄청난 곡이 빌보드 핫 100 1위에 버티고 있어서 미국, 영국 모두 2위로 데뷔하였다. 1위를 할 수나 있을까 싶었지만, 결국 해를 넘기면서 빌보드 1위에 성공했다! 11월 20일 3주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던 아델의 'Hello'를 제치고 3주 연속 2위였던 저스틴 비버의 'Sorry'가 발매 4주차 UK차트 1위로 올라섰다. 스트리밍이 532만 회나 넘었다고 한다. 그리고 앨범 발매와 함께 1위 'Sorry', 3위 'Love Yourself' , 5위 'What Do You Mean?' 이렇게 저스틴 비버의 3곡이 차트 탑 5에 들어왔는데 남자 가수 노래가 한 주에 UK차트 탑 5에 3곡이 올라온 건 1981년 [[존 레논]]이 사망한 그 다음 주에 1위 'Imagine', 3위 'Happy Xmas (War Is Over)', 5위 '(Just Like) Starting Over' 이렇게 3곡을 탑 5에 진입시킨 이후로 34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한다. 유튜브 뮤직 비디오도 인기여서, 2020년 12월 기준으로 '''33억 8천만 뷰'''로 전체 비디오 중 '''1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중반까지만 해도 [[강남스타일]]보다 훨씬 가파른 유튜브 조회수 증가 속도로 강남스타일마저 제칠 기세였지만 이후 인기가 떨어져서인지 지금은 한동안 밑에 있던 [[Uptown Funk]]에게 조회수 순위를 역전당했으며 강남스타일보다도 조회수가 올라가지 않고 있다.]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239위에 올랐다.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fRh_vgS2dFE)]}}}|| ||<#f8f8f8> {{{#!wiki style="word-break:keep-all" {{{#222222 {{{+2 '''Sorry'''}}}}}}[br]{{{#222222 3:26}}}}}}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Ooh, ooh 우, 우 Ooh, ooh 우, 우 You gotta go and get angry at all of my honesty 넌 내 솔직함에 그렇게 화내야만 해? You know I try but I don't do too well with apologies 너는 내가 노력하는 것은 알지만 나는 사과는 잘 못해 I hope I don't run out of time, could someone call a referee? 시간이 부족해지지 않았으면 좋겠어, 누가 심판을 불러올 수 없을까? Cause I just need one more shot at forgiveness 난 용서를 구하는 걸 한번 더 시도해야 하니까 I know you know that I made those mistakes maybe once or twice 내가 그 실수들을 아마 한두 번 한 걸 네가 안다는 걸 내가 알아 By once or twice I mean maybe a couple of hundred times 한두 번이라는 건 사실 아마 몇 백번을 말하는 거야 So let me, oh let me redeem, oh redeem, oh myself tonight 그러니까 오늘 밤 오 내가 만회, 오 나를 오 만회할 수 있게 해줘 Cause I just need one more shot at second chances 난 두번째 기회를 한번 더 시도해야 하니까 Yeah, is it too late now to say sorry? 그래,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Cause I'm missing more than just your body 왜냐하면 난 너의 육체만 그리워하는 게 아니니까 Oh, is it too late now to say sorry? 오,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Yeah, I know that I let you down 그래, 내가 널 실망시킨 건 알아 Is it too late to say I'm sorry now?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Ooh, ooh 우, 우 I'm sorry, yeah 미안해, 예아 Ooh, ooh 우, 우 Sorry, yeah 미안해, 예아 Ooh, ooh 우, 우 Sorry 미안해 Yeah, I know that I let you down 그래, 내가 널 실망시킨 건 알아 Is it too late to say I'm sorry now?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Ooh, ooh 우, 우 I'll take every single piece of the blame if you want me to 네가 원한다면 마지막 조각까지 내가 책임 질게 But you know that there is no innocent one in this game for two 근데 두 명을 위한 이 게임에 결백한 사람은 없다는 걸 넌 알잖아 I'll go, I'll go and then you go, you go out and spill the truth 내가 갈게, 내가갈게 하면 너는 가서, 나가서 진실을 뱉어 Can we both say the words and forget this? 우리 같이 그 말을 해서 잊을 수 없을까? Yeah, is it too late now to say sorry? 그래,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Cause I'm missing more than just your body 왜냐하면 난 너의 육체만 그리워하는 게 아니니까 Oh, is it too late now to say sorry? 오,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Yeah, I know that I let you down 그래, 내가 널 실망시킨 건 알아 Is it too late to say I'm sorry now?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I'm not just trying to get you back on me 난 지금 너를 다시 나한테 관심 있게 만들려고 하는 것만은 아니야 Cause I'm missing more than just your body 왜냐하면 난 너의 육체만 그리워하는 게 아니니까 Is it too late now to say sorry?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Yeah, I know that I let you down 그래, 내가 널 실망시킨 건 알아 Is it too late to say I'm sorry now?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Ooh, ooh 우, 우 I'm sorry, yeah 미안해, 예아 Ooh, ooh 우, 우 Sorry, yeah 미안해, 예아 Ooh, ooh 우, 우 Sorry 미안해 Yeah, I know that I let you down 그래, 내가 널 실망시킨 건 알아 Is it too late to say I'm sorry now?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Ooh, ooh 우, 우 I'm sorry, yeah 미안해, 예아 Ooh, ooh 우, 우 Sorry, yeah 미안해, 예아 Ooh, ooh 우, 우 Sorry 미안해 Yeah, I know that I let you down 그래, 내가 널 실망시킨 건 알아 Is it too late to say I'm sorry now? 지금 미안하다고 말하긴 너무 늦었니?}}}}}} || == [[리듬 게임]] 수록 == === [[저스트 댄스 2017]] === ||<-4> {{{#white '''프리뷰 영상'''}}} || ||<-4> [youtube(QRzXt1uMv9k)] || ||<-4> {{{#white '''Justin Bieber - Sorry'''}}} || || {{{#white '''난이도'''}}} || {{{#black 보통}}} || {{{#white '''모드'''}}} || {{{#black 솔로}}}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145}}} || {{{#white '''골드 무브'''}}} || {{{#black 3}}} || ||<-4> [youtube(90RHF36ZbQQ)] || ||<-4> {{{#white '''Justin Bieber - Sorry (익스트림 버전)'''}}} || || {{{#white '''난이도'''}}} || {{{#black 익스트림}}} || {{{#white '''모드'''}}} || {{{#black 솔로}}} || || {{{#white '''픽토그램 수'''}}} || {{{#black 195}}} || {{{#white '''골드 무브'''}}} || {{{#black 3}}} || [[저스트 댄스 2017]]에 수록되었다. 메인 버전은 [[Shape of You#s-5.1|동작이 어렵지 않고 반복되는 안무가 많아]] 초보자가 입문하기에 좋다. 반면 익스트림 버전의 경우 [[bad guy#s-5.2|상당히 동작이 재빠르고 반복되는 안무가 거의 없어 익스트림 중에서도 어려운 편]]에 속하는 편. 베타 버전에서는 대체 안무가 익스트림 버전이 아닌 트리오 버전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식 안무를 쓰는 버전으로 이것 때문에 [[저스트 댄스 2017]]이 처음으로 출시되었을 때 익스트림 버전이 실수로 트리오 키워드를 단 채로 나왔다, 이 실수는 현재 고쳐졌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저스틴 비버, version=1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