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한국의 [[작곡가]]. 본명 석준혁, 1993년생.[* 동년배의 작곡가 중에는 한국의 [[Cosmograph]], 일본의 [[BlackY]], Ras 등이 있다.] 동인계에서는 주로 [[BMS]]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일본의 동인 아티스트들과의 교류가 잦은 편. [[연세대학교]] 출신이며, 연세대학교 중앙 미디음악 작곡동아리 MAY(Midi Association of Yonsei) 에서 같은 BMS 계열 아티스트 [[Sobrem]], Kamisys 등과 함께 활동했었다.[* 이 둘과 함께 참여한 팀으로 [[BMS OF FIGHTERS|BOFU2015]] 중앙값 우승팀 자체휴강, [[G2R2018]] 팀 sniped/pierced 등이 있다.] [[https://www.facebook.com/yonseimay|공식 Facebook]] 작품 활동 이외의 사적 영역에서는 별도의 닉네임 'Ruby.G'[* 루비군 이라고 읽는다고 과거 자신의 트위터에서 밝혔다.] 등으로도 활동하다가, 2022년 동인 활동 목적으로 'ESPITZ'라는 새로운 명의및 서클을 발표하였다. ESPITZ 명의 발표 후 디페스타, 코믹월드와 같은 국내 동인 행사에도 음반을 출판하거나 위탁을 담당하며 활발하게 활동중이다. 최근에는 [[Zekk]]이 2020년에 설립한 한국인 동인음악 크루인 [[https://twitter.com/terragazer|TERRAGAZER]]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http://twitter.com/soundpiercer|트위터(Sound piercer)]] [[http://twitter.com/espitzofficial|트위터(ESPITZ)]] [[http://www.facebook.com/colortronics|페이스북]] [[http://soundcloud.com/soundpiercer|SoundCloud]] [[http://www.instagram.com/soundpiercer|인스타그램]] [[http://blog.naver.com/ewoonkeist|블로그]] [[https://www.youtube.com/c/SoundpiercerOfficial|유튜브(Sound piercer)]] [[https://youtube.com/c/ESPITZOfficial|유튜브(ESPITZ)]] == 작품성 == [[CROOVE]], [[wac]], [[Makou]] 등 프로 리듬게임 작곡가들의 영향으로 다양한 장르와 작풍을 커버하는 편이며, 그 범위도 상당히 넓다.[* 실제로 트위터에서 이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주로 '''장르 융합형 음악'''을 자주 만들며 실제로 음악에서 한 곡 안에 수많은 장르들의 요소들이 고루고루 섞여 있는 듯한 특성이 짙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가 2013년의 [[점, 선, 면, 입체(点、線、面、立体)|'점, 선, 면, 입체']][[http://soundcloud.com/soundpiercer/shape|링크]]나 2015년 3월에 발표된 '[[너의 색에 물들다]]'[[http://soundcloud.com/soundpiercer/sp_chilltrap|링크]] 등등. 동인계 데뷔 초기에는 [[Gabber]], [[트랜스(음악)|Trance]], [[드럼 앤 베이스|Drum & Bass]], [[하드코어 테크노|Happy Hardcore]] 등의 성향이 많이 나타난 반면 최근의 악곡들에서는 [[하우스(음악)|House]], [[트랩(음악)|Trap]] 등 대중적인 일렉트로니카 요소를 많이 끌어오는 성향이 보인다. 2015년 이후부터는 장르의 폭이 더욱 넓어져 [[EDM]]부터 [[록 음악]]까지 커버하는 등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고 있다. 활동하고 있는 동아리에서 콜라보 작업을 자주 하는 편이다. 2013년 이후의 작품들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동아리 회원들과의 피쳐링이나 콜라보레이션 작품들이 자주 보이는 편. 그 외에 [[ginkiha]] 등 일본의 동인 아티스트들과도 합작을 자주 하는 것으로 보인다. == 활동 및 상세 == === BMS 작품 활동 === 2007년 경 [[SHK]]가 운영하던 리듬게임 사이트 [[http://www.bmfon.com|BMF]][* 현재는 웹 서비스 종료]에서 곡과 BMS를 투고하던 것을 시작으로, 2009년 9월 [[BMS OF FIGHTERS|BOF2009]]에 [[SANY-ON]], jueL과 함께한 <팀명 2052년 결정 예정>이라는 팀의 일원으로서 로테르담 느낌의 악곡 'Girls Spot Escape'을 발표하면서 BMS계에 데뷔하였다. 본격적인 활동은 2010년부터로, [[KBP|KBP2010]]에 무려 5작품이나 투고를 했고, 반 년 후 [[BMS OF FIGHTERS|BOF2010]]에서는 7작품을 내며 2010년의 최고 다작 아티스트로 일본에 이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2010년에 제작한 총 BMS 작품수는 총 15작품으로, BMS와 BGA 모두 본인이 제작했다. 아직까지 이 기록을 경신한 BMS 제작자는 2016년 4월 현재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없지만, 단일 대회로는 한국의 BMS 제작자 genesik이 PABAT! 2016 '''12작품 투고'''라는 아득한 수치로 1위 기록을 경신하였다.] 현재 한국 BMS계에서의 그의 위치는 [[Cosmograph]], [[Sobrem]], [[litmus*]] 등과 함께 현재 한국 BMS계의 최정상급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로 Cosmograph와 Sound piercer 둘의 생일은 1993년 12월 8일, 1993년 12월 10일로 단 이틀밖에 차이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Sobrem은 Sound piercer의 연세대학교 동기로 과거 BMS에서 많은 활동을 함께한 바 있다. Cosmograph, Sound piercer, Sobrem 이 셋은 '''BOF 우승''' 경력이 있으며, 이 셋 이외의 외국인 우승자는 2022년 현재 아직 없다.] 본격적으로 BMS계에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2011년부터인데, 2011년 2월 일본에서 열린 [[DJMAX 시리즈|DJMAX]] 어레인지 BMS 이벤트 'TECHNIKAL BEAT'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뒤 3월에 열린 [[KBP|KBP2011]]에서 [[Optica]]로 종합 우승을 차지한다.[* 종합 평점 2위, 총점 3위였으나, 평점과 총점 순위 합이 적은 순, 동률인 경우 평점을 우선으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순위를 매기는 룰에 따라 이 작품이 우승을 하게 되었다. 당시 동률이였던 Chelp의 Astral Getaway는 평점 3위, 총점 2위였던 탓에 준우승.] 그 후 KBP2012에서 발표한 [[Candy & Baguette]]는 총점, 평점 모두 1위를 기록하며 우승, KBP가 PABAT!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에도 2013 시즌 [[점, 선, 면, 입체(点、線、面、立体)|우승]], 2014 시즌 [[지금, 이 순간(Seize the Day)|준우승]], 2015 시즌 [[너의 색에 물들다|우승]], 2016 시즌 [[Love's Remainder (ft.Emma J.)|준우승]], 2017 시즌 [[로스트:유토피아와 진리와 순수의 극채세계|준우승]]을 달성하는 등 한국 BMS 이벤트를 휩쓰는 위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BMS OF FIGHTERS|BOF]] 등 300~400작품이 올라오는 거대한 대회에서도 [[花たちに希望を|우승]]을 포함해 [[극채세계|최상위권]]에 [[Castorpollux(BMS)|랭크]]하는 등 지명도 면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꽤 유명한 편. 한국 아티스트 중 BOF 컴필레이션 앨범 [[Groundbreaking]] 최다 수록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활발한 제작 활동에도 불구하고, 다른 BMS 아티스트들이 [[EZ2AC]] 및 [[EZ2ON REBOOT : R]], [[Cytus]], [[Dynamix]] 등 상업용 리듬게임이나 [[SQUARE MUSIQ]] 등 동인/상업 레이블에 참여하는 최근 추세와 달리, 이쪽 분야의 참여가 비교적 적어 ''''오로지 BMS에서밖에 만나볼 수 없는'''' 이미지가 강하다. 트위터에 따르면 외주 자체는 여러 건 맡았었지만 대다수의 프로젝트들이 개발 도중 작업이 중단되어 언제 출시할지 기약도 없는 상태가 되었다고. 2020년대에 들어 [[CHUNITHM]], [[WACCA]], [[온게키]] 등등 일본 타이틀에서의 참가가 상당히 많아졌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접하기엔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악곡 외의 BMS 활동으로는 BGA와 패턴 제작 등을 하는 편인데, 잘 알려진 BMS의 BGA로는 Dr.ReB이 작곡한 [[시유(VOCALOID)|시유]] 보컬의 악곡 [[Magicality]]와 eFeL - Beat Cannon (KHTP Remix) [[http://www.youtube.com/watch?v=iy2214B2ZA4|링크]] 등이 있다. 패턴의 경우 본인이 제작한 발광 차분을 [[발광 BMS]] 난이도표에 등재시킨 전력이 있다. 대표적으로 [[JULIAN]], [[VALLISTA]]. 또한 [[Groundbreaking]]과 같은 컨셉의 [[KBP|한국 BMS 이벤트 컴필레이션 앨범]]을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격년으로 프로듀스했었다. [[https://twitter.com/soundpiercer/status/1305051243606237185?s=20|링크]] [[BOFU2016]]에서는 MAY 멤버들을 포함, puru, litmus*등을 조력자로 합류시킨 Sound piercerのスケッチノート。라는 사실상 1인팀으로 엄청난 기대를 모았으나, 등록일이 끝날 때 까지 단 1곡도 올리지 못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트위터에 일본어로 BOFU2016에 참가하지 못한 이유가 올라왔는데 [[https://twitter.com/soundpiercer/status/783256279359762432|링크]], 3월 부터 작업에 착수했지만 상업무대 활동, 학업등의 문제 때문에 BMS 작업에 차질이 생겨서 제 기간에 등록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곡들은 추후에 다른 경로를 통해서라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하였고, 이듬해 [[BOFU2017]]에 미공개곡 2곡을 공개하여 개인 중앙값 준우승, 팀 중앙값 우승을 차지하는 준수한 성과를 거뒀다. 그리고 2년이 흘러 2019년, 마침내 [[花たちに希望を]]로 BOF 개인 총점, 개인 중앙값, 팀 총점, 팀 중앙값 '''전 부문 우승'''을 거두며 BOF에서도 커리어의 정점을 찍는 데 성공하였다. 이듬해 2020년 BOFXVI에는 국악적인 요소(사물놀이 비트)를 중점에 둔 HDM '신 한강수타령'을 발표하였다. === 기타 분야 === 트위터에 따르면 2002년부터 리듬게임을 플레이해왔다고 한다. 상당한 올드비 유저 축에 속하는 셈. 과거 [[DJMAX TECHNIKA 3]] [[http://platinumcrew.co.kr/ranking/rank_pop_master.asp|탑 랭커]] 중 한 명이기도 했으며, [[beatmania IIDX]] 쌍개전, 팝픈뮤직 49~50레벨 곡들을 클리어하는 등 다른 리듬게임에서의 실력도 수준급.[* 2015년 11월 [[音楽|사일런트]] 클리어를 인증하였다! [[https://twitter.com/RubyGoon/status/668763337220423680|링크]]] 2015년 12월, [[ginkiha]] 등이 활동하고 있는 서클 NIZI-RINGO의 4집 앨범 Ne/nuit을 통해 [[코믹마켓|코미케]]에 진출하였다. 2016년에는 8월 [[라이드제로]] 시연회에서 [[점, 선, 면, 입체(点、線、面、立体)]] 가 Elements of Dimensions라는 이름으로 수록된 것이 확인되었고, 12월 정식 출시된 모바일 리듬게임 [[서클링크]]에 신곡 timetravel: 과 천의 눈동자에 맺히어 2곡[* 사운드클라우드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곡 자체는 2014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https://soundcloud.com/soundpiercer/circlink_timetravel|링크]] [[https://soundcloud.com/soundpiercer/sp_downtempo|링크]]]이 공개됨으로서 상업 리듬게임계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동년 11월에는 WONDERTRAVELER Project 명의로 발표한 트랜스 JOACHIM이 [[오투잼]] 신곡 공모전에 당선되었다. 2017년 6월에는 [[Dynamix/submission|Dynamix 악곡 공모전]]에 2개의 악곡을 투고하였는데, 두 곡 모두 '''당선곡 TOP 5에 오른 데다 상위 0.0%~0.2%라는 사실상 최우수곡 위치를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https://twitter.com/soundpiercer/status/872774977321287681|링크]] == BMS 원곡 == ※ 먼저 발표된 순, 이벤트 우승 및 준우승곡은 볼드처리. - sound piercer 이전, 그 외 명의 * Girls Spot Escape (2009)[* BMS 이벤트 데뷔작] * Velocity Magic 시리즈 (2009~2010) * M.i.n.u.t.e.S (2010) * Neutrino Solution (2010) * Voyage 2010 (2010) * Cephei (2010) * DG-2 Ultimatum (2010) * Brain Surviving Magic (2010) * '''Black SQ (mellow house mix)''' (2011) * LOSTSILVER (2011)[* DJ [[한지우|Ash Ketchum]] 명의. Wire Puller 2 참가곡이며, 정답이 두개만 나왔다.] * '''[[Optica]]''' (2011)[* 이전까지 비교적으로 인지도가 낮았으나, 이 곡으로 인지도 급상승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 THE MIGHTY SECHIGALIZER (2011) * Unexpected Encounter (2013)[* 한국의 작곡가 Blue-J와의 합작.] * SUPERINSANITY (2014)[* 한국의 작곡가 DeathisM과의 합작, Insane Electronica 명의.] * ATEKS TRIALOGUE (2015)[* [[Sobrem|w_tre]], Kamisys와의 3인 합작. THE BROOKS 가명 명의로 출전.] * [[Brain Surviving Magic 2]] (2015) * Beautiful Life (2017)[* HIPHOP MASTER 金 -KIM- 가명 명의로 출전.] * 結ばれる奇跡の願い (2017)[* 宮水 三葉([[미야미즈 미츠하]]) 명의. 대회장에는 'DistortedBalanceとCodenameYuriaの人'이라고 되어있는데 둘 다 작곡가의 [[라이드제로]] 수록곡이다.] * ASTRAEA (2018)[*W WONDERTRAVELER Project 명의] [* [[CHUNITHM]] 공모전 낙선작이라고 하며 해당명의로 나온 첫 BMS이다.] * Caesar (2021)[*W] [* 한국의 작곡가 Abel과의 합작.] * Same as you (2022)[*E ESPITZ 명의] - sound piercer 명의 * '''[[Candy & Baguette]]''' (2012) * '''[[점, 선, 면, 입체(点、線、面、立体)|점, 선, 면, 입체]]''' (2013) * ある春の日のセレナーデ (어느 봄날의 세레나데) (2013) * [[愛と煩悩と輪廻と常識の極彩世界]] (2013)[* 당시 BOF 한국 개인 순위 갱신. 그후 [[The World of Cyber|2014년]]에는 DJ LATI라는 한국인 신인에 의해 갱신되었고 [[DataErr0r|2015년에는 최초의 외국인 우승곡]]이 나왔다.] * [[BLAZE YOUR SOUL]] (2014)[* 일본의 작곡가 ginkiha와의 합작.] * '''[[지금, 이 순간(Seize the Day)]]''' (2014) * [[Toki|Toki (Sound piercer's Timesucker Remix)]] (2014) * 死んだ子の影の上で踊る (죽은 아이의 그림자 위에서 춤추다) (2015) * '''[[너의 색에 물들다]]''' (2015) * DJ-BABY (Sound piercer's TR!PPY BOOM Remix) (2015) * Raise me (feat.Yoanna) (2015) * [[Castorpollux(BMS)|Castorpollux]] (2015) * おみくじ (2015)[* 곡명의 뜻은 일본의 전통 제비뽑기. 자세한 내용은 [[오미쿠지]] 참조. 쿠소 BMS 이벤트 BMS OF FOON 2015 출전곡.] * '''[[Love's Remainder (ft.Emma J.)]]''' (2016) * Complex Colors -改 MIX- (2017) [* 한국의 작곡가 subomi와의 합작. DJ MEGA ROSERADE 명의.] * [[BOUNCE THE TECH]] (2017)[* 일본의 작곡가 Iriss(=s-don)와의 합작.] * '''[[로스트:유토피아와 진리와 순수의 극채세계]]''' (2017)[* 한국의 작곡가 [[Sobrem]]과의 합작.] * 恋スケッチノート (2017) * HoneyButterBass (2017) (피쳐링 참가) * '''[[Dove]]''' (2017)[* 일본의 작곡가 puru와의 합작.] * Pourqaa (2018) * DistortedIntelligence (2019) * '''[[花たちに希望を]]''' (2019)[* [[BMS OF FIGHTERS/대회 일람|BOFXV]] 우승곡. 우타이테 [[다즈비]]가 보컬, 작곡가 [[NeLiME]]이 기타 연주로 참여하였다.] * 신 한강수타령 (2020)[* Sound piercer feat.ΣX 명의] * [[ミライトコネクト]] (2021)[* 일본의 작곡가 [[ginkiha]]와의 합작.] - BGA 제작 ※ 타인의 작품에 참여한 경우만 기재. * [[애플소다]] - 조화 Part.2 (2010) * easyamateur - otherwise (2011) * SmiGoon - Nightmare 111110 (2011)[* 文学放棄者(문학포기자) 명의] * Dr.ReB - [[Magicality]] (2012) * eFeL - Beat Cannon (KHTP Remix) (2013) * Kamisys - ソルブ・オール・ウィズダム (2015) * [[Sobrem]] - Wit's Biz (2021)[*E] - 패턴 제작 ※ 타인의 작품에 동봉 패턴으로 참여한 경우만 기재. * [[Sobrem|Widowmaker]] - [[Giselle]] (2018) * Lokan - Wild! West! Showdown! (2019) * Feyrlin - CHAOS†HEAD (2019) == 그 외 기획에 참여한 곡 == === [[라이드제로]] === * [[점, 선, 면, 입체(点、線、面、立体)|Elements of Dimensions]] (2016) * Codename:Yuria (2017)[*O BMS 출신이 아닌 오리지널 곡] * DistortedBalance (2017)[*O] * [[BOUNCE THE TECH]] (2017) * HoneyButterBass (2017) * [[JOACHIM|JOACHIM : R]] (2017)[*W][*O] === [[CiRCLINK]] === * timetravel: (2014)[*O] * 천의 눈동자에 맺히어 (2014)[*O] === [[O2Jam]] === * [[JOACHIM]] (2016)[*W][*O] === [[MUSYNC]] === * [[BOUNCE THE TECH]] (2017) * [[花たちに希望を]] (2022) === [[Dynamix]] === * [[JOACHIM|JOACHIM : D]] (2017)[*W][*O] * [[BOUNCE THE TECH]] (2017) * [[ASTRAEA]] (2022)[*W] === [[펌프 잇 업]] === * MURDOCH (2020)[*W][*O][* [[펌프 잇 업 M]] 최초 수록 후 PHOENIX 1.02.0 업데이트로 본가 이식] === [[온게키]] === * [[花たちに希望を]] (2020) * [[ミラージュ・フレイグランス]] (2021)[*E][*O] === [[Muse Dash]] === * [[花たちに希望を]] (2021) === [[CHUNITHM]] === * [[花たちに希望を]] (2021) * [[ミラージュ・フレイグランス]] (2022)[*E][*O] [* [[온게키|온게키 bright]]로부터 이식] * [[空間創造理論]] (2023)[*O] === [[WACCA]] === * [[花たちに希望を]] (2021) === 동인 및 인디 음반 === * 雲の絃を紡ぎながら (구름의 현을 자아내며) (2015) - NIZI-RINGO 4집 'Ne/nuit' 수록곡. [[코믹마켓]] C89에서 발매. * Craving You (2015) - 앰몬[[백일장]] 제2회 <중독> 수록곡 * DROID (2022) - TERRAGAZER 2집 'TERRA-FORMING 2' 수록곡. 한국의 작곡가 [[NeLiME]]과의 합작. * Arlesium Forest (2022) [*E] - [[ARForest]] 1st 컴필레이션 앨범 The Unattended 수록곡 [[분류:리듬 게임 작곡가]][[분류:동인 음악 작곡가]][[분류:연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