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pace Agency)] [include(틀:Space Agency)] [목차] == 개요 == [[Space Agency]]의 소형 로켓 모듈에 대한 문서 == [[제미니 계획|제미니]] 캡슐 (Gemini Caps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Gemini Caps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4 || 머큐리와 아폴로 계획 사이인 제미니 계획의 모듈. 고증이 상당히 뛰어나며, 물품을 싣을 수 있는 공간은 있다. 그러나 도킹이 불가능하여 쓸모는 그닥. == 제미니 기계선 (Gemini Service Mod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Gemini Service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4 || 의외로 연료 효율이 나쁘지 않다. ~~이 위에 소유즈를 올려 놓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중형로켓위에 얹은다음 페이링으로 덮어야하며 소형로켓위에는 올려 놓을 순 있지만 페이링이 안 씌어진다..] == 승무원 캡슐 (Crew Caps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Crew Caps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3 || 승무원 캡슐이지만 실제로 승무원이 구현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자체 이동은 엔진이 아니라 추진기로만 가능하며 3칸의 물품공간이 있다. == 도킹가능한 승무원 캡슐 (Crew Capsule Dockab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Crew Capsule Dockab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13 || 위 승무원 캡슐에 도킹이 가능해진 버젼. 위쪽이 곡선모양으로 마감되지 않고 도킹파트로 처리되어있다. == LOK 도킹 모듈 (LOK Docking Mod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LOK Docking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0 || N1로켓에 들어가는 LOK 모듈의 상단부. 도킹이 가능하며 물품 3개를 싣을 수 있다. == LOK 승무원 모듈 (LOK Crew Mod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LOK Crew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0 || N1로켓에 들어가는 LOK 모듈의 중간부. 승무원 캡슐이며, 물품 3개를 싣을 수 있다. 도킹부와 승무원부가 나뉘어져 있어 일반 승무원모듈보다 활용성이 훨씬 떨어진다. --공기가 떨어지면 상단부는 보급을 할 수 있지만 중간부는 보급이 안된다.-- == LOK 기계선 (LOK Service Mod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LOK Service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0 || N1로켓에 들어가는 하단부. 전지판이 있어 자력발전이 된다. == 예인 모듈 (Tug Mod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Tug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우주정거장 허브와 같이 매우 작은 부품을 운반할 때 사용할만한 모듈. 푸른 불꽃이 나오며 오직 소형모듈만을 운반할 수 있다. 예인력은 의외로 나쁘지만은 않다. == 예인 모듈 헤비 (Tug Module Heavy)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Tug Module Heavy.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소형로켓에서 중형모듈을 운반할때 사용하는 모듈. 인상력도 제법 괜찮아 창정로켓같은 좋은 소형로켓에 이따금씩 장착된다. == 아폴로 기계선 (Apollo Service Modu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Apollo Service Modu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아폴로의 기계선. 위에 일반과 LOK 둘 다 승무원 모듈을 올릴 수 있다. 다만 실제 효율은 그닥 좋지는 않다. == 도킹가능한 재보급 모듈 (Resupply Module Dockabl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Resupply Module Dockabl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O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2 || 6칸을 적재할 수 있는 재보급모듈. 승무원모듈+아폴로모듈 등과 헷갈리지 말자.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아래에 추진할 부분을 약한 것으로 넣어두면 십중팔구 추락한다. 하지만 연료적재량이 좋은 편이라 나름 물품 운반시 하단부를 강하게 해서라도 사용하는 편. --ATV모듈보단 떨어지지만 ATV는 이보다 무겁고 소형 로켓에 올리면 안드로이드에선 페어링이 안 씌어진다.-- == [[타이탄#s-4|타이탄]] II 2단 (Titan II 2nd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Titan II 2nd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4 || 아래의 타이탄의 2단계 로켓이자 제미니의 발사모듈중 한 부분. 제미니 선체와 크게 디자인 상응이 맞지 않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제미니 프로젝트에서는 발사체로 타이탄을 사용하였다. 다만, 아래 델타 2보다 가격은 싼데 인상력과 연료적재량 모두 떨어져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모듈. == 델타 2단 (Delta 2nd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Delta 2nd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상당히 깔끔한 디자인으로 자주 사용되는 2단이다. 실제 인상력도 나쁘진 않다. == 델타 II 2단 (Delta II 2nd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O || ||<|4><-2><:>[[파일:Space Agency Delta II 2nd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위 델타 2단과는 다르게 USA 도장이 새겨지며 추진기가 들어간다. 하지만 실제 2단에서부터 추진을 쓰는 경우는 많이 없기 때문에 쓸모는 그닥. == 블랙 애로우 2단 (Black Arrow 2nd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Black Arrow 2nd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5 || 블랙 애로우 로켓의 2단부. 효율과 추진력이 쓸만하다. 하지만 아래 소유즈 2단에 비하면 데꿀멍. == 소유즈 2단 (Soyuz 2nd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Soyuz 2nd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5 || 사기에 가까운 소형로켓. 매우 가볍고 추진력이 좋아 미션에 자주 사용된다. 가벼운 모듈을 운반하는 작업에서는 이거 위에 예인모듈 하나, 승무원모듈 하나 올리면 우주까지 가서 작업수행이 될 정도. 혼자 내려놓으면 무려 94%의 인상력이 뜬다. 위에 언급한 것 처럼 배치를 하여도 76%가 나올정도로 좋은 추진력. == [[창정]] 2단 (Long March 2nd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O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Long March 2nd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9 || 소유즈와 더불어 사기에 가까운 성능을 보유한 로켓. 그러나 가격이 위 소유즈보다 비싸 상대적으로 덜 사용된다. == 소형 - 소형 연결장치 (Connector Small to Small)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Connector Small to Small.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X || || 부스터 부착 || X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말 그대로 소형모듈과 소형모듈을 연결해주는 장치. 수많은 모듈 연결에 필수적이나, 발사과정에서 이것을 분리할 때 시간지연으로 속도가 떨어진다. 이것이 치명적인 경우도 있는데, 인상력이 아슬아슬해서 잠깐이라도 로켓추진이 떨어지면 안되는 상황일 때 이것을 떼어내느라 시간이 소모되면 로켓이 추락할수도 있다. == 머큐리 1단 (Mercury 1st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Mercury 1st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O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미국의 머큐리로켓의 1단. 예산이 빡빡한 커리어가 아니라면 쓸일 없다. 아래 타이탄이 인상력과 연료적재량 모두 좋은데 가격은 500000밖에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 타이탄 1단 (Titan II 1st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Titan II 1st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O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기본 제공 || 제미니 프로젝트에도 쓰였던 미국의 ICBM, 타이탄의 1단부이다. 제법 활용도가 좋다. == [[창정]] 1단 (Long March 1st Stage) == || 인상력 || ■■■■□□ || 엔진 재시동 || X || || 연료 적재량 || ■■■■□□ || 기동성 || X || ||<|4><-2><:>[[파일:Space Agency Long March 1st Stage.png|height=100]]|| 페이로드 부착 || O || || 부스터 부착 || O || || 도킹 || X || || 언락되는 미션 || 미션 9 || 중국 창정로켓의 1단. 높은 연료 적재량으로 다단 추진인 소형 로켓에서는 필수적인 1단부. 대부분의 소형 모듈을 발사할때 1단중 가장 많이 쓰인다. [[분류:Space Agency]]